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마르틴 하이데거 · Humanities
7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4.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20세기의 대표적인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숨겨진 걸작으로 손꼽히는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이 새롭게 단장되어 제2판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대표작 『존재와 시간』이 출간된 즉시 철학의 최전선에 서며 철학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은 하이데거가 1929/30년 겨울학기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진행한 강의에 기반을 둔다. 하이데거는 이 책에서 “돌은 세계가 없다”, “동물은 세계가 빈약하다”, “인간은 세계를 형성한다” 등 세 문장을 실마리로 삼아, 철학의 근본문제들을 지금까지 어느 철학자도 다루어본 적이 없는 실존적인 방식으로 감명 깊게 다룬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하이데거의 학문적인 열정이 뿜는 열기를 약 1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느낄 수 있으며, 그의 많은 제자들이 이 강의를 듣고 열광했던 이유를 감지할 수 있다. 제2판은 2001년 초판을 번역하며 이 명저를 국내에 소개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이기상 명예교수가 독일의 클로스터만(Klostermann) 출판사의 2018년 판을 기준으로 전문을 살피고 표현들을 가다듬었다. 이기상 교수가 원서 출판사의 지침에 따라 모든 것을 철저하게 꼼꼼히 다시 보며, 새롭게 번역하는 마음가짐으로 심혈을 기울인 역작이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예비고찰 | 강의 제목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단초로 삼아 강의의 과제와 강의의 근본의도를 소개함 제1장 철학(형이상학)의 본질을 규정하기 위해서 둘러갈 만한 에움길들과 형이상학을 직시해야 하는 불가피성 제1절 철학의 비교 불가능성 / 제2절 노발리스의 싯말 하나를 실마리로 삼아 철학을 그 자체로부터 규정함 / 제3절 형이상학적 사유란 곧 총괄적 사유, 즉 전체에로 나아가면서 실존을 꽉 휘어잡는 사유 제2장 철학(형이상학)의 본질에서 드러나는 애매성 제4절 철학함 일반에서 내보여지는 애매성 : 철학은 과연 학문인가 세계관의 선포인가 하는 데에 대한 불확실성 / 제5절 바로 지금 여기 이 자리에서 우리가 철학하는 가운데 들으미와 선생의 자세에서 내보여지는 애매성 / 제6절 철학의 진리와 그 애매성 / 제7절 자신의 극복할 수 없는 본질의 애매성에 맞선 철학함의 투쟁. 현존재 안에서 일어나는 근본사건으로서의 철학함의 독자성 제3장 세계, 유한성, 개별화에 대한 총괄적 물음을 형이상학이라고 특징짓는 데에 대한 정당화. ‘형이상학’이라는 낱말의 근원과 역사 제8절 ‘형이상학’이라는 낱말. 피지카의 뜻 / 제9절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피지스라는 낱말이 가지는 두 가지 뜻. ‘프로테 필로소피아(제일철학)’의 두 겹의 물음방향으로서, 전체에서의 존재자에 대한 물음과 존재자의 본질성(존재)에 대한 물음 / 제10절 본래적인 철학함이 쇠퇴하면서 논리학, 자연학, 윤리학이 강단분과로 형성됨 / 제11절 ‘형이상학(메타피직)’이라는 낱말에서 ‘메타’의 기술적인 뜻이 내용적인 뜻으로 전환됨 / 제12절 ‘형이상학’이라는 전승된 개념의 내적인 견지 불가능성 / 제13절 전승된 형이상학-개념의 세 가지 계기들에 대한 역사적 전거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개념 / 제14절 프란시스코 수아레스의 형이상학-개념과 근대 형이상학의 근본성격 / 제15절 형이상학 자체의 근본문제를 지칭하기 위한 칭호로서의 형이상학. 예비고찰의 성과와 다음과 같은 요구, 즉 형이상학 내에서의 행동을 형이상학적 물음의 사로잡혀 있음에서부터 시작하라는 요구 제1부 | 우리 철학함의 한 근본기분을 일깨움 제1장 하나의 근본기분을 일깨워야 할 과제, 그리고 오늘날 우리 현존재의 한 숨겨진 근본기분을 내보임 제16절 하나의 근본기분을 일깨운다는 의미에 대한 예비 이해 / 제17절 기분이라는 현상에 대한 잠정적인 특징규정 : 기분이란 곧 현존재의 근본방식, 즉 현존재에게 존립과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 기분을 일깨움이란 곧 현-존재를 현-존재로서 사로잡음 / 제18절 오늘날 우리의 처지와 이 처지를 두루 지배하는 근본기분을 확보하는 것이 이러한 근본기분을 일깨우기 위한 전제임 제2장 권태의 첫 번째 형태 : 어떤 것에 의해서 지루하게 됨 제19절 권태가 가지는 의문스러움. 이러한 근본기분을 일깨운다고 함은 곧 깨어 있도록 해줌, 즉 잠들지 않게 지켜줌 / 제20절 권태라는 근본기분과 이러한 근본기분이 시간과 맺는 관계 그리고 세계, 유한성, 개별화에 대한 세 가지 형이상학적 물음 / 제21절 지루한 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권태를 해석해보기. 지루한 것이란 곧 ‘잡고 있는 것’이자 ‘공허 속에 놓아두는 것’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통속적 해석도식들이 지닌 의문스러움 : 원인-작용-관계, 영혼에 내재한 것, 옮겨씌우기 / 제22절 지루해짐의 해석을 위한 방법적 지침 : 의식분석적 태도를 피하고 일상적 현존재의 직접성을 유지할 것 : 권태를 그것에 대한 직접적 행동관계인 시간죽이기에서부터 해석해내기 / 제23절 지루해짐과 시간죽이기 제3장 권태의 두 번째 형태 :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과 그것에 딸린 시간죽이기 제24절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과 이에 속한 시간죽이기의 양식 / 제25절 ‘붙잡혀 있음’과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이라는 두 본질계기들 쪽으로 눈길을 던지면서 권태의 두 번째 형태를 그 첫 번째 형태와 비교하여 부각시킴 / 제26절 내준 시간을 마주 대하게 하면서 멈춰 서 있게 함에 바탕을 둔 지루해함의 두 구조계기들의 구조론적인 통일성. 스스로 시간화하는 현존재의 시간성에서부터 권태가 솟아나옴 / 제27절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에 대한 결론적 성격규정 : 지루하게 하는 그것이 현존재 자신에서부터 피어오름은 ‘어떤 것

