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의 파시즘

김상봉
325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8(34)
0.5
4
5
Rate
3.8
Average Rating
(34)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우리 시대의 새로운 지적 대안 담론"이라는 취지 아래 도서출판 길이 기획한 "프런티어 21" 시리즈의 첫 권. 저자는 우리 교육에서 '도덕교육'이 차지하는 위치가 단순히 점수로 매겨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며, 도덕교육이 타율적 가치의 일방적 주입이 아니라 자율적인 입법능력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함을 곳곳에서 강조한다. 또 저자는 교육이 인간의 자기실현의 기관으로서 노예가 아니라 자유인을 기르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도덕교육은 그 가운데서도 사실적 인식의 습득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자유'를 본질적으로 요구하므로 다른 어떤 교과보다도 자유로운 인간성의 함양이 근본이념으로서 모든 교육적 수행의 근저에 놓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8(34)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도덕교육의 파시즘 1. 도덕교육과 자유 2. 노예를 기르기 위한 도덕교육 3. 맺는말 제2장 국민윤리를 넘어서 1. 국가권력과 이데올로기 2. 근대적 공교육과 국가주의 3. 도덕과 국민윤리 4. 새마을 운동과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5. 학제 간 연구 6. 철학과 학제적 사유 7. 국민윤리 교육을 넘어서 8. 철학과 도덕교육 9. 도덕교육의 두 과제 제3장 윤리학이 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1. 물음의 의미와 배경 2. 철학의 학문적 성격 3. 철학의 갈래들과 그 상호관계 4. 도덕교육과 철학교육의 공속성에 대하여 제4장 무엇을 위한 도덕교육인가 1. 도덕교육의 위기 2. 도덕과 서로주체성 3. 무엇을 위한 도덕교육인가 제5장 윤리적 인간의 탄생 1. 교육 일반의 이념에 입각한 도덕교육의 대원칙 2. 도덕교육의 정체성 3. 도덕교육 교과과정 수립을 위한 방법론 4. 도덕교육의 세 단계 5. 중학교 도덕교육의 교과과정에 대한 구체적 개관 책을 내면서 찾아보기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