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참 쓸모 있는 인간

김연숙
27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4.1(7)
0.5
3
4
5
Rate
4.1
Average Rating
(7)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최고의 고전 강의 ‘고전 읽기: 박경리 『토지』 읽기’가 『나, 참 쓸모 있는 인간』으로 출간되었다. 지은이 김연숙은 후마니타스 칼리지 출범한 직후인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매 학기 50여 명의 학생들과 『토지』를 함께 읽으며 삶과 세상, 타인과 나와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며 스스로의 별을 찾아나가는 경험을 했다. 그는 학생뿐 아니라 숱한 인문학 현장에서 만난 어르신들과도 소통하며, 익숙하지만 제대로 완독하지 못했던 우리의 고전 『토지』야말로 자기 삶을 긍정하기 위한 이들의 고군분투임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600여 명 인물들이 표출하는 가족이라는 굴레, 경제적 궁핍함, 사랑에의 집착 등을 새로이 해석하며,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낄 때조차 결코 도망치지 않는 보통 사람들의 위대함을 드러내는 『나, 참 쓸모 있는 인간』을 집필하였다. “제가 하고 싶은 글쓰기는 고전 ― 특히 문학 ― 이 어떻게 우리 삶을 가치 있게 이끌어나갈 수 있는지, 그래서 힘 있게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토지에서 발견한 인문학적 사유를 자기 삶에 적용하고, 구체적인 현실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싶었고, 『토지』의 재구성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의 가치들을 진단하는 글을 쓰고자 했습니다. 나아가 어떻게 고전을 읽을 것인지, 어떻게 문학을 내 삶의 실용적인 힘으로 받아들일 것인지를 깨닫게 하고 싶었습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4.1(7)
0.5
3
4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토지』 안팎의 사람들에게 1. 인간 ― “산다는 거는……참 숨이 막히제?” 『토지』, 600명의 인간백화점 인간의 땅, 인간의 삶 죽음과 삶이 고리를 맞잡고 2. 계급 ― “서러운 놈들이 마음을 굽히지 않고 산다는 것” 하늘 같은 양반과 버러지 같은 상놈 “워쩔 수 없는” 운명, 그 어둠을 비추는 등불 3. 가족 ― “그러나 너는 너 자신을 살아라” 두 개의 혹덩어리를 짊어지고서 나는 나다, 아버지도 형님도 아니다 인빅투스(Invictus), 굴하지 않는 삶 4. 돈 ― “부자믄 한 끼에 밥 열 그릇 묵을 기가?” 세상 모든 것을 다 가질 수 있는 마법지팡이?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 충분함이란 가능한가 5. 사랑 ― “나는 니 없이는 못 살 긴갑다” 이유 없이 ‘불꽃’ 튀는 사랑 질투와 시기, 그들의 삼각관계 연민과 책임감, 그 너머의 사랑 단지 네가 눈앞에 있어서 6. 욕망 ― “찢어 죽이고 말려 죽일 테야” 욕망의 무한궤도와 차이의 반복 욕망을 향한 무시무시한 돌진 욕망, 열정의 생산과 그 사용법 7. 부끄러움 ― “염치를 채리야만 그기이 사람이제” 나와 남의 시선, 그 사이에서 사람답게 살아가기, 그들의 동료감정 평생을 견디어내는 힘, 부끄러움 부끄러움이 사라진 자리, “이것이 인간인가” 8. 이유 ― “그게 다 너 때문이다! 너 때문이야!” ‘너’라는 원인, ‘너’ 때문이다! 웃어도 슬프고 울어도 태평스러운, 그 사람 있는 그대로의 천진한 사람 내 삶의 목적은 ‘나’, 그야말로 비교 불가능한…… 9. 국가 ― “할라 카믄 누구든 할 수 있는 일, 안 할라 카믄 누구든 안 할 수 있는 일” 나는 왜 국가를 사랑해야 할까 제국의 애국심, 힘의 논리와 그에 대한 반성 서사적 연대, 그물 한 코 엮어가는 삶 나·당신·우리, 공통의 인류 나가며 저마다의 길을, 저마다의 걸음으로

Description

