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일기장

정민 · 역사
68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서문 백문백답을 열며 001 다산의 4종 일기, 어떤 글인가? 002 4종 일기의 작성 시기와 정리 시점은 언제였나? 003 다산의 일기를 어떻게 읽을까? 004 젊은 날의 다산은 어땠나? 금정일록 005 <금정일록>의 기사와 동선은 어떻게 짜였나? 006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과 <금정일록>은 어떤 관계가 있나? 007 다산과 한영익은 어떤 관계였을까? 008 박장설의 상소는 왜 문제가 되었나? 009 다산은 왜 하필 금정으로 좌천되었을까? 010 정조가 제시한 다산 좌천의 이유는? 011 수원유수 조심태가 다산에게 한 이야기의 의미는? 012 다산은 왜 이승훈을 ‘이형’이라고 불렀을까? 013 당시 금정역의 건물 구성과 환경은 어땠나? 014 당시 다산에게 주어진 금정찰방의 역할은? 015 관찰사 유강에게 보낸 편지 속 ‘즙민지방’은 무슨 뜻인가? 016 다산이 홍주목사 유의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17 채씨 집성촌과 다산 주변 채씨의 그림자를 어찌 볼까? 018 8월 5일 다산이 이삼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은? 019 이인섭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낸 이유는? 020 당시 호남에서 벌어진 선동의 내막과 내용은? 021 석문 진사 신종수와의 교유는? 022 다산이 검거한 천주교인 김복성의 실체는? 023 김복성과 금정 역졸들의 천주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024 다산이 당시 금정에서 천주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행한 일은? 025 이익운은 8월 17일에 왜 다산에게 시를 보냈을까? 026 다산이 한강동과 천방산의 한산이씨 일문을 방문한 목적은? 027 다산은 홍주목사 유의와 만나 무슨 이야기를 나눴나? 028 다산과 방산 이도명의 갈등과 충돌 내막은? 029 오서산 일원의 유람 목적은 무엇이었나? 030 다산과 이삼환이 주고받은 두 번째 편지의 행간은? 031 북계 진사 윤취협을 찾은 목적은 무엇이고, 한백원과 함께한 백제 유적 여행은 어땠나? 032 공주에서 만난 오국진과 권기는 어떤 사람인가? 033 ‘성주산의 일’은 무엇을 말하나? 034 장령 이유수와 이일운의 잇단 방문과 관찰사가 보낸 답서의 내용은? 035 이존창의 검거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졌나? 036 윤규범의 시와 이익운의 편지에는 어떤 행간이 있나? 037 이기경은 왜 난데없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38 다산의 답장은 왜 그토록 격렬했나? 039 다산이 이삼환에게 보낸 편지의 맥락은? 040 공주 창곡 관리의 난맥상을 고발한 장시의 내용은? 041 강학회 직전에 이도명은 왜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나? 042 서암강학회의 일정과 일과는 어땠고, 분위기는 어떠했나? 043 서암강학회의 참석자는 누구며, 어떤 성격의 모임이었나? 044 <서암강학기>는 어떤 내용이고, 왜 썼나? 045 이승훈은 어째서 <서암강학기> 참석자 명단에서 누락되었을까? 046 이광교가 보내온 편지와 다산의 답장은 무슨 이야기를 담았나? 047 <도산사숙록>은 어떤 글이고, 왜 썼나? 048 <도산사숙록>에서 다산은 자신에 대해 어떻게 반성했나? 049 존덕성 도문학 공부에 관한 논의가 왜 자꾸 나올까? 050 다산은 왜 11월 윤취협에게 편지를 보냈고, 편지의 좌명은 누구인가? 051 강이원에게 보낸, 윤기환에 대한 다산의 청탁 편지는 어떤 맥락에서 나왔나? 052 강학회 이후 지은 시의 분위기는 어땠나? 053 11월 27일에 이승훈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54 이치훈은 어떤 사람이었나? 055 이삼환의 다산에 대한 평가는 어땠나? 056 이삼환이 ‘지방지술’을 특별히 말한 이유는? 057 다산은 왜 역촌 부로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나? 058 이가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맥락은? 059 허적의 관작 회복 소식에 다산은 왜 이렇게 기뻐했나? 060 다산이 채제공에게 직접 편지를 보낸 속내는? 061 어느 따스한 겨울날의 기억은 왜 새로웠을까? 