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

홍성식 · History
224p
Where to buy
content
Rate
2.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이차돈 순교'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은 시인이자 기자인 저자가 '처형장을 향해 스스로 걸어간 사내, 그의 삶과 죽음, 당대 신라의 사회적 상황과 정치·경제학적 환경, 비단 종교만이 아닌 이데올로기로 역할을 한 6세기 불교의 위상까지 밝혀 나가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을 여러 자료와 취재, 인터뷰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해동고승전> 등의 옛 자료와 1935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광수 소설 <이차돈의 사>, 그리고 학자들의 여러 논문을 뒤적이며 '고대사이면서 현대사이고 지역사이자 보편적인 종교 문화사를 복원'한 것이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 추천의 글 1. 스물한 살 청년의 죽음에 얽힌 의문들 2. 이차돈과 법흥왕에 관해 당신이 궁금한 것들 3. 흥륜사, 그 옛 모습은 사라졌지만 4. 불어오는 바람에 백률사 대숲이 울었다 5. 신라인들은 ‘젊은 순교자’를 그리워했다. 6. 불교, 신라의 토착 종교와 갈등을 겪다 7. 신라 왕조의 기틀을 닦은 법흥·진흥·진지왕 8. “이차돈과 법흥왕을 이야기하기 전, 스스로를 돌아봐야” 9. 천경림, 비밀과 혼란으로 술렁였던 숲 10. 이차돈이 꿈꾼 ‘화엄의 길’은 언제 열릴까 부록

Description

신라는 어떻게 불교 왕국을 이루었을까? 527년 신라, 스물한 살 청년의 목이 베인다. 잘린 목에서는 피 대신 흰 젖이 솟구치고 하늘에서는 꽃비가 내린다. 이른바 ‘이차돈 순교’ 사건이다. 젊은 승려 이차돈의 순교는 신라의 불교 공인을 이끌어내고, ‘527년 신라 불교 공인, 이차돈 순교’라는 요약된 문장으로 우리나라 연표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역사 속 주요 사건이 되었다. 또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불국사와 석굴암, 해인사 장경판전 등의 불교 문화유산을 남기게 된 계기도 되었다. 이차돈과 법흥왕의 ‘불국토 신라 만들기 프로젝트’를 해부한다 ‘이차돈 순교’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은 시인이자 기자인 저자가 ‘처형장을 향해 스스로 걸어간 사내, 그의 삶과 죽음, 당대 신라의 사회적 상황과 정치·경제학적 환경, 비단 종교만이 아닌 이데올로기로 역할을 한 6세기 불교의 위상까지 밝혀 나가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을 여러 자료와 취재, 인터뷰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해동고승전》 등의 옛 자료와 1935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광수 소설 《이차돈의 사》, 그리고 학자들의 여러 논문을 뒤적이며 ‘고대사이면서 현대사이고 지역사이자 보편적인 종교 문화사를 복원’한 것이다. 저자는 스물한 살 청년 이차돈이 신라의 불교 공인을 위해 자신의 전부를 던졌던 이 사건을 두고 끊임없이 질문한다. 그리고 이차돈의 베어진 머리가 떨어졌다는 백률사 대숲, 신라인들이 신성하게 여겼던 숲인 천경림 안에 지어졌다는 흥륜사 절터, 이차돈의 제사를 올렸다는 소금강산 정상, 왕들의 능, 이차돈 순교비가 있는 국립경주박물관 등을 헤매 다니면서 이차돈과 법흥왕의 ‘불국토 신라를 만들기 위한 비밀스러운 프로젝트’가 진행된 ‘순교의 아침’ 그날 그곳의 수수께끼를 풀어 간다.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