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내공

212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4(50명)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50명)
동서양 고전과 사상가들 글에서 말에 관한 것들만 뽑아내 그것을 토대로 말에 관해 사유한 책이다. 스피치 학원이 우후죽순 생길 정도로 말하기도 ‘기술’로 여기는 시대다. 하지만 이 책은 단기 속성으로 말 잘하는 비법을 소개하진 않는다. 말의 바탕부터 탄탄히 다져 올라가 말의 내용과 형식 두 측면에서 충실해지는 법을 8단계로 나누어 알려 준다. 저자들은 젊은 인문학자다. >논어>, >맹자>, >순자> 등의 기본 고전부터 알랭 바디우, 자크 랑시에르 등 서양 현대 사상가의 주요 저작까지 두루 섭렵해 이 책을 썼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말에 관한 아포리즘을 음미하고, 동서양 주요 고전들을 일별할 기회도 준다. 저자들에게 ‘말 공부’는 자신과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첫 실천이다. 말 공부 역시 자신을 수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저자들이 정의한 ‘말 공부’에서도 그런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별점 그래프
평균3.4(50명)

코멘트

8

목차

책을 내며 … 4 1단계 수양 말 그릇 키우는 법 그릇이 모나면 담긴 물도 모난다 … 17 선도 악도 생각지 마라 … 19 나는 언제나 주인공이다 … 21 각자 모두 ‘작품’이다 … 23 세상보다 자신을 더 사랑할 것 … 25 감정에 복종하지 말 것 … 27 관찰해야 알아차릴 수 있다 … 30 2단계 관점 관점 바꾸기 주관이 없는 사람의 말은 공허하다 … 37 다만 통찰하려 애쓸 뿐이다 … 39 관점이 바뀌어야 말도 바뀐다 … 41 세계관이 없는 건 불가능하다 … 43 무당과 목수는 서 있는 곳이 다르다 … 45 간절히 물어야 달라질 수 있다 … 47 진리는 하나가 아니다 … 50 3단계 지성 말이 깊어지려면 마음보다 높은 것이 지성이다 … 57 ‘엉터리 화가’에 대한 분노가 시를 쓰게 했다 … 59 죽을 때는 그 말이 선하다 … 61 책을 읽을 때도 마땅히 치열해야 한다 … 63 세상을 바꾸는 해석이라야 한다 … 66 말에 감금당하지 말 것 … 69 말의 좌우를 살펴라 … 71 4단계 창의성 참신하게 말하는 법 당신 안엔 무한한 힘이 있다 … 77 마음이 바뀌어야 패러다임도 바뀐다 … 80 새로움은 단절이 아니다 … 83 접목도 아이디어다 … 85 과거는 현재에 복무한다 … 87 ‘공백’에 주목할 것 … 90 글을 쓰면서 변하고 나누면서 또 변한다 … 92 5단계 경청 경청을 실현하는 법 빼앗고 싶다면 먼저 줘라 … 99 마음을 두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다 … 101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을 거울처럼 쓴다 … 103 이해와 오해는 함께 있다 … 105 글의 행간을 파악하면 맥락은 자연히 열린다 … 107 비판은 스스로를 갈고닦게 한다 … 109 험담에 내 생각을 얹을 필요는 없다 … 111 6단계 질문 잘 묻고 대답하려면 공부하지 않으면 물을 것이 없다 … 117 원래 그런 것은 없다 … 119 질문이 시선을 바꾼다 … 121 날 선 것도 무디게 할 정도로 부드러워야 한다 … 124 적당한 거리는 어디에서든 필요하다 … 126 당신을 신뢰할 때 질문이 시작된다 … 128 쇼펜하우어가 말한 이기는 대화법 … 131 7단계 화법 말하기 기술 정공법으로 싸우고, 변칙으로 이긴다 … 139 중용적 말하기를 지향할 것 … 141 오늘 깨우치지 못하면 내일 다시 가르쳐라 … 143 모르면서 안다는 것만큼 큰 무지는 없다 … 145 동의와 이해는 다르다 … 147 주도권을 쥐고 싶다면 사회자가 돼라 … 150 전략을 쓰되 거짓말은 안 된다 … 153 8단계 자유 실천할 말, 버려야 할 말 말의 세 가지 법칙 … 161 포도주 잔은 잊혀도 그 맛은 오래 남는다 … 163 자유인이 될 것 … 165 사다리를 딛고 올라선 후에는 걷어차라 … 168 언약이라고 다 지킬 필요는 없다 … 171 ‘예’와 ‘응’ 사이가 그리 먼가 … 173 명상이 침묵이고, 침묵이 명상이다 … 175 실전 말의 내공을 보여 준 성현들 이야기 석가모니 … 183 공자 … 186 한비자 … 189 예수 … 193 숭산 … 196 이규보 … 201 맹자 … 20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동서양 고전과 사상가들에게서 전수받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말에 관해 핸드폰에 ‘말’이 밀려난 지 오래다. 마주 앉아 있어도 대면하는 시간보다 각자의 폰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더 많은 게 현실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개발되는 등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전해도 인간이 말을 수단으로 소통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에게 말은 산소와 같으며, 이것이 인문학에서 말에 관한 사유를 놓지 못하는 이유다. 