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 作心

신동선 · Self-Development
288p
Where to buy
content
Rate
4.5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왜 자꾸 작심삼일에 그치는 것일까? 무작정 연습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잘못된 방법으로 연습하면 그냥 인생을 허비하는 것이다. 뇌신경을 연결해주는 효과적인 연습법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 뇌신경과 전문의이자 뇌신경의학자인 저자는 뇌과학에 기반해 뇌가 즉각 반응하는 연습법, 즉 어떻게 연습해야 신경연결망(시냅스)이 확장되는지, 어떻게 연습해야 신경연결망(시냅스)이 견고해지는지를 알려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습 방법을 제대로 세팅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세팅만 제대로 한다면 연습을 꾸준히 할 수 있고, 꾸준히 반복적으로 연습하다 보면 목표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반복’이다. ‘반복’ 연습이 가능해지려면, 큰 목표와 별도로 작은 목표를 세우고, 약점을 공략해야 하며, 피드백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동기부여와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 동기부여와 목표가 명확하지 않으면 반복 연습은 불가능하다. 이 책은 동기부여와 목표를 명확히 하는 방법, 제대로 반복할 수 있는 연습의 원칙, 효과적으로 연습에 몰입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준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부 뇌를 알면 바꿀 수 있다 재능은 타고나는 것일까? DNA는 잊어라 | 기억력 다시 보기 | 재능은 머릿속 어디에 있는가? | 뇌세포의 연결 조합에 주목하라 뇌는 자극과 반복에 반응한다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이 되려면 | 뇌는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 결정적 시기가 지나도 머리에 새겨진다 | 시냅스 수는 줄어들거나 늘어난다 | 연습량이 미엘린을 늘린다 | 연습의 핵심은 뇌세포 자극이다 | 얼마나 자주 자극을 줘야 하는가? Plus Tip 5n 연습법, 라이트너 시스템, PQRST 독서법 맛보기 2부 뇌가 좋아하는 연습법은 따로 있다 작은 목표를 세워라 빠르고 정확한 피드백을 설계하라 | 목표를 잘게 나누어라 | 작은 목표를 세울 때의 유의점 | 게임처럼 섬세하게 난이도를 세팅하라 Plus Tip 벤저민 프랭클린의 연습 엿보기 반복이 답이다 마음속 연습을 하라 | 시간단위당 연습의 밀도를 높여라 |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넘겨라 명확한 동기와 반복 시스템이 완벽을 만든다 간절한 목표가 뇌를 움직인다 | 고수의 비법을 흡수하라 | 자동화된 연습 시스템으로 뇌세포를 연결하라 | 몰입은 연습의 효율을 높인다 Plus Tip 습관도 연습이다 목표를 머릿속에 새겨라 목표를 감정과 연결시켜라 | 목표 세우기를 연습하라 | 목표를 지속적으로 의식한다 Plus Tip 함께 발화하면 함께 연결된다 실패가 아니라 피드백이다 실패는 마음속 규정이다 | 믿음은 성공의 확률을 올린다 3부 이젠, 제대로 된 연습이다 운동, 제대로 연습하기 목표를 잘게 쪼개었는가? | 많이 반복할 수 있는가? | 무의식적으로 바뀌었는가? | 운동에 효과적인 마음 연습 | 나는 이렇게 연습했다 Plus Tip 운동은 학습 능력을 높인다 영어, 제대로 연습하기 r에 대한 단상 | 연습의 기본 공식을 응용하라 |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기억, 제대로 연습하기 기억력을 높이는 다섯 가지 | 상상력을 발휘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 그는 어떻게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있었을까? | 기억력 챔피언 1년 안에 되기 Plus Tip 잠은 기억을 강화시킨다 생각, 제대로 연습하기 낙관주의도 학습이 가능하다 | 행복감을 높이는 세 가지 방법 | 객관적 거리에서 상황 해석하기 | 기억 속 구조도 바꿀 수 있다 | 공포 감정 다스리기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도판과 인용 출처

