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_논리보다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파리
_우리 행동은 누군가에 의해 유도되고 있다
_사람을 움직이는 집파리 효과와 인지 편향
_행동경제학을 제대로 알기 위한 주의사항
_집파리 효과가 넘치는 도시 라스베이거스
1장 뇌에 쉽게 속아 넘어가는 우리들
_내 얘기인 것 같다고 누구나 생각한다
_우리는 생각만큼 스스로를 잘 알지 못한다
_현대인의 삶에 어울리지 않는 충동성이 유전자에 새겨진 이유
_자신감 과잉은 인간의 본능이다
_무식한 사람보다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자신감을 가질 수 없는 이유
_당신을 착각하게 만드는 뇌의 메커니즘
_인간의 의식은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할 수 없다
_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타인이 있을 때이다
_마음가짐이나 각오보다 환경을 바꾸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
_실패는 네 탓이고 성공은 내 덕분이다
_자기기만의 본질은 자기 자신을 거짓말로 속이는 것이다
_아무 효과도 없는 가짜 약이 진짜 효과를 가져온다
_뇌를 속이는 누름 버튼이 당신을 보호한다
_맛있는 것이 비싼게 아니라 비싼게 맛있다고 느껴진다
_머리로는 알지만 뇌가 속아 넘어간다
_처음 인사할 때는 차가운 손으로 악수하지 말 것
_1장 요약: 뇌는 우릴 끊임없이 속일 것이다
2장 왜 뇌는 본능적으로 나태해지는가
_20달러를 받기 위해 27달러를 지불한다
_광고비 없이 매출을 두 배로 늘리는 간단한 방법
_비즈니스와 공공기관에서 사용되는 넛지
_캐시백 제도는 의도적으로 귀찮게 만들어졌다
_귀찮아서 자살하기도 싫어진다
_의사결정의 95퍼센트는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_폭도로 변한 시민들도 질서를 지켜 순순히 행진하는 이유
_많은 정보보다 알기 쉬운 정보가 더 효과적이다
_왜냐하면이라는 말만 해도 뇌는 설득 당해버린다
_선택지를 없애는 것이 성공적인 판매의 핵심
_선택해야 한다면 밸런스 게임으로
_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괜찮다
_나도 모르게 기본값을 선택하고 있다
_어설픈 광고에 속지 않았지만 결국 그 물건을 산다
_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가는 이유
_브랜드 리뉴얼의 실패는 습관과 연관되어 있다
_중간에 그만두는 게 아까워서 새로운 습관을 만든다
_사용자를 매료시키는 훅 모델 4단계
_좋은 습관을 만드는 데 집파리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_아예 모르는 것보다 조금 알고 있어야 한다
_2장 요약: 간단명료함의 과학
3장 뇌는 상상의 고통에서 도망치고 싶다
_가장 무서운 것은 잃는다는 것
_우리가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하는 이유
_돈을 쓴다는 것은 육체적으로 괴로운 일이다
_우리는 경제적 위안을 위해 음식을 선택한다
_왜 축구 선수들은 낮은 슛을 고집할까
_사람들은 어찌됐건 안전한 것을 택한다
_위험을 피하는 것이 곧 선택이다
_질병에 걸리는 것보다 백신 부작용이 더 무섭다
_결정은 바로바로
_우리는 선택 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
_창고 정리 세일이 우리의 발목을 붙잡는 이유
_총지출액을 계산하면서 쇼핑해야 좋을까
_무한 리필 음식점에 가는 것은 심리적으로도 좋은 일이다
_불확실성이 고통스러운 것은 당연하다
_정확하지만 불편한 정보는 보고싶지 않다
_3장 요약: 불안을 불안해하지 않기
4장 다른 사람과 같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뇌
_비합리적이더라도 긴 줄 뒤에 줄서고 싶다
_주변과 같은 것을 선택해 위험을 피하고 싶다
_왜 우리는 제한에 취약한가
_베스트셀러는 자동으로 계속 팔린다
_잘못된 행동을 지적해도 개선되지 않는 이유
_집단에 속하고 싶다는 욕구는 매우 강하다
_인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_사회적 규범이 집단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_타인의 생각을 알면 자신의 행동도 달라진다
_○○하기 시작했다고 변화를 강조하면 사람의 행동이 변한다
_사람은 일정한 조건 하에서 서로 협력하는 특성이 있다
_게스트가 리뷰를 정직하게 남길 수 없는 이유
_진정으로 사교적인 사람은 타인을 위해 행동한다
_좋은 말을 하는 사람은 좋은 일을 하지 않는다
_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사람은 행동을 바꾼다
_권위를 앞세우면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없게 된다
_광고는 모든 방식으로 권위화 되고 있다
_여러분도 아시다시피로 권위를 높일 수 있다
_나보다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고 있다
_뛰어난 문학작품을 읽으면 전략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_호혜적 관계가 인류 문명의 기반이 되고 있다
_사람에게 친절을 베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