말이 ‘기술’이 아닌 내공으로 쌓이는 법 《말의 내공》은 동서양 고전과 사상가들 글에서 말에 관한 것들만 뽑아내 그것을 토대로 말에 관해 사유한 책이다. 스피치 학원이 우후죽순 생길 정도로 말하기도 ‘기술’로 여기는 시대다. 하지만 이 책은 단기 속성으로 말 잘하는 비법을 소개하진 않는다. 말의 바탕부터 탄탄히 다져 올라가 말의 내용과 형식 두 측면에서 충실해지는 법을 8단계로 나누어 알려 준다. 저자들은 젊은 인문학자다. 《논어》 《맹자》 《순자》 등의 기본 고전부터 알랭 바디우, 자크 랑시에르 등 서양 현대 사상가의 주요 저작까지 두루 섭렵해 이 책을 썼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말에 관한 아포리즘을 음미하고, 동서양 주요 고전들을 일별할 기회도 준다. 저자들에게 ‘말 공부’는 자신과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첫 실천이다. 말 공부 역시 자신을 수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저자들이 정의한 ‘말 공부’에서도 그런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단순히 화술이 능수능란한 상태를 이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해 성숙해져 있고, 타인에게 관심을 기울여 이해하며, 어떤 상황을 읽는 안목까지 갖춘 총체적인 상태를 이른다. 그리고 그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 ‘말 공부’다. -<책을 내며>에서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속담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말은 관계의 핵심이다. 말을 통하지 않고는 타인에게로 나아갈 수 없다. 말 때문에 번번이 손해를 입는다고 자책하는 사람들이나 인간관계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스스로를 점검하게 하고 나아갈 방향도 제시해 줄 것이다. 말의 품격을 올리는 여덟 단계 저자들은 말 공부법을 8단계로 제시한다. 1단계 <말 그릇 키우는 법>에서는 말 그릇을 키우려면 자존감을 기르고 감정을 경영할 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2단계 <관점 바꾸기>에서는 말 그릇을 키운 후 그 위에 어떤 관점을 확립하면 좋을지 말한다. 자신의 주관에 따라 자신이 속한 세상이 달라지고, 그 세상이 달라질 때 객관적인 세상도 달라질 수 있다. 3단계 <말이 깊어지려면>에서는 ‘지성’에 관해 말한다. 깊은 말을 하고 싶다면 깊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말의 내용을 깊게 하는 것이 지성이다. 지성은 자신을 알고 타인을 아는 것이며 사람을 알고 세상을 아는 것이다. 저자들은 타인의 말과 글을 타산지석 삼아 자신을 돌아보고, 타인의 견문을 통해 자신의 견문을 확장함으로써 지성을 연마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4단계 <참신하게 말하는 법>에서는 타인을 사로잡는 말과 형식에 관해 탐구한다. 기존과 무조건 달라야 새로운 건 아니다. 전적으로 새로워야 한다는 강박과, 반대로 이전 것을 그대로 답습하려는 안일함을 버릴 때 창의적일 수 있다. 5단계 <경청을 실현하는 법>에서는 ‘경청’에 주목한다. 경청을 해야 잘 말할 수 있다. 잘 들어야 상대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를 이해한 바탕 위에 비로소 나의 좋은 말을 세울 수 있다고 저자들은 강조한다. 6단계 <잘 묻고 대답하려면>에서는 질문에 관해 고찰한다. 저자들은 힘 있는 사람들이 질문을 ‘독점’하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질문다운 질문이 많아지는 사회를 꿈꾼다. 질문 있는 사회는 흐르는 물처럼 생동하고, 질문이란 곧 변화의 씨앗이고 소통을 현존시키기 때문이다. 7단계 <말하기 기술>에서는 말을 좀 더 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살펴본다. 나뭇가지의 근원이 뿌리이듯이 말을 잘하기 위한 기본 법칙에서 다양한 화술이 뻗어 나온다. 8단계 에서는 말의 실천 문제를 다룬다. 저자들은 자신의 말을 모두 실천할 필요는 없으며, 지켜야 할 말과 버려야 할 말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을 지켜 말의 구속에서 벗어날 수 있고, 또한 말을 버림으로써 말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 <말의 내공을 보여 준 성현들 이야기>에서는 역사에 기록된 석가모니, 예수 등 성현들의 지혜로운 대화 사례를 보여 준다. 석가모니는 자신에게 공양한 춘다의 죄책감을 덜어 주기 위해 역발상의 유언을 남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7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