나로서 존재하고 나로서 살아가는 삶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 길을 쉼 없이 걸어간 『토지』의 수많은 사람들과 사연은 내게 포근한 이불이었고, 든든한 울타리이기도 했다. 따끔거리는 가시방석이기도 했으며 시퍼렇게 날선 도끼였다. 그들의 말과 삶은 내게 새로움이었다. 그로부터 달라져가는 내가 뿌듯하기도 했지만 때로는 버겁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나와 함께 『토지』를 읽었던 사람들이 내 손을 ‘꼬옥’ 잡아주었다. 1. 오늘도 살아가는 당신에게 『토지』가 건네는 말 ― 한국문학의 고전 『토지』를 리라이팅하다 교양 교육의 새 지평을 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최고의 고전 강의 ‘고전 읽기: 박경리 『토지』 읽기’가 『나, 참 쓸모 있는 인간』으로 출간되었다. 지은이 김연숙은 후마니타스 칼리지 출범한 직후인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매 학기 50여 명의 학생들과 『토지』를 함께 읽으며 삶과 세상, 타인과 나와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며 스스로의 별을 찾아나가는 경험을 했다. 그는 학생뿐 아니라 숱한 인문학 현장에서 만난 어르신들과도 소통하며, 익숙하지만 제대로 완독하지 못했던 우리의 고전 『토지』야말로 자기 삶을 긍정하기 위한 이들의 고군분투임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600여 명 인물들이 표출하는 가족이라는 굴레, 경제적 궁핍함, 사랑에의 집착 등을 새로이 해석하며,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낄 때조차 결코 도망치지 않는 보통 사람들의 위대함을 드러내는 『나, 참 쓸모 있는 인간』을 집필하였다. “제가 하고 싶은 글쓰기는 고전 ― 특히 문학 ― 이 어떻게 우리 삶을 가치 있게 이끌어나갈 수 있는지, 그래서 힘 있게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토지에서 발견한 인문학적 사유를 자기 삶에 적용하고, 구체적인 현실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싶었고, 『토지』의 재구성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의 가치들을 진단하는 글을 쓰고자 했습니다. 나아가 어떻게 고전을 읽을 것인지, 어떻게 문학을 내 삶의 실용적인 힘으로 받아들일 것인지를 깨닫게 하고 싶었습니다.” 2. 9개의 단어로 쓰인 책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 인간, 계급, 가족, 돈, 사랑, 욕망, 부끄러움, 이유, 국가로 『토지』를 말하다 박경리의 『토지』는 한말에서 해방까지 약 60여 년간을 배경으로 우리 민족의 지난한 역사와 삶을 분명하고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는, 한국의 고전이다. 『토지』는 그 특성상 중요 사건과 주요 인물로 전체가 수렴되지 않는 열린 이야기다. 이것이 큰 장점이기도 하지만, 때때로 독자들에게는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 막막함을 주기도 한다. 김연숙 교수는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유의미한 삶의 가치를 모색하고자 『토지』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과 장면을 제시한다.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큰 고민은 ‘일, 돈, 배우자’일 것이다. 그는 이런 고민을 인간, 계급, 가족, 돈, 사랑, 욕망, 부끄러움, 이유, 국가라는 9개의 낱말로 소설을 해석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독자들이 『토지』를 생생히 체험하게 한다. 고전 공부의 새로운 유형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에세이라 할 수 있다. 누가 제게 『토지』가 어떤 책이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이렇게 말할 거 같습니다. “겁나…….” 『토지』는 겁나 많은 사람이 나와서, 겁나 많이 지지고 볶고 물고 뜯고 죽고…… 그 와중에 또 겁나 많이 사랑하고 헤어지고 슬퍼하고 기뻐하고…… 그런 이야기라는 거지요. 만약 질문한 이가 내게 ‘장난하지 말라’라고 눈을 흘기면, 정색을 하고 다시 말할 터입니다. 