Description

뇌는 보상에 열광하고, 반복에 반응한다 무작정, 주야장천, 죽어라 연습하지 말고, 당근과 휴식을 주면서, 자주 반복해서 연습하라 * 1시간 내내 하는 것보다, 15분씩 네 번이 낫다 * 자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 실제로 뇌가 바뀐다 * 큰 목표를 작은 목표들로 잘게 나누어라 * 머릿속으로 하는 상상 연습도 뇌를 자극한다 왜 연습이 자꾸 실패하는 것일까? 운동이든, 어학이든, 악기 연습이든, 기억력 훈련이든, 제대로 연습하지 않으면, 연습을 오래 지속시키기가 힘들어서 작심삼일이 되고 만다. 신경과 의사이자 뇌신경의학자인 저자는 뇌를 제대로 알고 그에 맞게 연습해야 된다는 것을 확신하면서, 뇌신경 연결을 확장시킬 수 있는 연습법, 노력들이 머릿속에 새겨지는 방법, 99%의 숨은 재능을 꺼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재능이란 머릿속 뇌신경의 연결(시냅스)이다. 운동이나 언어 능력과 관련된 시냅스가 다른 이들보다 촘촘해서 짧은 시간 내에 다른 사람보다 탁월한 성과를 낼 때, 흔히들 재능이 있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재능을 타고난 것으로 설명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특정한 운동을 열심히 하거나, 언어 훈련을 하다보면 관련 영역의 뇌신경들이 촘촘해지고 단단해진다. 그러면 시냅스 수를 어떻게 하면 늘릴 수가 있을까? 최신 뇌과학적 연구 성과에 따르면, 시냅스 수는 반복적인 자극을 통해 늘릴 수 있다. 반복된 연습은 뇌신경의 DNA를 자극하고, 이러한 자극은 시냅스를 늘리고 단단하게 연결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한다. 이 책의 저자는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의 연구를 소개하면서, 단일 자극은 시냅스를 강화시키며(단기기억), 반복적인 자극은 키나아제들이 핵에 진입하게 만들어 유전자를 발현시키고 이를 통해 세포막을 생성시키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면서 시냅스가 성장하게 된다(장기기억)고 강조한다. 장기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간단히 도식화하면 이렇다. 반복 자극 → 세로토닌 물질 분비로 시냅스 자극 → 글루타메이트 방출 촉진 → 세포내 환상 AMP 증가 → 단백질 키나아제 A, MAP 키나아제가 세포의 핵 속 CREB-1 활성화 → 유전자 발현 → 세포막을 생성시키는 단백질 합성 → 시냅스 성장. 연습의 목표는 장기기억을 만드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할까? 자주자주,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을 두면서 반복해서 연습하면 된다. 이때 관건은 어떻게 반복해서 연습할 수 있게 하느냐이다. 연습 시스템이 제대로 잘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반복하는 것이 지루해서 연습을 지속시킬 수 없게 된다. 이것이 수많은 이들이 반복적으로 시행착오를 겪는 이유다.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시냅스 확장의 비밀 이에 저자는 연습의 기본 공식을 제안하면서,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네 가지를 꼼꼼하게 체크하면, 연습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것도 얻을 수 있다고 언급한다. 그 네 가지는 1) 약점 파악, 2) 피드백 설정, 3) 동기부여, 4) 시스템이다.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자신에게 가장 취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해서 그것을 보완하는 것을 작은 목표로 삼고, 그 작은 목표를 연습할 때 자신의 연습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알 수 있는 피드백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 간절히 원하는 것이 무엇이지, 즉 목표를 뚜렷하게 세워야 한다. 나머지는 시스템이다. 자동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면 연습은 강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연습에 몸을 실을 수 있다. 대개의 연습들이 실패하게 되는 이유는 큰 목표만 있고 작은 목표가 없어서 계속 연습해 나갈 수 없는 상황이거나, 피드백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을 때(지금 연습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아닌지 알 수 없는 경우), 동기부여가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절실히 원하는 것이 아닐 경우), 생활 속에서 연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잘 갖춰지지 않아 반복적으로 할 수 없을 때(시간과 장소, 환경이 연습의 장벽이 될 때)이다. 모든 재능을 타고나지 않는 한, 인간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연습해야 한다. 기어다니던 아이가 각고의 노력 끝에 걷고, 어느새 뛰어다니듯이, 인간은 제대로 연습 시스템을 마련하기만 하면, 누구나 연습에 오로지 몰두하고 능력이 향상되는 데에 쾌감을 느낄 수 있다. 저자는 “나에게 필요한 나만의 연습은 무엇인가? 몸을 던질 수 있는 그 무엇은 무엇인가? 몸을 던져야만 하는 그 무엇은 무엇인가? 몸을 던지고픈 그 무엇은 무엇인가? 찾아야 한다. 무엇일지 모른다. 계속해서 찾고 적용하며, 자신만의 연습은 계속되어야 한다”며, 이 책이 시행착오를 겪은 수많은 일반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