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크 자르기

이은규님 외 10명 · 에세이/시
15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2.8(12명)
0.5
2.5
5
평가하기
2.8
평균 별점
(12명)

기억하고 있는 기념일 중 하나를 골라 시와 편지로 지나온 시간을 떠올리며 고백하는 기념일 앤솔러지 『케이크 자르기』가 출간되었다. 11명의 시인이 시간을 눌러 쓴 페이지마다, 이미 각인된 누군가의 이름도 적혀 있고, 돌이킬 수 없는 날의 장면도 드리워져 있다. 다 함께 모여 케이크에 초를 꽂고 단란하게 보내는 시간 뒤에는, 언제나 잠깐 암전되는 순간, 불이 꺼진 초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희뿌연 시간도 있기에. 어쩌면 반짝이는 축하와 기념 뒤에서 홀로 어둠을 머금으며 자라온 날들의 이야기일 수도 있다. 아마도 끝나버린 이야기, 어쩌면 다시 시작될 이야기……. 손바닥만 한 문고본에 담긴 시와 편지 속에는 언젠가의 우리의 모습이 일렁이고 있다. 생일부터 스승의날, 어버이날, 새해 전날과 12월 31일, 결혼기념일과 같이 매년 찾아오는 기념일부터 미래의 네 스물여섯 번째 생일, 독립, 졸업식, 이별, 그린데이 등 시인들마다 강렬하게 통과했던 기념일까지 다채로운 기억의 조각을 나눈다.

[월간 소장] 인사이드 르윈

100원으로 소장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 2.8(12명)
0.5
2.5
5

[월간 소장] 인사이드 르윈

100원으로 소장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시작하는 글 12월 31일 / 권누리 [시] 아키비스트 [편지] 새에게, 생일 / 조해주 [시] 반려 [편지] 숙희에게 결혼기념일 / 김은지 [시] 모르는 세계 [편지] 조금 다른 결혼을 하려는 E님에게 스승의날 / 유계영 [시] 그림자놀이 [편지] 그늘과 그림자—나의 선생님들에게 독립 / 정다연 [시] 여기에 오고 싶었어요 [편지] 당신에게 졸업식 / 정재율 [시] 단추 나눠 가지기 [편지] _______에게 미래의 네 스물여섯 번째 생일 / 안태운 [시] 하오 [편지] 미래의 네 스물여섯 생일을 기념하며 이별 / 배수연 [시] 이별의 날 [편지] 루다에게 새해 전날 / 김유림 [시] 둥근 사과 한 알이 일으키는 반성은 둥근가? [편지] 동생에게, 아버지께, 독자께 그린데이 / 이은규 [시] 그린데이(GreenDay) [편지] 가로수길 열두 번째 나무 아래서 만나요 어버이날 / 임승유 [시] 남겨놓은 것 [산문] 옥산과 상추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간에 각인된 이름을 손끝으로 만져보는 일 시와 편지로 다가서는 기념일 누구에게나 한 번 하루쯤, 있었을 법한 날들을 기념일로 호명하며 그날의 이야기를 시와 편지로 다시 써 내려가는 기념일 앤솔러지 『케이크 자르기』가 출간되었다. 시간에 각인된 순간으로 다가서는 이번 책에는 11명의 시인이 시와 편지를 통해, 지나온 기념일에 묻혀 있던 오랜 기억과 순간을 꺼내와 지금의 우리에게 내밀한 이야기로 들려준다. 한 손에 감기는 작은 판형의 문고본으로 출간된 이번 책은, 주고받음의 의미를 생각하며 작지만 빼곡한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개성 있는 시 세계를 구축하며 독자들에게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11명의 시인(권누리, 조해주, 김은지, 유계영, 안태운, 김유림, 임승유, 정다연, 정재율, 배수연, 이은규)이 참여해 지나온 시간을 함께 돌아보았다. 각자 시와 편지로 호명하는 기념일의 모양도, 종류도, 담겨 있는 이야기도 모두 제각기다. 그래서 한 권의 책에 담기는 의미를 더해주기도 한다. 이번 책은 케이크의 촛불을 불면 생기는 잠깐의 암전이나 꺼진 초의 연기와 같이 남몰래 자라나고 있던 어떤 어둠에 대해 다가서는 일일지도 모른다. 시와 편지는 모두 자신의 기억을 거쳐 태어난 기념일들로부터 적혔다. 그때의 나에게, 이제는 만날 수 없는 너에게, 앞으로의 우리에게…. 덮어쓸 수 없이 돌올한 날들을 불러와 시와 편지로 다시금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 모두 기억을 거쳐 가고 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시인 안태운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기억을 거쳐 어른이 된다”고. 이 기념일들에 기대어 우리가 무엇이 되어가고 있는지 돌아보는 일도 유의미할 것이다. 세상이 정해준 기념일이기도 하고, 스스로 정하게 된 기념일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기쁘고 단란한 일에만 기념일의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자신의 어떤 욱신거리는 부분일지라도, 그 시간을 통과하면서 비로소 마주할 수 있었던 오늘을 살고 있다면, 그날을 기념일이라고 부르는 것도 어색하지 않다. 그 과정에서 아물어 가던 상처와 흉터의 자리까지 이야기하면서 우리는 비로소 어떤 날을 기억 속에 간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번 기념일 앤솔러지 『케이크 자르기』는 시간에 각인된 이름을 만지고, 살아갈 날들 속에서 뒤돌아볼 수 있는 오랜 날의 장면들이 담겨 있다. 이 책으로 하여금 무수한 시간 속에서 희미하게 연결되어 읽는 이 모두가 케이크를 공평하게 자르는 또 하나의 기념일을 지나는 것이다. 부치지 못하고 오랫동안 서랍 속에 잠들어 있던 열한 명 시인들의 시와 편지를, 독자들의 우편함에 전하고 싶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