경남 하동 평사리의 지주집 최참판댁이 몰락하고 나서, 무남독녀 서희가 갖은 고생을 겪으며 집안을 일으켜 세운 이야기라고. 으음, 복수극? 그런 셈이지. (중략) 그러나 나는 금세 다시 이렇게 말할 게 분명합니다. 그건 줄거리가 아니야. 이야기는 ‘겁나’ 많아. (중략) 『토지』가 서희의 복수극이라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지』는 서희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서희는 『토지』를 가능하게 하는 배경일 뿐입니다. 최참판댁과 평사리 사람들, 최참판댁이 망하고 나서 쫓기다시피 간도 로 떠난 평사리 사람들, 간도에 사는 조선사람들, 그리고 간도에서 다시 평사리로 돌아온 사람들, 그 모든 장면 아래에 놓인 배경일 뿐입니다. 『토지』에서는 그 ‘서희’를 바탕 삼아 6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착한 사람, 나쁜 사람, 욕심 많은 사람, 이렇게 사는 사람, 저렇게 사는 사람 등등 그야말로 별의별 사람들이 다 나와서, 어떨 때 보면 이 사람이 나 같고, 또 다른 때는 저 사람과 내가 닮은 것 같고, 어떤 때는 이 사람이 괜찮고, 그러다가 저 사람이 맘에 들고, 1권과 2권을 읽을 때는, 뭐 이딴 사람이 다 있어? 하며 진저리를 치다가도, 3권쯤에 이르러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기도 합니다. 『토지』는 수많은 사람의 수많은 삶의 굴곡을 마주 볼 수 있는 ‘인간백화점’인 셈이지요. ― 본문 17~18쪽에서 어중간이가 말하는 어중간한 인생 이야기 ―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김연숙 교수 인터뷰 | 진행 이수연 편집자 왜? 왜 하필 그때가 아니고 지금이야? “어릴 때부터 저는 특별하지가 않았어요. 뭐든지 딱히 잘하지도, 못하지도 않았어요. 뾰족한 구석이 없었다고 할까요. 공부도 그렇고, 연구도 그렇구요. 성격은 조금 말을 잘하고 활달한 정도에, 이렇다 할 특기가 없이 그저 그런 정도. 국문과를 나와서 문학을 쓰려고 해보았지만 잘 되지 않았어요. 그래서 평론을 써보려고 했지만 그것도 잘 되지 않았어요. 엄청난 미문을 쓰는 것도 아니고, 날카로운 비평이나 철학적 통찰이 있는 것도 아니었거든요. 이제 남은 것은 대학원을 나와서 석박사하고, 강사 하다 교수가 되는 전형적인 코스였는데 서른 살에 시도했던 임용도 수차례 떨어진 거죠” 이후 저자는 새로운 공부를 해보겠다며 학교를 떠나 소위 ‘제도권 밖’ 연구 공동체를 그것도 여러 곳을 경험했다. 하지만 역시나, 거기서도 적당히는 하는데 딱히 뾰족하게 잘하지는 못했다고. 그런데 ‘어쩌다가’ ‘우연히’ 다시 학교에 자리 잡게 되었고, 나이 50세에 ‘덜컥’ 교수가 되어버렸다. “참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왜 하필 지금일까, 이게 뭐지? 내가 30대에 그렇게 원할 때는 안 되더니, 왜 하필 지금이야? 지금 내가 제대로 가고 있는거야?’ 덜컥 겁이 났던 거죠.” 토지는 ‘사람’의 이야기다 “저는 정말 겁이 많아요. 지금도 이게 맞는 일인가 하는 두려움이 불쑥불쑥 들어요. 하지만 이 책 준비를 하고, 토지를 다시 읽으면서 정말 ‘나 계속 공부할 수 있겠구나’, ‘내가 내 걸음으로 갈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계속 해도 되겠다는 확신을 받은 거에요. 토지로부터 허락을 받은 것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그게 토지가 저에게 준 제일 큰 변화에요. (웃음) 토지를 처음 만났던 25살의 저는 혈기왕성한 대학원생에 싱글, 세상에 못할게 없는 것처럼 느껴졌어요. 토지로 논문을 쓰고 학위를 받겠다는 불순한 시도를 한 것도 그 때의 일이네요 (웃음) 비록 그 때는 그 방대한 분량에 기가 질려 오만방자하게 ‘이건 문학이 아니다’ 하며 포기해버렸지만요. 그런데 40대 후반이 되어서 다시 토지를 읽으니 그 때는 ‘사람’이 느껴지더군요.” 『토지』로 논문을 써서 업적을 남기려 했던 ‘오만방자’한 25세의 대학원생이 어느덧 50이 되었다. 그리고 『토지』를 연구 대상으로 붙잡고 혼자서 읽어 내려갔던 대학원생은 이제 대학에서 교수가 되어 20대 대학생부터 60대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까지, 다양하고 수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