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거는 건축

정태종さん他2人 · 人文学
40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3.3
平均評価
(2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한국의 도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한다. 경복궁과 남대문 같은 전통 건축이 건재하고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나 리움 미술관처럼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현대적 작품도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지식과 감각으로 무장한 젊은 건축가의 활약이 돋보인다. 역사와 시간을 간직한 의미 있는 건축, 과거의 유산을 새로운 상상력으로 복원한 개성 있는 건축, 삶의 조건으로서 주거 공간에 대한 고민을 풀어낸 작품, 작은 방 하나, 계단 한 층에도 빛과 바람과 자연을 담으려는 건축 등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독특한 개성과 열정으로 우리 도시를 빛나게 한다. 여기 우리 일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아름답고 개성 넘치는 건축들을 소개한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レビュー

2

目次

1. 공간에 시간을 그리다 하도하도-두 개의 돌집 썩 잘 어울리는 동거 빈티지 제주 옛 기억과 새로운 풍경 성북동 주택 위치에 따라 시대가 변하다 가달가옥(嘉達家屋)이라 불리는 집 전통과 현대의 연결 서소문 성지 역사 박물관 파란만장한 기억과 체험 빛과 어둠의 교차 전시 공간의 본질을 찾아서 안중근 의사 기념관 시간의 흐름: 기념과 의식의 동선 추모의 공간 기승전결이 있는 한 편의 영화 청산도 향토역사 문화전시관 슬로시티: 느린 시간의 중첩 남김과 덧댐의 미학 기억, 그리고 일상적 풍경 2. 모두의 삶을 담다 제주 덕수리 공유 주말 주택 도시인의 로망을 품은 집 ‘건강한 불편함’을 만나다 나만의 오두막 마련하기 부산 게스트 하우스 ‘다섯 그루 나무’ 빈 공간에서 별을 만나다 틈이 빚어내는 아름다운 풍경 프라이버시와 어울림의 배치 여수 상가 주택 ‘파동벽’ 남과 달라질 용기 자연을 갈망하는 건축 도시 한복판에서 바다를 만나다 서울 상수동 다세대 주택 ‘실버 ?胥? 고정관념을 깬 반투명의 미학 변화와 시간의 건축 오래된 풍경을 바꾸는 은근한 저항 강원도 진부 ‘평창치과’ 낯설지만 머물고 싶은 매스의 변화와 스토리텔링 근린 생활 시설의 새로운 모색 3. 주변과 경계를 공유하다 서울 용산 지하도 프로젝트 ‘꽃빛’ 어렴풋이 스며들다 타운 포털: 환상의 시공간 경계에 선 파사주 서울시립대학교 교문 도시와 대학의 경계를 허물다. 그라데이션과 렌티큘러?변화의 과정 탈권위의 시각적 완충 공간 서울 도시건축 전시관 열린 공간으로서의 건축 포용과 배려의 보이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서울 북촌마을 안내소 및 편의 시설 경계를 허물고 관통하다 가로 경관 건축: 좁지만 넓은 영향력 어울림과 연결의 미학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소요유: 확장과 긴장 자연으로 자연스럽게 연결과 소통의 시각화 4. 새로운 관계를 만들다 하동 두 마당 집+정금다리 카페 무위자연의 꿈 하동의 봄, 노스텔지어 교묘하게 얽힌 시선과 동선 무주 서림연가 차단과 개방의 심리전 노출 콘크리트-유리 프레임 효과 ‘우리’만의 휴가 평창 이효석 문화 예술촌 ‘효석 달빛 언덕’ 은유의 공간, 경계를 허물다 달빛과 메밀밭의 파빌리온 문학과 공원의 중층적 상상력 부산 영도 흰여울 전망대 집의 의미: 여행의 끝 바다와 육지의 경계를 만든 전망대 전망에 대한 재고(再考) 제주 산지천 전망대 모순 과정 지향성: 바다에 대한 일상의 상상 물리적 사색 공간의 확장 5. 다양한 개성을 새기다 연남동 어라운드 사옥 기하학의 현상학적 효과 일상의 반항: 가벼움과 주변을 보는 힘 익숙하지만 낯선 풍경 잠원동 ‘얇디얇은 집’ 사이트의 한계 극복 프로젝트 압축과 단절: 효과적인 감각적 시간의 체험 협소 주택의 모더니티 제주 남원 읍사무소 레트로의 미학 빛과 그림자의 힘 제주에서 만난 몬드리안 용인 ‘커빙 하우스’ 곡선 그리고 자연 자유로운 곡선의 상상 재료와 공간이 들려주는 이야기 청년문화 전진기지 ‘신촌, 파랑 고래’ 복고풍 시퀸 룩, 고래 청춘은 블링블링 젊은이의 건축 6. 공간으로 사회를 배우다 광명 볍씨학교 자유+성장: 공간 주권 의도된 불편함의 가치 미술관 같은 학교 부암동 부암어린이집 어린이의 눈과 기준 지역을 밝히는 은은한 등불 학교와 어린이집의 차이 파주 출판도시 뮤엠 사옥 땅과 풍경과 하늘과 건축적 감응 벽돌의 위트 출현: 대지에서 건축으로 남양주 ‘주택-카페-수영장 콤플렉스’ 사선의 의미 형태와 재료: 스며들기와 드러내기 경계를 잇는 사선의 건축 서울 논현 그라데이션 타워 적층의 논리학 도심 속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서울 북촌마을, 부산 흰여울 전망대에서 제주 돌집까지 일상에서 만나는 어울림과 연결의 건축 미학 한국의 도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한다. 