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토그래피, 촬영의 모든 것

블레인 브라운
57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4.1(104명)
0.5
4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104명)

영상 언어의 예술 측면을 기본 바탕으로 필요한 기술 지식을 폭넓게 다룬 책이다. 특히 이론적 접근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사례들을 구체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촬영감독인 저자의 오랜 현장 경험과 학구적인 연구가 내용이 전반에 녹아 있다. ‘촬영의 모든 것’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책의 내용이 촬영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조명, 연출, 편집과 같이 촬영과 직접 관련이 있는 영상 제작의 전 분야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과 기타 제작 분야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명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별점 그래프
평균4.1(104명)
0.5
4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저자/역자

코멘트

9

목차

옮긴이 서문 서론_움직임을 기록하다 01 화면 구성 기법 영화의 문법 장면 구성의 기본 화면 구성 기법 장면 구성단위 인물 숏 속임수의 예술 마스터 신 구성 방법 플랑 세캉스 히치콕의 규칙 중복 촬영 몽타주 혼합 기법 02 시각언어 프레임 시각 디자인의 원리 3차원 공간 시각 구성 화면 구성의 기본 규칙 03 렌즈 언어 렌즈와 프레임 렌즈와 원근법 렌즈와 셔터를 이용한 기법 카메라의 높이 04 카메라의 움직임 카메라의 움직임 카메라 이동에 대한 동기부여 카메라 움직임의 기본 형태 움직임의 종류 카메라 장착 도구 이동 숏 달리숏 크레인숏 자동차 숏 항공촬영 모션 컨트롤 카메라 기타 특수촬영 장비 05 연속성 연속성의 종류 방향성 선 화면 방향 나눠 찍기 기타 상황에서의 연속성 소개 일곱 가지 종류의 컷 06 노출 빛 에너지 F스톱 노출, 감도, 조명의 상관관계 필름의 구조와 특성 적정 노출 노출계 존 시스템 그레이 스케일 07 색 이론 빛의 본질 색 인식 색상환 색 혼합 색의 상호 작용 색 모형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색 표현 방식 08 조명 장비 일곱 가지 종류의 기본 조명 장비 HMI 제논 탄소 아크 텅스텐 프레넬 파 확산 조명 촬영용 형광등 사이크, 스트립, 누크, 브로드 초롱과 공간 조명기 크레인 장착형 조명 장비 타원형 반사 집중 조명 풍선 조명 휴대용 조명 장비 조명의 조절 09 스토리텔링 기법으로서의 조명 스토리텔링 영화 조명의 역사 필름 누아르 시각적 은유 기법으로서의 조명 10 색 무엇이 하얀색인가? 색온도 색온도의 변환과 보정 저품질 조명의 보정 색 보정 스타일 11 광학 기초 물리학 기초 수학 초점 착란원 피사계 심도 접사촬영 클로즈업 촬영용 특수 렌즈 렌즈 테스트 렌즈의 관리 12 비디오 기초 비디오 기초 비디오 신호 웨이브폼 모니터와 벡터스코프 표준 모니터 설정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 색차신호 컴포넌트 비디오 방식 샘플링 방식 타임 코드 타임 코드의 종류 일반적인 비디오 촬영과 제작 HD 비디오 촬영 HD 촬영을 위한 조명 텔레시네 13 이미지 조절 컬러 인화 색과 명암 대비의 조절 블리치 바이패스 기타 현상 기법 필터의 종류와 효과 색온도와 필터 색온도 변환·보상·보정 필터 흑백필름의 명암 대비 조절 편광필터 중성 농도 필터 밝은 점광원과 필터 광선 분리 뷰파인더와 편광필터 영상 스타일 14 촬영 현장 촬영 현장 촬영 목록 촬영감독 촬영 팀 촬영의 진행 순서 15 그 밖에 알아 두어야 할 기술적인 내용 태양의 위치와 나침반 깜빡임 모니터 촬영 특수 효과 촬영 조광기 스트로브 조명 고속 촬영 접사촬영을 위한 조명 폴라로이드 사진의 활용 수중 촬영과 조명 화질 분석 특수 효과 저속 촬영 시분할 촬영 기법 16 필름의 다양한 형식 전체 구경 와이드스크린 아이맥스 16mm 필름 보론 아날로그 필름에서 디지털 4K까지 이미지 센서 이미지 특성: RAW와 로그 대표적인 4K급 디지털 카메라 촬영의 새로운 관심 주제: 3D 입체 영상 촬영 참고 문헌 참고 영화 목록 영화 원제 목록 감사의 글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네마토그래피는 영상 제작의 핵심이다. 필름, 비디오, 디지털 HD, 어디에서도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감독은 카메라로 이야기해야 한다. 촬영감독은 감독이 원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표현해야 한다.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영상 제작을 꿈꾸는 감독, 감독의 영상 세계를 제대로 표현하려는 촬영감독, 그렇다면 촬영의 기본 개념과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촬영뿐만 아니라 조명·연출·편집, 감독과 촬영감독의 의사소통 방법까지, 스스로도 깜짝 놀랄 영상을 만들기 위하는가? 이 책에 그 비법이 있다. [책의 내용] 이 책은 영상 언어의 예술 측면을 기본 바탕으로 필요한 기술 지식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특히 이론적 접근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사례들을 구체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촬영감독인 저자의 오랜 현장 경험과 학구적인 연구가 내용이 전반에 녹아 있다. ‘촬영의 모든 것’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책의 내용이 촬영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조명, 연출, 편집과 같이 촬영과 직접 관련이 있는 영상 제작의 전 분야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과 기타 제작 분야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도록 유연하게 설명한다. 전통적인 필름부터 디지털 HD까지 폭넓게 다룬다. 이제 영상 기술은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어 이제는 필름을 공부하거나 다룰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고급 디지털 HD카메라의 비디오 기술도 그 원리의 기반은 필름에서 출발하며, 오히려 이제는 필름에 가까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35mm 규격의 디지털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최근의 HD카메라들은 기록만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질 뿐, 이미지 특성은 완벽하게 필름과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최신 디지털 촬영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름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