Description

제자들을 열광시킨 마르틴 하이데거의 숨겨진 걸작! 자신의 철학을 독자들에게 설명하고자 애쓴 거장 하이데거의 흔적으로 가득한 명저 “숨겨진 대표 걸작.” —뤼디거 자프란스키(철학자, 『하이데거』 저자) 20세기의 대표적인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숨겨진 걸작으로 손꼽히는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이 새롭게 단장되어 제2판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대표작 『존재와 시간』이 출간된 즉시 철학의 최전선에 서며 철학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은 하이데거가 1929/30년 겨울학기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진행한 강의에 기반을 둔다. 하이데거는 이 책에서 “돌은 세계가 없다”, “동물은 세계가 빈약하다”, “인간은 세계를 형성한다” 등 세 문장을 실마리로 삼아, 철학의 근본문제들을 지금까지 어느 철학자도 다루어본 적이 없는 실존적인 방식으로 감명 깊게 다룬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하이데거의 학문적인 열정이 뿜는 열기를 약 1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느낄 수 있으며, 그의 많은 제자들이 이 강의를 듣고 열광했던 이유를 감지할 수 있다. 제2판은 2001년 초판을 번역하며 이 명저를 국내에 소개한 한국외국어대학교 이기상 명예교수가 독일의 클로스터만(Klostermann) 출판사의 2018년 판을 기준으로 전문을 살피고 표현들을 가다듬었다. 이기상 교수가 원서 출판사의 지침에 따라 모든 것을 철저하게 꼼꼼히 다시 보며, 새롭게 번역하는 마음가짐으로 심혈을 기울인 역작이다. 번역본이 절판된 이후 꾸준히 이어진 국내 독자들의 뜨거운 성원으로 다시 선보이는 이 책은 하이데거가 제자들을 위해서 쓴 책인 만큼 그의 철학이 궁금한 사람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에 스며들고자 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부분 예비고찰에서는 형이상학, 즉 철학의 본질, 철학의 진리를 다루며, ‘형이상학’이라는 명명 속에 감추어져 있는 형이상학적 사건, 그리고 그에 대한 인간의 대응을 근원적으로 파헤친다. 전승된 형이상학이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조목조목 비판하며 해체해나간다. 제1부에서는 “우리 철학함의 한 근본기분을 일깨움”이라는 제목 아래, 인간의 근본기분으로서의 “권태”를 분석한다. “권태”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생생한 철학함의 태도를 읽을 수 있다. 제2부는 “세계란 무엇인가?”라는 실제의 형이상학적 물음을 다룬다.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세계”라는 개념이 차지하는 위치는 더 이상의 추가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절대적이다. “세계”에 대해서 다른 많은 저서도 다루고 있지만, 이렇게 자세하고 친절하게 세계에 대해 설명한 책은 오직 이 책뿐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이른바 “로고스(이성) 중심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이라는 중요한 주제에 대해서도 논한다. 이와 함께 하이데거 철학의 중요 개념인 “진리”, “존재적 진리”, “존재론적 진리”, “존재론적 차이”, “존재론적 구별”이 알고 싶은 독자들도 이 책에서 궁금증의 많은 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 책은 하이데거 철학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수많은 하이데거 저서들을 읽고 우리말로도 번역해온 옮긴이지만 이 책만큼 흥분과 긴장 속에 옮긴이를 사로잡은 책은 없었다. 이 책에서 옮긴이는 하이데거가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철학함’의 알짜를 배워 읽힐 수 있었다. ‘현상학적 자세’―현상학적 기술, 현상학적 분석, 현상학적 해체, 현상학적 구성―를 배워 나의 실제적인 철학함의 바탕으로 삼을 수 있었다. 이 강의록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다른 저서에서는 볼 수 없는 친절한 설명을 대할 수 있다. 풍부한 보기를 들면서 자신이 주장하려고 하는 바를 이해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 점이 바로 이 책이 지니는 가장 큰 장점이다. 풍부한 예를 들어가면서 자신이 다루는 주제를 상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하여 독자로 하여금 알아듣도록 애쓴 노력의 흔적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유일한 저서라고 할 수 있다. ―“초판 옮긴이의 말” 중에서

Collections

1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