062 이 시점에 다산은 왜 관찰사 유강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63 포폄제목과 이정운의 시를 본 다산의 소회는? 064 마침내 상경하게 된 다산의 감회는 어떠했나? 065 다산의 금정 시절은 그에게 어떤 기억을 남겼을까? 066 다산은 왜 이존창 문제로 이익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젊은 날 다산이 감추었던 행간을 풀어내자 비로소 온전한 그의 시대가 보였다.” 고전학자 정민 교수가 세밀한 독법으로 밝혀낸 다산 정약용의 일기에 숨은 진실 ★★★ 최초 완역, 상세 해설 서학이라는 거대한 체계와 대면한 다산과 18세기 조선을 입체적으로 조명한 역작 다산 정약용의 생애에서 가장 격렬하고 긴장이 높았던 시절의 기록. 위대한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아닌 임금과 천주 사이에서 절박하고 아슬아슬했던 30대 다산이 남긴 일기 4종이 고전학자 정민 교수의 독법과 풀이를 통해 드디어 세상에 공개된다. 18세기 조선 지성사를 깊이 탐구해온 정민 교수는 다산의 ‘건곤일척의 승부’를 담은 일기 〈금정일록(金井日錄)〉 〈죽란일기(竹欄日記)〉 〈규영일기(奎瀛日記)〉 〈함주일록(含珠日錄)〉을 국내 최초로 주석을 붙여 완역하고, 스스로 묻고 답하는 백문백답의 형식을 통해 다산과 그의 시대가 감춘 진실을 추적했다. 일기 본문과 함께 《다산시문집》에 실린 편지·시문, 《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와 각종 상소문 및 척사 기록, 족보 등을 종합 검토함으로써 역사적 사실과 일기 속 정황을 교차 검증하고, 다산이 언표하지 못한 의도와 속내를 실증적으로 파헤친다. 이 세밀한 독법으로 “봉폐된 한 시대와 뜨거운 질문으로 맞섰던 한 위대한 영혼의 내면을 훑고 지나간 진실”이 마침내 드러난다. “이 4종 일기는 모두 다산의 천주교 신앙 문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연관이 있다. 당시에는 피차 건곤일척의 승부였기에 말 한 마디에 가문의 명운과 죽고 사는 문제가 걸려 있었다. 때문에 이 시절의 다산의 일기에는 세밀한 독법이 필요하다. 일기 속의 무심해 보이는 기사 하나하나에 모두 숨은 행간이 있다는 뜻이다.” _서문에서 이 4종의 일기는 다산의 문집에는 모두 누락되고 없다. 이 일기들은 이가환, 이승훈, 정약용을 천주교와 관련된 사학삼흉(邪學三凶)으로 지목해 조정에서 처벌 논의가 치열하고 뜨거웠던 시기의 기록들이다. 〈금정일록〉은 1795년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에 연루된 33세의 다산이 충청도 금정찰방으로 좌천되었던 시기를, 〈죽란일기〉는 1796년 금정에서 겨우 상경한 뒤 실직 상태에 있던 명례방 시절을, 〈규영일기〉는 같은 해 규영부 교서관으로 복귀했을 당시를, 〈함주일록〉은 이듬해인 1797년 외직인 황해도 곡산부사로 밀려나기 직전까지를 담은 기록이다. 특히 분량이 가장 많은 〈금정일록〉은 다산의 75년 생애에서 밀도와 긴장이 가장 높았던 5개월을 다룬다. 다산은 왜 이러한 일기를 남겼으며, 무슨 이유로 문집에서 빠졌을까? 일기에 감춰둔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그 의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정민 교수는 신간 《다산의 일기장》에서 다산이 말하고 싶었지만 말하지 못하고 행간에 숨겨두었던 다산과 천주교에 얽힌 속내를 찾아 추적한다. 그리고 ‘정면돌파’ 끝에 마침내 한 ‘진실’에 가닿는다. “다산의 완결성과 순정성에 바치는 경배는 지금까지의 학술적 성과만으로도 충분하다. 다산이 모든 면에서 위대하다고 외치는 작업은 그동안 너나없이 해왔다. 더 이상 무결점의 위인전은 필요치 않다. 이제는 다산과 그의 시대를 더욱 객관적이고 인간적으로 대면할 때가 되었다. 나는 그와 그의 시대를 육성으로 만나고 싶다.” _서문에서 100개의 질문과 100개의 답변으로 만나는 학자이자 정치가, 신자이자 배교자였던 ‘인간 다산’의 진실 거대한 진실은 수면 아래 심층부에 숨어 있다 오랜 시간 다산을 연구해온 정민 교수는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다산의 재발견》 《파란》 등을 저술해 역사적·문화적·개인적 맥락에서 다산의 복잡다단한 면모를 되살려왔다. 이어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등 조선 후기 서학 연구에 매진하면서 다산이 초기 천주교회의 신부였으며, 주문모 신부를 탈출시킨 장본인이자 교회 지도자 이존창을 검거한 당사자였다는 사실을 실증했다. 