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도덕의 계보 읽기

강용수
17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0(19)
0.5
3
5
Rate
3.0
Average Rating
(19)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니체 저서 중 <도덕의 계보>는 가장 중요한 저서로 분류되고 있다. 이 저서는 앞서 집필한 <선악의 저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에서 소개한 사상을 담고 있다. 또한 기존의 글들이 운문, 단편, 아포리즘으로 구성된 것과는 다르게 논문형식을 갖춰 사유들을 집대성한 야심 찬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소개하는 <도덕의 계보>는 제목처럼 계보학이라는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선과 악’과 같은 가치판단의 근원과 유래를 밝히는 작업이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Rating Graph
Avg 3.0(19)
0.5
3
5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머리말·4 서 문 철학은 자기 인식의 길이다·11 제1논문 선과 악, 좋음과 나쁨·17 1. 역사적 고찰 비판·17 2. 심리학적 모순: 기억과 망각·21 3. 어원학·24 4. 성직자와 전사계급의 대립·28 5. 노예의 반란·31 6. 선과 악: 적극적인 것과 반동적인 것·35 7. 문화는 야수를 길들이기 위한 것·37 8. 독수리와 양·38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49 1. 약속을 허용하는 동물: 정치학의 기술·49 2. 주권적 개인과 양심·51 3. 죄의식과 양심의 가책: 형벌, 고문, 죄책감·54 4. 채권·채무관계: 계약·56 5. 정의와 처벌: 자기 지양·61 6. 공정함, 정의, 법·66 7. 형벌의 목적은 합목적이지 않고 우연적이다·71 8. 내면화로서의 양심의 가책·76 9. 조상에 대한 채무 의식·79 10. 신에 대한 채무감: 죄의식의 발전·80 11. 운명과 고통과 죄의식: 그리스인 vs 그리스도교·84 제3논문 금욕주의적 이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87 1. 금욕주의 이상: 성직자의 권력 지배 도구다·87 2. 순결 지키기: 자기 자신 부정·88 3. 관능에 대한 무관심: 칸트 vs 스탕탈·88 4. 결혼에 대하여·91 5. 금욕주의는 삶의 부정이 아니라 삶의 긍정이다·92 6. 금욕주의 이상 세 가지: 청빈, 겸손, 순결·93 7. 오만과 과학기술·97 8. 금욕주의의 문제·99 9. 금욕주의의 자기모순·101 10. 해석학의 문제: 관점주의·103 11. 심리학적, 생리학적인 모순: 삶의 긍정이면서 부정이다·105 12. 치료가 아니라 질병의 확산이다·112 13. 금욕주의는 정신착란이다·120 14. 주인본능과 노예본능·123 15. 금욕주의 해석학: 하나의 이상의 절대화, 특권화·127 16. 현대과학과 금욕주의·128 17. 자유정신: “진리는 없다. 모든 것이 허용된다”·129 18. 예술 대 과학: 삶의 긍정, 삶의 부정·134 19. 생명의 법칙: 자기 극복과 자기 지양·137 20. 해석학의 의미 문제·138 작품설명·143

Description

현대철학자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니체를 꼽을 수 있다. 그의 저서 가운데 『도덕의 계보』는 가장 중요한 저서로 분류되고 있다. 이 저서는 앞서 집필한 『선악의 저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에서 소개한 사상을 담고 있다. 또한 기존의 글들이 운문, 단편, 아포리즘으로 구성된 것과는 다르게 논문형식을 갖춰 사유들을 집대성한 야심 찬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소개하는 『도덕의 계보』는 제목처럼 계보학이라는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선과 악’과 같은 가치판단의 근원과 유래를 밝히는 작업이다. 특히 이 책에서 다루어진 많은 주제는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M. Foucault)로 계승된다. 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이를 상세히 응용하고 자신을 ‘과격한 니체주의자’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독일뿐만 아니라 프랑스에서도 ‘니체 르네상스’라는 열풍이 불 정도로 니체철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