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정신 독립영화

서울독립영화제
295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서울독립영화제 50회를 기념하여 기획한 책이다. 50주년을 기점으로 1975년 이래 서울독립영화제의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영화제의 성과 유산을 발굴하고, 위상을 재정립한다. 독립영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하며 독립영화 환경과 정책에 대한 대안과 비전을 찾고자 한다.

저자/역자

목차

영화제 006 영화제의 역할과 비전, 독립영화는 어떻게 확장되었나? _ 김동현 010 반세기의 기록, 현재의 반영 _김형석 역사와 산업 014 한국 단편영화사와서울독립영화제의 50년 _ 원승환 032 독립영화는 산업을 활용하고 산업은 독립영화를 이용한다 _ 허남웅 작품과 경향 054 도착하지 못한 얼굴들: 2020년대 독립영화 형상에 관하여 _ 김병규 068 가난한 프레임이 일어나는 법 _ 남다은 080 세 여성 감독의 세계: 김보라, 이옥섭, 윤가은 감독의 영화 _ 손시내 092 ‘이강현’이라는 영화적 지도, 그리고 대척하는 힘 _ 김유성 106 여행자와 항해자: 실험적 독립 다큐멘터리가 세계를 탐구하는 방식_ 이도훈 120 디아스포라 다큐멘터리들 _ 조지훈 132 독립 애니메이션과 서울독립영화제, 두 독립체의 교차점에 관한 소견서 _ 나호원 156 독립영화의 얼굴들: 201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_ 김현민 운동과 정책 174 지역, 기획, 협업. 그리고 다시 독립영화 _정지혜 186 코로나19 이후 한국 독립영화 상황 속 커뮤니티 시네마의 영토화와 가치 증명 _임종우 198 독립영화의 정책 거버넌스가 걸어온 길과 과제 _김지현 인터뷰 214 지속하고, 기여하고, 책임지기. 배우 권해효 인터뷰 _박꽃 부록 228 독립영화 아카이브전 2017~2024 234 독립영화 100 리스트 271 타임라인 1975~2024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대정신 독립영화」는 서울독립영화제 50회를 기념하여 기획한 책이다. 50주년을 기점으로 1975년 이래 서울독립영화제의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영화제의 성과 유산을 발굴하고, 위상을 재정립한다. 독립영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망하며 독립영화 환경과 정책에 대한 대안과 비전을 찾고자 한다. --- 영화제의 역할과 비전, 독립영화는 어떻게 확장되었나? 서울독립영화제가 50주년의 뜻깊은 시간을 통과하고 있다. 1975년 한국청소년영화제를 시작으로 금관상영화제(1989~1993), 금관단편영화제(1994~1995), 금관청소년단편영화제(1996~1997), 한국청소년단편영화제(1998), 한국독립단편영화제(1999~2000), 서울독립영화제(2002~현재) 등 여러 차례 변경된 명칭은 영화제를 둘러싼 환경과 요구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1975년(1회)부터 1980년(6회)까지 영화진흥공사와 한국방송공사가 공동 주최하였고 1998년(24회)까지는 영화진흥공사가 단독 주최하였다. 이 시기는 서울독립영화제의 전반부로서 문화공보부가 후원하며 정부 주도하에 진행되었다. 학력에 상관없이 30세 이하의 단편영화를 출품 대상으로 하였고 수상작에는 상금과 부상, 해외영화제 출품 기회가 주어졌다. 8mm, 16mm 영화를 제작하던 청년 영화인에겐 혜택과 보상이 따르는 유일한 기회였다. 상금과 격려는 새로운 영화를 지속할 수 있는 동력이 되었다. 순수, 민족, 자주, 저축, 문화 등 정부 시책이 조건에 달렸지만, 출품된 영화의 면면은 달랐다. 영화 기술의 발전과 1980년대 대학가에서 시작된 영화 운동의 결과물이 출품되었고 수상하였다. 영화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도 최선을 다해 영화적 새로움과 도전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영화제를 통해 수많은 영화인이 배출되었고, 도제 시스템 밖에서 제작 역량을 입증한 청년들은 1990년 전후 한국영화 르네상스의 주역으로서 한국영화 문화와 산업을 전면적으로 바꾸는 주체로 성장하였다. 한편 수상작의 프린트는 국립필름보관소(현 한국영상자료원)에 제출되었는데, 덕분에 초기 독립영화의 귀한 필름이 지금까지 보존될 수 있었다. 서울독립영화제 50년은 형식적으로는 절반은 정부의 것이고 절반은 민간의 것이다. 1999년 영화진흥위원회가 새로운 모색을 하지 않았다면 영화제의 역사는 유산으로만 남겨져 있을지 모른다. 현장 영화인의 참여는 영화제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가장 젊은 ‘오늘의 영화’의 편에서 독립영화의 현재를 갱신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반면 민간의 역량만으로 메가 이벤트인 영화제를 꾸리며 상금, 제작 지원, 저변 확대 사업 등 독립영화 영토 확장을 다양한 실험을 펼치기엔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민관의 협치는 국내 최고(最古) 영화제의 자부심과 국내 최대(最大) 독립영화제의 성과를 이어가는 토대가 되었다. 서울독립영화제는 변화를 받아들이고 도전하며 2024년에 다다랐다. 유구한 역사 속에 독립영화의 시대정신을 쌓아왔던 모든 것들에 감사드린다. 40주년 도서『21세기 독립영화』에 이어 50주년 기념 도서『시대정신 독립영화』를 편찬하게 되었다. 서울독립영화제와 독립영화 50주년을 집약하기에 부족함이 있으나, 기록과 연구를 위한 또 하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 서울독립영화제2024 집행위원장 김동현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