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의 현대적 해석

김수행 · 社会科学
33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8(12人)
0.5
3
5
評価する
3.8
平均評価
(12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8(12人)
0.5
3
5

著者/訳者

レビュー

1

さらに多くのコメントを見るには、ログインしてください!

目次

마르크스의 생애와 학문적 실천 마르크스의 경제학체계 『자본론』 세 권의 구성 Ⅰ. 제1권 해석 제1권 전체의 내용 서문 제1편 상품과 화폐 제2편 화폐가 자본으로 전환 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제6편 임 금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8편 이른바 시초축적 Ⅱ. 제2권 해석 제2권 전체의 내용 서문(엥겔스. 1884년) 제1편 자본의 변태들과 그들의 순환 제2편 자본의 회전 제3편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과 유통 Ⅲ. 제3권 해석 제3권 전체의 내용 제1편 잉여가치가 이윤으로 전환하고 잉여가치율이 이윤율로 전환 제2편 이윤이 평균이윤으로 전환 제3편 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 제4편 상품자본과 화폐자본이 상인자본으로 전환 제5편 이윤이 이자와 기업가이득으로 분할 제6편 초과이윤이 지대로 전환 제7편 수입들과 그들의 원천 엥겔스의 보충설명 참고문헌 부록: 시험문제모음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현대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자본론』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책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해부’하는 책이다. “사적인 이윤 추구가 경제를 가장 능률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부르주아적 이데올로기의 핵심을 이루는 ‘이윤’이 어떻게 ‘창조’되는가를 밝히는 것, ‘이윤’을 증가시키려면 자본가가 어떤 수단과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가, 그렇다면 노동자계급의 상태는 어떻게 될 것인가를 가장 엄격한 ‘과학적인’ 논리로 해명하는 것이 『자본론』의 목표이다. 따라서 이 책은 낡아빠진 옛날 책이 아니라 지금도 살아 숨쉬는 걸작이다. 지금 우리가 당하고 있는 불황·실업·빈곤·노자대립이 가장 분명한 형태로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本サイトのすべてのコンテンツはWATCHA PEDIAの資産であり、事前の同意なく複製、転載、再配布、引用、クローリング、AI学習、データ収集などに使用することを禁じます。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