경복궁과 남대문 같은 전통 건축이 건재하고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나 리움 미술관처럼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현대적 작품도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지식과 감각으로 무장한 젊은 건축가의 활약이 돋보인다. 역사와 시간을 간직한 의미 있는 건축, 과거의 유산을 새로운 상상력으로 복원한 개성 있는 건축, 삶의 조건으로서 주거 공간에 대한 고민을 풀어낸 작품, 작은 방 하나, 계단 한 층에도 빛과 바람과 자연을 담으려는 건축 등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독특한 개성과 열정으로 우리 도시를 빛나게 한다. 여기 우리 일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아름답고 개성 넘치는 건축들을 소개한다. 3인의 건축가와 함께하는 건축과 공간, 삶과 관계에 관한 통찰 『말을 거는 건축』은 3인 건축가와 함께하는 한국 현대 건축 기행이다. 이들의 ‘낯설게 보기’는 쉽게 지나쳤던 삶의 공간을 재해석하면서 새롭게 우리의 감성을 자극한다. 공간, 삶, 경계, 관계, 개성, 사회 등 그 주제 또한 관심 영역만큼이나 폭넓다. 이 책이 더욱 특별하게 읽히는 지점은, 이들이 기꺼이 함께하되 각자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독특한 이력만큼이나 생각이 다른 3인이 자기만의 눈으로 건축을 바라보고 그 안에 깃든 의미를 통찰한다. 리모델링한 제주 돌집을 살피면서 한 사람이 전통과 현대라는 이질적 요소의 결합에 주목했다면, 다른 한 사람은 건물의 빈티지한 감성에 주목하고, 다른 한 사람은 동선과 시선을 나누는 공간 디자인을 다루는 식이다. 서로의 시선이 자유롭게 만나고 교차하면서 보여주는 독특한 무늬와 울림은 이 책이 선사하는 특별한 재미다. 전국에서 찾은 30개의 개성 있는 건축물 150여 장의 컬러사진과 함께 수록 이 책에는 모두 30개의 아름답고 개성 있는 건축물이 등장한다. 해외에서나 만나볼 수 있는 건축물이 아니다. 마을버스를 타고 찾아갈 수 있는 이웃 같은 건물들이다. 서울만 해도 이런 건축물이 많다. 북촌마을 입구는 벽을 허물고 새롭게 단장했으며 서소문 성지 역사 박물관은 지하에 멋진 기하학적인 전시 공간을 숨겨두고 있다. 서울 세종로에 있는 도시건축 전시관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대지와 건물을 하나의 표면으로 통합하려는 건축 경향) 방식으로 지어져 시민들에게 여유 공간을 선사하고 있다. 이들은 겉보기에도 아름답지만 건축학적으로도 매우 의미가 깊다. 이 밖에도 전국 각지에는 숨은 보석처럼 빛나는 건축물이 많다. 필진들은 직접 현장을 찾아 그곳에서 느낀 감동을 150여 컷의 생생한 컬러 사진과 함께 담아냈다. 전문가들의 세심한 안내와 함께, 벽돌 하나하나가 마치 씨앗처럼 대지에서 솟아나는 건축, 거대한 곡선으로 구성한 아름다운 건축, 지하에 펼쳐지는 장엄한 공간의 건축 등을 둘러보며 흥미로운 건축 여행을 즐겨보자. 건축에 관한 철학적 접근 일상과 삶을 낯설게 보기 서울 잠원동에는 폭이 1.5미터의 협소 주택이 있다. 대지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건축가가 차용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야기를 듣다 보면 우리는 어느새 건축에서 구현되는 공간과 시간성을 이해하게 된다. 전라남도 여수에는 바다를 닮은 아름다운 건축물이 있다. 벽돌로 하나하나 쌓아 올린 이 건물 앞에서 필자는 부분과 전체, 모나드(Monad)라는 존재론적 질문과 마주한다. 그들은 또한 우리에게 묻는다.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 건축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넓은 평수의 아파트와 자연을 압도하는 과시적 인공물에 길들여진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은 낯설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 3인의 건축가와 함께하다 보면 어느새 자기만의 답을 찾을 수 있다. 건축은 단순히 집을 짓는 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건축은 그 자체로 우리의 삶을 반영한다. 그러기에 훌륭한 건축을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그런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필자의 지적은 곱씹어볼 만하다. “소중한 건축은 항상 거기에 있었다. 다만 우리가 눈여겨보지 않았을 뿐이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