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발터 벤야민
214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8(15人)
評価する
3.8
平均評価
(15人)
b판고전 시리즈 9권. 발터 벤야민이 1919년 베른대학교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을 완역한 책이다. 독일 초기낭만주의자들이 일컫는 ‘예술’ 및 ‘예술비평’이라는 개념이 어떠한 사상적 연원에서 출발하고 또 어떠한 근본특성을 띠고 있는지를 규명한 것으로, 형식상으로는 학위논문의 학술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동시에 벤야민의 이후 사상 및 비평 전체의 가늠자 구실을 한다. 베른에서의 5년 동안의 생활 뒤에 고향 베를린으로 돌아와서 집필한 「괴테의 친화력」(1921-22)은 다름 아닌 이 논문의 비평 정신을 괴테의 소설 <친화력>에 실제 응용한 비평문이라 할 수 있으며, 1930년 전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벤야민의 문예비평과 저술들 역시 이 논문의 주요모티프와 방법론에 많은 부분 의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8(15人)

著者/訳者

目次

서론 Ⅰ. 문제설정의 제한 9 Ⅱ. 문헌들 15 제1부 반성 Ⅰ. 피히테에서 반성과 정립 23 직접적 인식 / 정립의 제한 / 반성의 제한 Ⅱ. 초기낭만주의자들에게서 반성의 의미 37 반성의 세 단계 / 예지적 직관 / 반성매체 / 예술 Ⅲ. 체계와 개념 61 절대적 체계 / 신비적 용어법 / 기지 / 비평이라는 용어 Ⅳ. 초기낭만주의의 자연인식론 83 자기인식 / 객관인식의 근본명제 제2부 예술비평 Ⅰ. 초기낭만주의의 예술인식론 99 반성매체로서의 예술 / 비평 / 작품의 자율성 Ⅱ. 예술작품 117 예술작품의 형식 / 내재적 비평 / 소재의 아이러니와 형식의 아이러니 Ⅲ. 예술의 이념 141 형식들의 통일 그리고 작품 / 전진적인 보편시 / 선험론적 시 / 소설 / 산문 / 깨어있음 / 비평 초기낭만주의의 예술이론과 괴테_179 이념과 이상 / 음악적인 것 / 무제약적 작품 / 고대 / 양식 / 비평 인용된 논저 목록 197 옮긴이 해제 203 인명 찾아보기 213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도서출판 b의 'b판고전' 시리즈 09번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1892-1940)이 1919년 베른대학교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Der Begriff der Kunstkritik in der deutschen Romantik의 완역이다. 이 책은 독일 초기낭만주의자들이 일컫는 ‘예술’ 및 ‘예술비평’이라는 개념이 어떠한 사상적 연원에서 출발하고 또 어떠한 근본특성을 띠고 있는지를 규명한 것으로, 형식상으로는 학위논문의 학술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동시에 벤야민의 이후 사상 및 비평 전체의 가늠자 구실을 한다. 베른에서의 5년 동안의 생활 뒤에 고향 베를린으로 돌아와서 집필한 「괴테의 친화력」(1921-22)은 다름 아닌 이 논문의 비평 정신을 괴테의 소설 <친화력>에 실제 응용한 비평문이라 할 수 있으며, 1930년 전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벤야민의 문예비평과 저술들 역시 이 논문의 주요모티프와 방법론에 많은 부분 의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벤야민은 이 책에서 초기낭만주의자들, 특히 프리드리히 슐레겔과 노발리스가 말하는 ‘예술’을 ‘절대적인 반성매체’라는 말로 풀이한다. 그에 따르면, “방법적으로는 낭만주의의 예술이론 전체는 절대적인 반성매체를 예술로서,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예술의 이념으로서 규정하는 데에 의거하고 있다.” 이 경우 예술이 반성매체라 불리는 이유는, 그것이 하나의 독자적 체계를 이루면서 그 안에서는 개별개념들의 항상적인 매개적 연관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평개념이 낭만주의의 예술 및 그 작품에 도입되었을 때, 종래의 ‘예술판정가’라는 표현 대신에 ‘예술비평가’라는 표현이 비로소 성립한다. 예술작품은 더 이상 ‘미적 쾌’나 ‘만족’에 의해 성립되는 취미의 대상이 아니다. 벤야민에 따르면, 여기에서 비평의 중점은 결코 개개 작품의 평가가 아니라 개개 작품이 다른 모든 작품들에 대해 그리고 마침내는 예술의 이념에 대해 지니고 있는 관계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비평은 그 본질에 대한 오늘날의 이해와는 판이하게, 한편에서는 작품의 완성, 보완, 체계화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절대적인 것 내에서의 작품의 해소이다. 이 두 과정은 궁극적으로는 하나가 되거니와, 벤야민은 이것을 ‘내재적 비평’이라고 표현한다. 어떤 작품의 내재적 비평이 가능하다는 것은 예술이라는 매체 속에서 절대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그러한 반성이 작품 속에 존재해 있다는 의미이며, 바로 그러한 것이야말로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7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