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다이제스트 100

정성희
45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9)
0.5
3
5
Rate
3.4
Average Rating
(9)
Comment
More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우리나라 역사를 중요한 사건 100가지로 요약한 책이다. 우리나라의 각 시대별로 주요한 사건들 100가지를 뽑아 정리했다. 저자는 가급적 객관적인 시각에서 서술하려고 했으며, 각 사건의 내용 다이제스트지만 깊이 있는 설명이 되도록 노력했다. 1997년에 출간된 <한국사 101장면>의 개정판이다. 한국사의 골격을 형성한 역사적 사건들을 토대로 통사적으로 서술하였다.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되었던 먼 선사시대부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공판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전환을 이루는 사건과 인물, 문화 등을 포괄했다. 내용은 선사문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중세사회의 발전, 근세사회로의 이동, 근대사회의 성립, 현대사회의 전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챕터에서는 구석기.신석기시대와 고조선을 비롯 고대국가들, 고구려.백제.신라, 그리고 후삼국의 통일, 고려, 조선을 거쳐 일제침략, 한국전쟁, 5.16쿠데타, 광주민주화항쟁 등을 겪은 우리민족의 역사를 사실 그대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4(9)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4 I. 선사문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1. 한국 역사의 시작-구석기·신석기시대 14 2. 천제의 아들, 지상의 곰 그리고 단군-단군신화의 탄생 19 3. 기자의 후예 ‘조선후'-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3 4. 내분으로 쓰러진 왕검성-고조선의 멸망 28 5. 주몽, 졸본주에 도읍하다-고구려의 건국과 발전 32 6. 온조와 비류-백제의 건국과 발전 36 7. 사로국에서 신라국으로-신라의 건국과 발전 40 8. 고대 해상왕국, 가야-가야의 건국과 발전 45 9. 샤머니즘 시대에서 불교시대로-삼국에 불교전래 49 10. 국토를 넓힌 고규려-광개토왕의 정복사업 53 11.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풍류라 한다'-신라의 화랑제도 57 12. 살수대첩과 안시성의 혈전-고구려의 대 중국전쟁 61 13. 삼국통일의 두 영웅 ‘김유신과 김춘추'-신라의 통일전쟁 66 14. 황산벌에 쓰러진 계백의 5천 결사대-백제의 멸망 70 15.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로-고구려 멸망·신라의 삼국통일 74 16. 원효의 ‘화쟁’과 의상의 '화엄'-신라불교의 발전 78 17. 남북국 시대-대조영, 발해 건국 83 18. 신라승의 인도여행기, 《왕오천축국전》-혜초, 인도·서역 순례 87 19. 불국토를 향한 신라인의 불심-통일신라의 문화 91 20. 중세의 신호탄 ‘해상왕 장보고'-호족세력의 등장 97 21. 중세 지성의 선구자, 최치원-골품제 사회의 동요 101 22. ‘고구려와 백제를 계승한다'-후삼국의 정립 105 II. 중세사회의 발전 23. 왕건, 후삼국을 통일하다-고려의 건국 110 24. 고려왕조의 기본 골격을 세우다-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의 실시 113 25. 유교적 정치이념의 실현-최승로의 시무28조 118 26. 서희의 외교, 강감찬의 전술-거란과의 전쟁 122 27. 고려 유학을 발전시킨 최충-9재학당의 설립 126 28. 선종과 교종을 통합한 대각국사 의천-천태종의 창시 132 29. 조선역사상 1천 년래 제1대사건-묘청의 천도운동 136 30. 김부식의 유교사관, 일연의 불교사관-《삼국사기》, 《삼국유사》편찬 140 31. ‘돈오점수’와 '정혜쌍수'-지눌과 조계종의 확립 143 32. ‘문관을 쓴 자는 씨를 남기지 말라’-무신난의 발발 147 33. 최충헌, 60년 최씨 정권을 세우다-무신정권의 성립 151 34.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느냐-농민·노비들의 봉기 155 35. 40년간의 대몽항쟁과 무신집권 몰락-몽고의 침입과 삼별초의 항쟁 161 36. 세조 쿠빌라이의 부마가 된 충렬왕-원의 지배 165 37 새로운 사상의 도래-성리학의 전래 169 38 원으로부터의‘자주독립'-공민왕의 개혁정치 174 III. 근세사회로의 이동 39. 이성계의 역성혁명-조선왕조 건국 180 40. 해동의 요순 치세를 구가하다-세종의 즉위 184 41. 신분의 굴레를 뛰어넘은 조선 최고의 발명왕, 장영실-자격루의 제작 188 42. 세계 최대의 역사기록-《조선왕조실록》의 편찬 192 43. 자주적 역법의 확립-《칠정산내편》의 편찬 196 44.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훈민정음 창제 199 45. 세조의 왕위 찬탈과 사육신-계유정난의 발발 204 46. 조선왕조 통치체제의 완성-《경국대전》 반포 209 47. 못다 이룬 왕도정치의 꿈-중종반정과 조광조 213 48. 현모양처의 삶, 화가로서의 삶-신사임당과 율곡 218 49. 부자들을 향해 칼을 들다-임꺽정의 난 223 50. 방계 출신의 왕과 사림시대의 개막-선조와 동서분당 227 51. 동양 3국을 뒤흔든 7년 전란 ― 임진왜란·정유재란 발발 232 52. 서인의 세상을 만들다-인조반정 237 53. 치욕적인 삼전도 굴욕 ― 병자호란 발발 242 54. 혈통이냐! 명분이냐! ― 예론과 당쟁의 시대 246 55. 대동법에 일생을 바친 조선 최고의 경세가-김육과 대동법의 실시 251 56. 조선의 주자가 되고 싶었던 송자(宋子)-송시열과 노소분당 255 57. 실학을 집대성하여 부국강병의 꿈을 꾸다― 정약용과 실학사상의 집대성 260 58. 화이(華夷)의 경계를 허문 세계주의자-홍대용과 의산문답 264 59. 조선후기를 빛낸 왕과 그 어머지-정조와 혜경궁 홍씨 268 60. 풍자와 해학의 시대-서민문화의 등장 272 61. 한국적 화풍의 개척자, 정선·김홍도·신윤복-정선의 진경산수, 김홍도의 풍속화 277 62. 세계 최대의 순교지-천주교 전래와 박해 282 63. 삼정 수탈 속에 굶주리는 농민들-진주민란 발발 287 IV. 근대사회의 성립 64. 세상과 백성을 구하지 못하면 다시 얼굴을 내밀지 않으리-최제우, 동학 창시 294 65. 몰락 왕조의 마지막 개혁가 ‘궁도령'-대원군의 집권 298 66. 서양 제국주의 침략의 신호탄-병인양요와 신미양요 302 67. 쇄국에서 개항으로-강화도조약 체결 306 68. 개화에 대한 최초의 민중항거-임오군란 발발 310 69. 개화파의 3일천하-갑신정변 발발 314 70. 서면 백산, 앉으면 죽산-동학농민전쟁 318 71. 반침략·반개화 투쟁-항일의병전쟁의 전개 322 72. ‘보호가 아닌 침략' 조약-을사보호조약 체결 327 73. “이토는 죽었는가?'-

