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문화도시 - 평평한 세계 속의 도시를 위한 서사
제1부 문화도시 이론
1 왜 문화도시인가
1. 문화와 도시
2. 도시의 어원 및 정의
3. 도시의 형성과정
4. 도시의 발달단계
5. 문화도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
2 도시의 관점에서 본 문화도시
1. 도시연구의 관점들
2. 도시이론의 변화과정
3. 도시이론의 대가들
3 문화의 관점에서 본 문화도시
1. 문화의 확대와 포용
1) 포디즘과 포스트포디즘
2)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3) 현대도시와 인간 삶의 다양성
2. 문화와 도시의 만남
1) 문화에 대한 인식변화
2) 문화도시가 주목받는 계기들
3) 문화와 경제의 결합: 컬처노믹스
제2부 문화도시의 분석
4 문화도시의 주요 키워드
1. 문화도시 성공의 요건
2. 문화도시의 유형 분류
3. 복합성과 다양성을 지향하는 문화도시
5 체험으로서의 문화도시
1. 체험과 랜드마크
1)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2) 뉴욕: 휘트니 미술관, 모마 미술관, JFK 도서관&박물관
3)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하버브릿지
4) 프라이부르크: 태양의 도시
5) 가마쿠라: 역사와 자연
6) 부다페스트: 아름다운 도시 조명
7) 잘츠부르크: 음악의 도시
8) 베네치아: 물 위의 도시
9) 도빌: 아름다운 해변과 문학
10) 바르셀로나: 전통 건축예술의 도시
11) 두바이: 현대 건축예술의 도시
12) 파리: 세계문화의 수도
2. 체험과 가로환경재생
1) 시애틀: 장기 경관 조성 전략
2) 뉴욕: 센트럴파크
3) 도쿄: 도쿄 경관계획
3. 체험으로서의 축제
1) 아비뇽: 아비뇽 축제
2) 에든버러: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3)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
4) 리우데자네이루: 리오 카니발
5) 마인츠: 라인 카니발
4. 체험으로서의 테마파크
1) 윈저 레고랜드
2) 하우스텐보스
3) 아사히야마 동물원
6 스토리로서의 문화도시
1. 엑상프로방스: 폴 세잔
2. 오덴세: 안데르센
3. 브라쇼브: 드라큘라
4. 투르크: 무민
5.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종교
6. 바스: 전설의 도시
7. 클라겐푸르트: 민족적 다양성이 만든 문화
8. 스트랫 포드: 셰익스피어
7 창조로서의 문화도시
1. 창조도시의 의의
2. 캐나다의 창조도시
1) 밴쿠버: 문화지향적 계획
2) 토론토: 다민족 피플 시티
3) 오타와: 풍부한 전통의 계승·발전
4) 할리팩스와 브리즈번: 다양한 네트워크의 성장
5) 퀘벡: 작은 파리
6) 사스카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혁신
3. 미국의 창조도시
1) 노스캐롤라이나 주: 세계적 IT단지 육성
2) 피츠버그: 공해 탈출과 도시 재개발
3) 리치몬드: 대학, 기업, 연구소의 유기적 연계
4) 시애틀과 포틀랜드: 고급문화와 디자인의 도시
4. 동아시아의 창조도시
1) 다산즈: 공장지대에서 예술특구로
2) 도쿄: 10년 계획에 의한 문화부흥
8 재생으로서의 문화도시
1. 도시 쇠퇴의 3가지 유형
2. 도시재생 과정
3. 문화콘텐츠산업에 의한 도시재생 사례
1) 셰필드: 문화산업지구제
2) 게이츠헤드: 폐광촌에서 예술도시로
3) 리버풀: 풍부한 문화자산의 산업화
4. 대도시의 도심재생 사례
1) 요코하마: 중앙정부, 지방행정, 지역주민의 긴밀한 협조
2) 파리: 주변 낙후지역 재정비
5. 도시 속의 소규모 문화운동들
1) 세인트루이스: 주말여가 프로그램
2) 로스앤젤레스: 도시공동체 텃밭
3) 필라델피아: 무료공연 프로그램
4) 베를린: 주거지 정비사업
9 네트워크로서의 문화도시
1. 네트워크와 도시공간의 관계
2. 낭트 시의 사례: 세계시민의 집
3. 제3의 장소이론
1) 실리콘밸리와 루트128: 암묵지가 창출되는 곳
2) 사이버스페이스: LA와 런던의 가상도시
10 문화도시 추진을 위한 리더십과 파트너십
1. 헤이온와이: 한 개인이 만든 책방 마을
2. 랑독-루시옹: 국가, 공공단체, 민간기업의 협력
3. 리버풀: 공공부문과 민간기업의 협력
4. 라이프치히: 구 동독의 발전을 위한 문화도시
5. 가나자와: 시 당국에 의한 전통기반의 문화도시 추진
6. 꾸리찌바: 한 시장이 추진한 계획도시
7. 파리: 라데팡스 지역의 문화상업지역 추진
8. 얼바인: 민간기업이 추진한 계획도시
9. 추진유형의 다양성
제3부 한국 문화도시의 분석
11 한국 문화도시의 발전
1. 한국의 지역발전과 문화도시
2. 한국의 문화도시 유형 분류
12 관광중심의 축제 문화도시
1. 전통·체험으로서의 축제
1) 보령: 머드와 웰빙 트렌드와의 조화
2) 안동: 전통의 국제화
3) 강진: 청자를 품다
4) 천안: 해외 벤치마킹의 성공
2. 지역자원으로서의 축제
1) 춘천: 지역적 분위기가 준 선물
2) 김제: 지평선의 자원화
3) 진주: 밤의 축제
3. 지역브랜드로서의 축제
1) 금산: 산업과 축제의 결합
2) 함평: 축제의 마케팅화
3) 하동: 스토리와 산업의 결합
13 생활기반 중심의 문화도시
1. 통영 동피랑: 달동네에서 ‘한국의 몽마르트르’로
2. 부산 보수동: 노스탤저와 희망의 결합
14 공동체 중심의 문화도시
1. 창작·문화 체험으로서의 예술촌
1) 파주 헤이리: 한국의 건축예술도시
2) 지례와 양평: 예술가들을 위한 마을
2. 지역문화 재생과 향유로서의 예술촌
1) 원주: 후용 공연예술센터
2) 밀양: 연극촌
3) 화성: 창문아트센터
4) 양주: 미추산방
5) 화성: 쟁이골
6) 강릉: 제비리 미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