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왜 학습 모형인가?
기억에 남는 교수·학습법 배우기 16
학생들의 머릿속 ‘블랙박스’ 들여다보기 17
이 책이 필요한 이유 19
학습을 염두에 둔 수업 21
교육 연구와 학습과학 사이의 간극 메우기 22
학습 모형 제공 24
또 다른 프레임워크가 아닌 학습 모형 26
이 책의 구성 28
목적지가 아니라 출발점이다 30
1장 학습과학에 대한 이해
정보처리 모형 33
기억의 단계 35
-감각등록기: 소음 속에서 신호 찾기 36
-순간기억: 처음 30초 39
-단기 작업기억: 최대 20분 41
-장기기억: 평생 남을 수 있는 기억 43
기억의 과학을 학습 모형에 적용하기 46
-감각등록기와 순간기억 46
-작업기억 48
-장기기억 49
전체 과정 통합하기 50
2장 관심 갖기(1단계)
감각 과부하 시대의 삶과 학습 62
정서적 혼란이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63
뇌의 자극 처리 우선순위 65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학생에게 관심 보이기 68
-학습을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하기 72
-호기심 자극하기 75
-사전 지식 활성화 및 지식 공백 드러내기 80
-학문적 논쟁 구조화하기 82
-수업에 변화 주기 84
빅 아이디어
-타고난 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을 가속화하기 86
3장 학습에 전념하기(2단계)
지루함을 몰입으로 바꾸기 90
-학습의 의미와 목적을 찾도록 돕기 91
-뇌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도록 설득하기 92
-외적 및 내적 보상의 균형 94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이 학습이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WIIFM) 제공하기 96
-학습을 중요한 질문에 대한 탐구로 구성하기 98
-학습 목표 및 성공 기준 제공하기 100
-숙달에 이르는 경로 제시하기 104
-개인 학습 목표 장려하기 106
-학생들이 노력하도록 지원하기 108
빅 아이디어
-학습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왜’와 ‘무엇’ 연결하기 112
4장 새로운 학습에 집중하기(3단계)
주의 집중의 과학 117
-이미지와 텍스트 함께 사용하기 120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기 120
-풀이된 예제를 통한 문제 해결 122
-자기 질문의 힘 123
-노트 필기 124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비언어적 표상 사용하기 127
-보여주고 설명하기 129
-직접 지도를 통한 숙달 단계 시범 보이기 130
-풀이된 예제와 풀어야 할 문제 번갈아 사용하기 131
-자기 질문 및 꼼꼼히 읽기 가르치기 133
-적극적으로 노트 필기 하기 135
빅 아이디어
-그림, 말, 생각으로 정리할 때 더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138
5장 학습 이해하기(4단계)
이해의 과학 141
-부호화의 미스터리 143
-부호화 코드 해독하기 144
-복잡한 신경망 146
-마법의 숫자7(혹은 4) 147
-뇌는 본능적으로 패턴을 찾는다-좋든 나쁘든 148
-뇌는 가끔씩 휴식이 필요하다 150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 부호화한다 152
-연결을 통한 학습 153
-학습 방식에 변화를 주면 뇌를 계속 몰입시킬 수 있다 155
교실에서 활용하는 도구 모음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내용을 짧게 나누어 전달하기 157
-탐구형 질문하기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