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

성태용 · 인문학
3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2명)
코멘트
더보기

여전히 한국인들의 심성의 저류에 흐르고 있는 동양사상을 인도와 중국의 사상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책이다. 좋든 나쁘든 과거에 우리의 정신세계는 동양적인 가치관의 영향 아래 있었고, 오늘을 살아가는 한국인의 가치관이나 사회적인 통념에도 동양적인 사유가 여전히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양사상은 나 자신과 이웃,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필수적인 교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동양철학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불교도로서 재가불자 운동에도 힘썼으며, EBS의 『주역』 강의를 통해서 『주역』의 대중화에도 기여한 바 있는 저자는, 그동안의 연구와 강의 경험을 토대로 인도의 『바가와드 기타』와 불교, 중국의 공자, 맹자, 순자, 노자와 장자, 『주역』, 성리학까지 전통시대 한국인들의 심성에 큰 영향을 끼친 사상들의 핵심 주제와 사회경제적 토대, 이후에 끼친 영향력까지, 명쾌하고 친절한 강의를 통해 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_ 동양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가치관의 혼란과 동양사상 서양 문화의 유입과 문화적 소화불량 | 서양화에 잠복해 있는 동양적인 것 | 균형 잡힌 사고의 중요성 | 있는 그대로 보자 『서유기』와 동양사상 『서유기』의 비유 | 동양과 서양의 차이 동도서기(東道西器)는 가능한가 도(道)와 기(器)는 떨어질 수 없다 | 사상과 토양 | 욕망과 사명감 1장 _ 인도 고대사상의 흐름과 『바가와드 기타』 인도 문명의 형성 아리안족의 이주 | 유목문화와 농경문화의 결합 베다와 제사만능주의 『우파니샤드』와 범아일여 아트만 | 범아일여(梵我一如) 『바가와드 기타』, 비정통의 도전에 대한 대답 정통과 비정통의 차이 | 『바가와드 기타』의 무대, 『마하바라타』 | 전쟁을 앞둔 아르주나의 비통함 『바가와드 기타』와 요가 『바가와드 기타』의 우주관 | 카르마 요가, 너의 의무를 행하라 | 박티 요가 | 즈냐나 요가 | 새로운 척도의 등장 2장 _ 불교, 괴로움을 없애는 길 깨달은 인간, 붓다 불교와 인도의 신들 인도인의 상상력 | 윤회하는 신들 석가모니의 삶과 가르침 삼법인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기 | 존재하는 모든 것은 괴롭다 사성제 고통의 원인, 갈애 | 집성제와 십이연기 | 연기설 | 멸성제와 열반 | 도성제, 삼학과 팔정도 | 고요하지만 깨어 있는 불교의 역사 아난 존자와 불경의 집결 | 시대 상황의 변화와 부파불교 | 부파불교(소승불교)의 일반적 특징 | 대승의 출현 | 중관과 유식 | 불교의 전파와 선종 | 불교가 있게 된 세상 3장 _ 공자, 무너진 세상에서 이상 사회를 꿈꾸다 매력적인 인간, 공자 유가의 전인교육 | 공자의 출생과 가계 공자의 시대, 춘추시대 주 왕조 이전 | 주나라와 봉건제도 | 동주와 춘추시대 | 난세와 제자백가의 출현 나를 다스려서 세상을 바꾼다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 | 은자들의 무리 예(禮)의 회복 농업기술의 발달과 예의 붕괴 | 덕으로 다스리다 | 나는 예가 아깝다 인(仁)의 정의와 실천 최고의 덕, 인(仁) | 인의 실천 인격도야와 예 184 덕과 예의 조화 | 자상백자와의 만남 4장 _ 맹자, 대장부와 왕도정치 전국시대와 맹자의 왕도정치 전국시대 | 왕도와 패도 | 백성의 중요성 | 왕이 아니라 필부를 죽였다 | 흉년에 굶어 죽지 않게 성선설과 호연지기 왕도정치와 성선 | ‘성’에 대한 논쟁 | 대체를 기르는 법, 호연지기 두 개의 원동력 어떻게 꼭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 맹자의 이상주의 5장 _ 순자, 지적 인식을 통한 인격의 완성 강대국 진나라와 순자의 사상 순자 학문의 동기 | 인간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하나 | 법가와 유가 | 순자의 합리주의 순자의 인성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 성-정-욕(性-情-欲)과 지려(知慮) 공자의 예(禮) 사상의 계승자, 순자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 성왕(聖王)에 대한 믿음 황로학과 대청명의 경지 허(虛), 일(壹), 정(靜) | 남김없이 비추는 대청명의 경지 | 성인에 이르는 길 6장 _ 노장사상, 생사를 넘나드는 대자유 도가사상의 유래 도교와 도가 | 인도 기원설 | 초인(楚人) 정신 | 난세를 구원하자, 공자와 묵자 | 은자들의 사상 도가, 초월의 사상 대붕과 자유 | 자연의 입장 | 도(道)와 무(無) 온전히 살기 위하여 장자의 라이벌, 혜시 | 쓸모없음의 큰 쓸모 | 생과 사에서 벗어나기 문명에 대한 비판 기심(機心)을 경계하다 | 무위와 소국과민 | 노장사상의 효용 7장 _ 『주역』, 삶과 사회의 원리를 밝히다 『주역』은 어떤 책인가 『주역』은 점치는 책 | 태극기는 『주역』의 원리를 담은 것 | 『주역』의 성립 『주역』의 구성과 해석 음양에서 팔괘로 | 64괘, 사태를 말하다 | 상수학(象數學)과 의리학(義理學) | 운동과 변화의 책 | 여섯 개의 자리 | 비(比)와 응(應) | 중(中)과 정(正)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명쾌한 강의로 만나는 동양사상의 핵심적인 사유들! 『바가와드 기타』부터 성리학까지 한국인의 내면 깊숙이 뿌리내린 8개의 사유 이 책은 여전히 한국인들의 심성의 저류에 흐르고 있는 동양사상을 인도와 중국의 사상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책이다. 지난 백여 년간 우리 사회는 급격한 서구화를 겪었다. 사회구조부터 개개인의 생활양식까지 동양적인 것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지만, 좋든 나쁘든 과거에 우리의 정신세계는 동양적인 가치관의 영향 아래 있었고, 오늘을 살아가는 한국인의 가치관이나 사회 통념에도 동양적인 사유가 여전히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양사상은 나 자신과 이웃, 우리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교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한편으로 불교도로서 재가불자 운동에도 힘썼고, EBS의 『주역』 강의를 통해서 『주역』의 대중화에도 기여한 바 있는 저자는 인도의 『바가와드 기타』와 불교, 중국의 공자, 맹자, 순자, 노자와 장자, 『주역』, 성리학까지 전통시대 한국인들의 심성에 큰 영향을 끼친 사상들의 핵심 주제들을 상세히 살펴보는 한편, 각각의 사상이 나온 사회경제적 토양과 이후 사유의 전개에 끼친 영향까지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특히 저자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동양사상’을 바라볼 것을 주문하는데, 그럴 때만이 동양사상을 낡은 것이라고 무조건 배척하거나 ‘동양의 것이 가장 좋다’라는 식의 시대착오적인 수용에서 벗어나, 동양사상이 오늘날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지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