신간 《다산의 일기장》에서 저자는 책략가 다산을 발견한다. 일기 속 다산은 예민한 대목에서 말을 얼버무렸고, 어떤 때에는 말할 만한 내용조차 침묵했으며, 대체 왜 들어갔는지 종잡을 수 없는 내용들을 끼워넣었다. 일기 4종은 고도로 계산된 정치적인 텍스트로서, 서학과 관련한 처벌 논의와 상소 공방이 거셌던 당시 정국의 시대적 맥락을 이해하고, 치밀하고 세밀한 독법으로 접근해야만 다산의 속내와 그의 시대를 들여다볼 수 있다. 저자는 다산이 지방 말단 관리로 내쳐진 이유와 그를 좌천시킨 정조의 본심, 천주교도를 검거해 비방에서 벗어나려 했던 다산의 노력과 속마음, 같은 남인과 날을 세우면서까지 성호 이익의 유저(遺著)를 정리한 젊은 날 다산의 강파르고 직선적인 성정 등 다산이 스스로 검열하고 은폐한 행간까지 찾아내 생생하고 정교하게 한 인물을 복원한다. 이 시기에 다산이 남긴 〈서암강학기〉 〈도산사숙록〉 〈변방소〉의 저술 배경과 의미 또한 새롭게 밝힌다. “다산은 젊은 날뿐 아니라 생애를 통틀어 천주교 문제를 배제하고는 그 정체성을 올바로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정면돌파해야 한다는 것이 작업에 임한 필자의 기본 입장이다. 미리 정해둔 의도가 있을 수 없고, 있을 리 없다. 팩트로 제시해도 사람들은 통념으로 굳어진 허상에만 신뢰를 보낸다. 나는 그동안 그런 허상들과 줄곧 싸워왔다. 앞에서의 싸늘한 눈빛과 뒤에서 떠드는 이야기에는 개의치 않겠다. 내가 가닿고 싶은 지점은 진실일 뿐이기 때문이다.” _서문에서 정민 교수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무결한 위인 다산이 아니라 뾰족하고 거침없으며 모순적인 젊은 날의 다산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다산이 천주교인인지, 배교했는지를 밝히고자 하지 않았다. 그는 문헌을 연구하는 고전학자로서 다산이 남긴 글을 읽고 그 안에 가려진 진실을 찾아낼 뿐이다. 이로써 우리는 마침내 다산 자신의 목소리로 그의 시대를 더 깊이, 더 정직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다산에게 일기는 어떤 의미였는가? 다산이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이었는가? 다산의 일기는 일상의 단상이나 개인적 소회 대신 객관적 사실로만 이루어져 있다. 어느 날 받은 편지 한 통, 무심하게 언급한 조정 소식 등은 특별한 주제로 귀결시키기도 어렵다. 여기에는 천주교 문제로 좌천당한 다산의 정치적·정략적 의도가 숨어 있다. 그는 천주교 혐의를 벗고 결백을 입증할 알리바이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래서 객관적 동선과 대화, 주고받은 문서를 기록으로 남겨 자신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훗날을 위한 증언으로 삼았다. 다산이 하고 싶은 말은 오히려 중간에 인용된 상대의 편지나 시문 속에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즉 다산의 의도는 그가 이런 팩트들을 선별하고 배열하는 시선을 통해서만 포착된다. 치밀하고 세밀한 독법으로 일기의 이 같은 전략적 배치와 계산된 글쓰기를 파악해야 다산 스스로 검열하고 은폐한 행간에서 천주교 배교에 대한 이면과 그의 복잡한 내면 갈등을 읽어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글에서 굳이 개인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은 다 하는 성과를 거뒀다. 반대로 읽는 이의 입장에서는 아는 만큼만 행간이 보이는 독서여서 글쓴이의 속마음에 가닿기가 쉽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일기를 읽는 내내 한 시대를 온전히 이해하고 한 인간의 내면을 깊이 살피는 일이 참으로 쉽지 않음을 절감했다. 마치 곳곳에 비밀 기관을 매설하고 암기(暗器)를 감춰둔 캄캄한 지하 갱도를 통과하는 기분이었다.” _서문에서 금정으로 쫓겨난 후 천주교 지도자 검거에 앞장서기까지 했지만 아무도 다산의 진실성을 믿어주지 않았고, 그는 끊임없이 자신의 결백을 증명해 보여야만 했다. 다산의 일기는 이러한 안간힘의 결과라는 점에서 모순덩어리다. 천주와 임금 사이에서 엇갈리는 다산의 행보는 그의 우유부단함에 대한 징표가 아니라, 서학이라는 거대한 체계와 대면한 18세기 조선의 어정쩡한 스탠스를 보여준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