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하종강
37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53)
0.5
4
5
Rate
3.6
Average Rating
(53)
Comment
More
[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

노동자이면서도 자신이 노동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노동문제는 자신과 별 관계없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노동문제는 민주노총이나 한국노총만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노동운동은 노동자에게만 유익할 뿐 사회 전체에는 유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하종강의 에세이.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노동문제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집단 이기주의의 문제가 아닌,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와 평등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주요한 기반이자 출발점임을 보여 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6(53)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제1장_ 노동운동을 비판하려면 <왕의 남자>와 줄광대의 부채 노동운동을 비판할 때에는 노동자 개인의 인품도 중요하지만 대기업 노동자들은 기득권자인가? 평등주의가 경제 발전의 적”이라뇨? 노사가 동등하다고? 노사관계 안정의 책임 함부로 총고하지 말지어다 시민운동가에게 듣고 싶은 한마디 부자 학교의 가난한 학생 하루 더 퍼져 있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얼마나 더 많이 죽어야 합니까? 성직자들의 삼보일배와 노동자들의 파업 근로자파견법과 비정규직에 관한 기업의 주장 비정규직에 대한 경총과 IMF의 상반된 입장 비정규직 노동자를 늘리는 정부의 배짱 국민의 소비가 기업의 수출보다 중요합니다 대기업 노동자 임금도 인상되어야 합니다 기아자동차 노조 사건의 물타기 제2장_ 파업에 대한 편견과 이데올로기 조종사 파업, 당신은 지지했습니까? 맞아 죽을 각오로 하는 '친조종사 파업' 선언 공무원 노조의 파업이 너무나 정당한 이유 공무원 노조의 민주노총 가입을 판단하는 기준 전교조의 연가 투쟁은 불법인가 운전기사들에게 인권은 있는가 벼랑에 내몰린 대학교 미화원 노동자들 LG정유 노조의 파업과 외국 자본의 성격 아름다운 섬 제주도 양돈축협 노동자들의 싸움 조흥은행 노조 파업이 불법인 이유를 아십니까 교사들도 노동조건 향상 요구를 할 때가 됐습니다 철도 노조 파업에 대한 대통령과 언론의 태도 병원파업을 보는 눈 청구성심병원에서 일어난 일 계약직만 돼도 좋겠습니다 특수고용직도 노동자입니다 현대자동차 노동자들이 고임금이라구요 교섭 타결한 보건의료산업 노조와 금속 노조의 공통점 SBS미디어넷 노동자들이 노숙농성 투쟁을 하는 이유 지하철 노동자들이여, 우리 KBS 노조도 애쓰고 있다? 병원 조호 활동, 올바로 평가돼야 울지 마세요, 당당히 맞서세요 다른 나라들의 파업 제3장_ 노동운동을 용납 못하는 사회 부자가 되라고 가르치는 사회 노동문제를 사회부 사건기자의 눈으로 보지 마라 노동이란 단어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노동자가 죽음을 선택해야 하는 사회 사장님들, 제발 정도껏 하십시오 노동자 권리를 주장하면 매국노 취급을 받는 현실 이 분명하고도 기묘한 현상 대통령이 팔 걷어붙이고 새내기 노동자들, 그들이 잘못인가 신입사원들에게 노동교육을 하면서 단체교섭, 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 헌법재판소가 무식한 이유 제4장_ 노동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 백혈병 노동자에 대한 세 가지 관점 '기업살인법'이라는 단어를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월드컵 축구 파란색, 빨간색 남구만의 시조 다시 읽기 정부 정책을 결정하는 막강한 사람들에게 국회 환경노동위의 증인 채택 공안문제연구소 감정 목록에 오르다 개나 소다 다 이야기하는 국가 정체성 독립운동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역사 교과서 편향 논란과 3.1만세운동 주5일 근무제를 둘러싼 산수 이라크에서 '화물'이 되어 돌아온 두 노동자 이런 기업을 빨리 도산해야 합니다 민주노총 이수호 후보의 당선을 보는 눈 정몽헌 회장의 죽음으로 다시 생각해 보는 재벌 노동위원회의 위원 기피신청 제도 무식하거나, 혹은 비겁하거나 부산상고 노무현, KIST에 취업했으면 아버지의 고교등급제 국민연금 제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 노동절에 생각한다 똑똑한 소비의 깊은 뜻 제5장_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전태일 열사 추모 33주기 공무원 징계자 수련회 우리보다 더한 사람들 위로할 수 있는 자격 요즘 노동조합 위원장 선거 인생에 도움이 되는 잠 사랑 사랑 누가 말했나 참여 경영은 필연입니다 몰락하는 중산층 아아, 한라 중공업 학생들이 희망입니다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 하루 동안 만난 사람 어느 돌멩이의 외침 '복직이’에 관한 추억 단병호 위원장에 관한 에필로그

Description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사회, 노동운동이 희망인 이유 우리나라 경제 활동 인구 가운데 가장 많은 수는 노동자입니다. 이 말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은 노동자이거나 그 가족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노동문제를 아직도 자신과는 상관없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장애인과 여성의 권리가 확대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우리 사회가 진보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동자의 권리가 지금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확대되고 노동자의 임금이 인상되는 것은 사회에 해롭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가경제'에 해를 끼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과연 그런 것일까요? 혹시 우리 사회 노동자들의 권리는 정상화되기도 전에, 흔히 말하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이르기도 전에 다시 뒷걸음질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신자유주의 무한경쟁의 논리 속에, 비용절감과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논리 속에 노동문제가 들어설 곳은 없습니다. '참여정부'와 '민주 인사들'은 노동문제에 대해 말하는 것을 참여정부의, 민주정부의 개혁을 가로막는 철없는 좌파들의 투정으로 치부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의 참여 정부는 모두에게 요구합니다. "노동문제에 대해 말하지 않기!" 문민정부에서 노동운동은 국가전복세력이었습니다. 국민의 정부에서 노동운동은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었습니다. 그리고 참여정부에서 노동운동은 집단 이기주의 세력으로 매도되고 있습니다.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노동운동을, 노동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힘이 듭니다. 하종강의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은,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노동문제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집단 이기주의의 문제가 아닌,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와 평등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주요한 기반이자 출발점임을 보여 줍니다. 하종강의 ?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은, '천박하고 이기적인 요구'라는 오명에 시달리던 노동운동을, 그리하여 스스로도 '당당해지기 어려웠던'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유장한 의미를 지닌 당당한 역사', '진보의 역사', '한국 사회의 희망'으로 정당하게 자리매김합니다. 담당: 도서출판 후마니타스 사회과학 편집장 안중철(jungchol74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