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염생식물

김은규
36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

염분이 있는 땅, 즉 바닷가에서만 자라는 식물을 염생식물이라고 한다. 그들도 꽃을 피우고 번식하며 생을 이어가지만, 염분이 있는 땅에서 수분을 섭취해야 하다 보니 내륙의 식물과 살아가는 방법이 다르다. 바닷가에 가면 늘 마주치는 식물인데도 우리나라 염생식물에 대한 자료는 매우 빈약하다. 심지어 염생식물의 범주조차도 명확하지 않다. 이 책에서는 염생식물의 범주를 설정하고, 우리나라의 염생식물을 95종으로 정리했으며, 갯벌, 기수지역, 해안사구, 간척지, 남부지역으로 서식지를 나눠 80종의 생태와 형태를 소개했다. 염생식물에 대한 자료가 부족했던 점을 고려해 종별로 가능한 다양한 사진을 수록했고, 염생식물의 삶의 터전인 염류토양에 대해 설명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著者/訳者

目次

12 염생식물의 이해 14 염생식물 연구사 19 염생식물 정의 염생식물 | 염생식물과 중성식물 | 염생식물 구분 26 염저항성의 생리적 기전 삼투압 현상과 염생식물 | 염생식물의 생존 전략 | 삼투압 조절 | 염농도 조절 | 기타 기전 33 염생식물 분류 기준 생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 생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 생육 특성에 따른 분류 | 귀화 여부 39 염생식물 군락의 생태적 기능 40 이용 44 염류토양 44 염류토양의 특성 토양염농도 | 토양 pH | 교환성나트륨퍼센트 | 염소이온(Cl-) 53 염류토양의 기원 58 염생식물 분포지와 분포 특성 61 갯벌 64 해안사구 69 기수지역 72 기타 염류토양 간척지 | 염전 80 섬과 남부지역 81 염생식물의 생태적 분포 특성 염농도 구배에 따른 공간분포 | 연속분포 90 염생식물의 종류와 생태 94 염생식물 분포와 토양염농도의 범위 95 외국의 염생식물 등록종 비교 100 갯벌의 염생식물 지채 | 갯잔디 | 천일사초 | 가는갯능쟁이 | 퉁퉁마디 | 방석나물 | 나문재 | 칠면초 | 기수초 | 해홍나물 | 갯질경 | 큰비쑥 144 해안사구의 염생식물 갯그령 | 왕잔디 | 띠 | 갯쇠보리 | 통보리사초 | 좀보리사초 | 참골무꽃 | 방울비짜루 | 버들명아주 | 솔장다리 | 수송나물 | 호모초 | 해당화 | 갯완두 | 갯사상자 | 갯방풍 | 갯메꽃 갯실새삼 | 모래지치 | 순비기나무 | 해란초 | 개질경이 | 창질경이 | 백령풀 | 사철쑥 | 갯씀바귀 226 기수지역의 염생식물 갈대 | 모새달 236 간척지의 염생식물 산조풀 | 갯꾸러미풀 | 갯드렁새 | 새섬매자기 | 수원고랭이 | 물골풀 | 큰옥매듭풀 | 취명아주 | 갯댑싸리 | 갯개미자리 | 위성류 | 갯개미취 | 비쑥 | 사데풀 272 남부지역의 염생식물 갯보리 | 우산잔디 | 갯강아지풀 | 밀사초 | 향부자 | 왕모시풀 | 번행초 | 큰개미자리 | 갯패랭이꽃 | 갯장구채 | 염주괴불주머니 | 갯무 | 섬갯장대 | 땅채송화 | 돌가시나무 | 우묵사스레피 | 애기달맞이꽃 | 갯강활 | 갯기름나물 | 갯까치수영 | 낚시돌풀 갯쑥부쟁이 | 해국 | 털머위 | 갯금불초 | 갯고들빼기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소금기 있는 땅에 사는 식물 80종 수록 염류토양과 염생식물을 이해하는 좋은 참고서 염생식물은 염분이 있는 땅이 좋아서 바닷가에 사는 것일까?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같은 서식지에 사는 같은 종이어도 염농도가 낮은 위치에 사는 개체가 더 잘 자라고 번식률도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염생식물이 염류토양을 좋아해 바닷가에 자리 잡았다기보다는 경쟁을 피해 바닷가로 밀려와 적응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부족한 수분, 해풍과 해무,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염생식물의 삶을 살표보자. 염생식물의 범주와 우리나라 서식종 목록 정리 이 책에서는 염생식물을 생리적 특성과 생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한다. 생리적 특성에서는 절대염생식물과 임의염생식물로 나누며, 생태적 특성에 따라서는 침수, 친수, 반친수·반건조, 호건성으로 구별한다. 이런 조건에 해당하는 우리나의 염생식물을 총 95종으로 정리하고 그중 80종에 대한 설명을 수록했다. 염생식물의 터전 염류토양 이해하기 염농도가 높은 바닷가에 사는 식물의 생존원리를 이해하려면 먼저 염류토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염류토양의 특성 및 기원에 대해 소개하고, 염생식물이 사는 지역을 갯벌, 해안사구, 기수지역, 간척지, 남부지역으로 구분해 서식지에 따른 분포 특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염류토양에 적응하기 위한 염생식물의 구조적, 생리적 변화와 특성에 대해 소개한다. 형태와 생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다양한 사진 수록 염생식물에 관한 기존의 자료가 매우 부족한 편이어서, 이 책에서는 각 종별로 가능한 다양한 사진을 제시했다. 식물의 각 부위, 서식지의 풍경, 군락을 이룬 장면 등 사진 하나하나가 모두 귀중한 정보가 될 것이다.

本サイトのすべてのコンテンツはWATCHA PEDIAの資産であり、事前の同意なく複製、転載、再配布、引用、クローリング、AI学習、データ収集などに使用することを禁じます。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