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미술

다니엘 마르조나
9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11)
0.5
3.5
5
Rate
3.5
Average Rating
(11)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생각의 전환이 예술임을 강조한 개념미술에 관해 살핀 책. 개념미술은 1960년대 미국의 미술과 솔 르윗이 작품의 실제 제작에 크게 의미를 두지 않는 미술경향이란 의미로 이름붙인 용어이다. 책은 마르셀 뒤상, 존 발데사리, 길버트와 조지, 제니 홀저 등의 작품과 그들의 작품 세계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덧붙이고 있다. 개념미술은 콘셉트와 아이디어를 강조해 관례적인 수공기술로 작품이 완성되기보다는 스케치, 텍스트, 지시문 자체가 독립적인 미술작품으로 간주된다. 중요한 것은 미술작품이 물리적으로 비물질화하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가 매 경우 작품의 콘셉트를 새롭게 할 수 있다. 즉, 관람자 스스로 작품을 통해 자신의 상상 속에서 가상을 구현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11)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6 아이디어, 시스템, 프로세스 26 마르셀 뒤샹 - 여행가방 속 상자 28 비토 아콘치 - 연합 영역 30 아트앤랭기지 - 그룹 - 인덱스 001 32 마이클 애셔 - 무제 34 존 발데사리 - 공이 가운데 위치하도록 사진 찍기 36 로버트 배리 - 1971년 6월 7일에 관한 29개 작품 38 베른트 베허와 힐라 베허 - 윈치 타워 40 멜 보크너 - 측량방 42 알리기에로 보에티 - 일천구백칠십 44 마르셀 브로타어스 - 현대 미술관 독수리부 46 스탠리 브라운 - 한 발자국 + 한 발자국 48 다니엘 뷔랑 - 푸르 50 빅터 버긴 - 포토패스 52 한네 다보벤 - 무제 54 얀 디베츠 - 콘라트 피셔 갤러리에서 보낸 가장 짧은 하루 56 한스 페터 펠트만 - 어느 여인의 모든 옷 58 길버트와 조지 - 노래하는 조각 60 댄 그레이엄 - 조형적인 62 한스 하케 - 뉴욕 현대 미술관 투표 64 제니 홀저 - 빨리 그리고 조용히 죽어라 66 더글러스 휘블러 - 가변 작업 70번: 1971(진행 중),전 지구적인 68 스티븐 칼텐바흐 - 미술 작품 70 온 카와라 - 나는 일어났다 72 조지프 코서스 - 네 가지 색 문장 74 루이스 롤러 - 얼마나 많은 그림이 76 솔 르윗 - 연속 프로젝트 1번(ABCD) 78 고든 마타 클라크 - 쪼개기 80 애나 멘디에타 - 얼굴에 털 옮겨심기 82 브루스 나우만 - 창문 또는 벽 간판 84 로만 오팔카 - 1965/1 - ∞ (부분 1 - 35327) 86 에이드리언 파이퍼 - 촉매작용 Ⅳ 88 샤를로테 포제넨스케 - 아연 도금한 4개의 요소 연작 D 90 에드워드 루샤 - 9개의 수영장과 깨진 유리잔 92 로렌스 와이너 - 점점 부드러워지는 소리 (점점 약하게) 94 이언 윌슨 - 1970년 12월 12일 구두 커뮤니케이션

Description

세계 20개 언어로 번역된 TASCHEN 베이식 아트 시리즈! 100점의 컬러 도판, 문화사를 아우르는 연보, 품위 있고 산뜻한 편집, 합리적인 책값! 르네상스에서 현대까지 거장들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미술사 기초 교양서. 개념미술, 생각의 전환이 예술이다 1960년대, 미국의 미술가 솔 르윗은 작품의 실제 제작에 크게 의미를 두지 않는 미술경향에 대해 ‘개념미술’이라는 용어를 붙였다. 콘셉트와 아이디어를 강조함으로써 관례적인 수공기술로 작품이 완성되기보다는 스케치, 텍스트, 지시문 자체가 독립적인 미술작품으로 간주된다. 중요한 사실은 미술작품이 물리적으로 비물질화하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가 매 경우마다 작품 콘셉트를 새롭게 하고 자신의 상상 속에서 가상으로 구현한다는 것이다. 제도에 대한 근본적 비판과 전통적 예술관에 대한 문제제기를 행하는 개념미술은 특히 매스미디어 이미지가 범람하고, 회화와 같은 이른바 보수적인 미술 형식이 새롭게 유행하는 이 시대에 대안적인 미술 모델로서 가치가 있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