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는 영화를 어떻게 사랑하는가. 여기 한 언론사에서 10년간, 사회부와 문화부, 그리고 정치부와 산업부를 두루 거치며 영화를 사랑하고 있는 기자가 있다. 그리고 끝내 영화 매체를 창간한 시네필이 있다. 손정빈 기자는 영화라는 환영(幻影)을 끊임없이 좇으면서도, 그런 자신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처럼(歡迎) 보인다. 그가 자신의 기자 생활과 영화를 교차하거나 평행하여 편집할 때, 독자는 어느새 깨닫고 만다. 아, 이것이 기자가 영화를 사랑하는 방식이구나.
“그리고, 〈우리의 자리〉를 시작한다.”
〈우리의 자리〉는 언론·출판인 에세이 시리즈이다. 언제부턴가 ‘기레기’라는 오명이 자연스러워진 언론인들, 늘 불황이라면서도 스스로 그 길을 선택하여 걷고 있는 출판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욕먹어 싸더라도 그들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니까. 구조적인 문제로만 탓을 돌리기엔 개개인이 지금도 고군분투하고 있으니까. 언제까지고 이들을 비난하고 조롱해 봤자 나아지는 것은 없다. 그럴수록 우리가 사는 세상은 더욱 빠르게 망가질 것이다. 소명할 건 소명하고 반성할 건 반성해야 한다. 그리고, 그래서, 그럼에도, 이제는 다 함께 나아가야 한다. 우선 세 기자의 책을 동시에 펴내며, 이후에는 언론인과 출판인을 망라하여 시리즈를 이어 갈 생각이다. 이 시리즈가 우리 사회의 저널리즘과 출판정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계속 고민해 보겠다.
그리고, 〈우리의 자리〉를 시작한다. ‘그래서’(로) 시작할 수도 있고, ‘그럼에도’(로) 시작할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로) 시작하고 싶다. 희망을 찾아서 시작하는 것도 아니고, 절망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그냥, 일단 시작해 보고 싶기 때문이다.
〈우리의 자리〉는 언론·출판인 에세이 시리즈이다. 언제부턴가 ‘기레기’라는 오명이 자연스러워진 언론인들, 늘 불황이라면서도 스스로 그 길을 선택하여 걷고 있는 출판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욕먹어 싸더라도 그들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니까. 구조적인 문제로만 탓을 돌리기엔 개개인이 지금도 고군분투하고 있으니까. 언제까지고 이들을 비난하고 조롱해 봤자 나아지는 것은 없다. 그럴수록 우리가 사는 세상은 더욱 빠르게 망가질 것이다. 소명할 건 소명하고 반성할 건 반성해야 한다. 그리고, 그래서, 그럼에도, 이제는 다 함께 나아가야 한다. 우선 세 기자의 책을 동시에 펴내며, 이후에는 언론인과 출판인을 망라하여 시리즈를 이어 갈 생각이다. 이 시리즈가 우리 사회의 저널리즘과 출판정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계속 고민해 보겠다.
그런데 왜, 에세이인가. 안 그래도 하고많은 게 에세이인데. 짧게 답하자면 에세이야말로 우리가 가장 잘 흐를 수 있는 자리라고 보았다. 사적일 수도 있고, 공적일 수도 있고, 가벼울 수도 있고, 무거울 수도 있고(특정할 수 없는 내용). 때론 시보다 아름답고, 때론 강령보다 강렬하며, 때론 매뉴얼보다 상세하기를(특정할 수 없는 형식). 우리가 있는 자리는 어디인가, 어디여야 하는가, 또 어디일 수 있는가. 이걸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자리가 에세이 말고는 떠오르지가 않았다.
시리즈의 첫발을 박정환·손정빈·고기자 세 명과 함께 뗄 수 있어서 기쁘다. 이들에게는 풍부한 경험과 깊은 사유가 있고, 무엇보다 미래가 있다. 특히, 손정빈 기자는 독자로 하여금 기자가 영화를 어떻게 사랑하는지 잘 보여 준다. 그는 한 언론사에서 10년간, 사회부와 문화부, 그리고 정치부와 산업부를 두루 거치며 영화를 사랑해 왔다. 그러다 끝내 영화 매체 『무비고어』를 창간했다. 손정빈 기자는 영화라는 환영(幻影)을 끊임없이 좇으면서도, 그런 자신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처럼(歡迎) 보인다. 그가 자신의 기자 생활과 영화를 교차하거나 평행하여 편집할 때, 독자는 어느새 깨닫고 만다. 아, 이것이 기자가 영화를 사랑하는 방식이구나. 그리고 마침내, 독자 자신은 영화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자문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