Description

한국사의 흐름을 가장 쉽고 단순하게 한국사 읽기의 베스트 입문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한민족의 유구한 역사를 딱 100으로 마스터해보자!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우리나라 역사를 중요한 사건 100가지로 요약한 책이다. 우리나라의 역사는 구석기?신석기시대를 거쳐 고대국가를 형성했고, 이어 고려의 건국으로 중세사회를 맞았다. 조선의 시작과 함께 근세사회로 발전했는데, 특히 이 시기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만큼 이전의 시대와는 달리 많은 변화가 찾아온 과도기적 시간이었다. 근대와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일제침략, 3?1운동, 한국전쟁, 광주민주화항쟁 등 우리나라 역사에서 큰 상처를 입힌 국난위기 등을 겪었지만 이 시기는 이를 극복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각 시대별로 주요한 사건들 100가지를 뽑아 정리했다. 저자는 가급적 객관적인 시각에서 서술하려고 했으며, 각 사건의 내용 다이제스트지만 깊이 있는 설명이 되도록 노력했다. 한반도의 구석기시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흐름을 주도했던 중요사건 100가지 이야기 우리나라의 구석기시대부터 현대사회까지 우리나라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100가지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국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책이 출간됐다. 한국사의 골격을 형성한 역사적 사건들을 토대로 통사적으로 서술한 이 책은 한민족의 역사가 시작되었던 먼 선사시대부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공판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전환을 이루는 사건과 인물, 문화 등을 포괄했다. 내용은 선사문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중세사회의 발전, 근세사회로의 이동, 근대사회의 성립, 현대사회의 전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챕터에서는 구석기?신석기시대와 고조선을 비롯 고대국가들, 고구려?백제?신라, 그리고 후삼국의 통일, 고려, 조선을 거쳐 일제침략, 한국전쟁, 5?쿠데타, 광주민주화항쟁 등을 겪은 우리민족의 역사를 사실 그대로 설명하고 있다. 100가지 사건들을 통해 한국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선사시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까지 국난과 극복의 역사 우리나라의 역사는 구석기시대를 시작으로 신석기, 청동기, 철기시대의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했다. 현재 한국민족의 형성은 바로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농경은 신석기시대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는데, 이후 청동기의 사용으로 잉여생산물이 생기면서 평등사회는 무너지고, 부와 권력을 가진 지배자가 주변 약소부족을 통합, 고대국가가 탄생하게 된다. 고조선은 이 시기에 성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였다. 이들 나라들은 철기를 사용하여 농업을 발전시키고, 주변지역을 정복하여 점차 삼국 형성의 기반을 갖추어 나갔다.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로 접어들며 중세사회로 발전을 이루었다. 이어진 조선사회는 단순한 왕조의 교체에 그친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 걸친 커다란 진전과 변화를 가져와 이전과는 아주 다른 사회를 형성시켜 나갔다. 15세기에 들어서면서 왕권이 강화되고, 중앙집권적 양반관료 중심의 지배체제가 정비되면서 국가의 내실이 더욱 충실해졌다. 한편, 민생의 안정과 권농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인구와 농지가 늘어났다. 이러한 정치적 안정과 사회,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민족문화가 크게 꽃피었다. 16세기에는 농업과 상공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 성장한 사림세력은 마침내 중앙의 훈구세력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몇 차례의 사화를 겪었으나, 16세기 후반에는 집권세력으로 부상하면서 붕당정치가 전개되었다.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조선의 정치, 경제 등 모든 상황은 더 이상 지탱할 수 없는 상태에 다다르고 있었다. 특히 개항 이후, 조선을 둘러싸고 청국과 일본이 침략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정부는 개화정책을 추진했고 이에 반발하여 위정척사운동, 임오군란이 일어났다. 이후 갑신정변, 의병전쟁 등이 일어났다. 3?1운동은 민족적 의지가 하나로 결집된 최대의 민족독립운동이었다.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국외에 수립되었고,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이자 유일한 정통정부로서, 이후 항일민족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