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레발라

엘리아스 뢴로트
76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1(6명)
0.5
4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6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톨킨이 쓴 <반지의 제왕(3부작)>의 많은 아이디어는 핀란드어와 칼레발라에서 온 것이다.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핀란드의 서사시 <칼레발라>는 <일리아드> <니벨룽겐>에 견줄 만한 가치를 갖고 있는 작품으로 국내에 소개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그 가치가 있다. <칼레발라>에 나오는 위대한 영웅의 묘사는 핀란드 민족 기질의 기본적 유형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네뫼이넨에게서는 명상적인 안정과 지혜를, 일마리넨에게서는 일상의 근면함을, 레민케이넨에게서는 유희를 즐기는 무모함을, 쿨레르보에게서는 음울한 반항을, 아이노에게서는 부드러운 몽환을, 다수의 어머니에게서는 애정을 볼 수 있다. 가정의 상황과 일상적인 일들은 결혼 연가(스무 번째 노래~스물다섯 번째 노래)에 아주 자세하고 매우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군사 원정에서는 대담한 영웅적 행위와 풍부한 기략(機略)이 잠시 동안 반짝한 반면, 핀란드의 풍경 자연은 특이하게 활기가 넘치고 매우 변화가 많은 배경이며, 특히 서정적으로 감상적인 단편에서는 행위를 묘사하는 데 전부 간여한다. <칼레발라>는 비록 일종의 역사적 사실이 이야기의 출발점이 되기는 했어도, 자주 민간 설화 또는 마법 서사시로 불리운다. 그러므로 <칼레발라>는 서구 민족들의 오래된 서사시보다도 정신적인 발전에서 보다 더 원초적인 단계에 있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4.1(6명)
0.5
4
5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칼레발라 차례 추천사 4 옮긴이의 말 8 핀란드 소개 12 Ⅰ 세상의 시작, 음유시인의 선조 프롤로그 시작의 노래 23 첫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탄생 29 두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씨뿌리기 38 Ⅱ 영웅의 구혼과 삼포의 탄생 세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과 요우카하이넨의 대결 51 네 번째 노래 아이노의 운명 67 다섯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통곡 84 여섯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불운한 여행 92 일곱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 구조되다 101 여덟 번째 노래 무지개 처녀 110 아홉 번째 노래 철의 기원 117 열 번째 노래 일마리넨 삼포를 만들다 134 Ⅲ 투오넬라의 백조 열한 번째 노래 레민케이넨의 구혼 151 열두 번째 노래 킬리키 맹세를 깨다 162 열세 번째 노래 레민케이넨의 두 번째 구혼 176 열네 번째 노래 레민케이넨의 죽음 183 열다섯 번째 노래 레민케이넨의 부활 195 Ⅳ 영웅의 구혼 경쟁 열여섯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 배를 만들다 217 열일곱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 잃어버린 주문을 알아내다 229 열여덟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과 일마리넨의 구혼 경쟁 247 열아홉 번째 노래 일마리넨의 구혼 263 Ⅴ 영웅의 결혼식 스무 번째 노래 술 빚기 281 스물한 번째 노래 일마리넨의 결혼식 299 스물두 번째 노래 신부에게 들려주는 노래 311 스물세 번째 노래 오스모의 후손 신부에게 충고하다 327 스물네 번째 노래 신부의 작별 348 스물다섯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결혼 축가 362 Ⅵ 레민케이넨의 복수 스물여섯 번째 노래 뱀의 기원 381 스물일곱 번째 노래 포횰라의 불청객 레민케이넨 401 스물여덟 번째 노래 어머니의 충고 412 스물아홉 번째 노래 레민케이넨 섬으로 도망치다 420 서른 번째 노래 매서운 서리 파카넨 435 Ⅶ 비운의 아이 쿨레르보 서른한 번째 노래 악의 자식 쿨레르보 451 서른두 번째 노래 목동 쿨레르보 461 서른세 번째 노래 쿨레르보 일마리넨의 아내를 죽이다 477 서른네 번째 노래 쿨레르보 가족을 찾다 488 서른다섯 번째 노래 쿨레르보의 악행 495 서른여섯 번째 노래 쿨레르보의 승리와 죽음 505 Ⅷ 삼포의 탈환과 칸텔레의 탄생 서른일곱 번째 노래 일마리넨의 황금 신부 521 서른여덟 번째 노래 일마리넨의 실패한 구혼 528 서른아홉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항해 537 마흔 번째 노래 칸텔레의 탄생 549 마흔한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의 칸텔레 노래 558 마흔두 번째 노래 삼포를 빼앗다 564 마흔세 번째 노래 바다에서 삼포를 잃어버리다 579 마흔네 번째 노래 두 번째 칸텔레의 탄생 591 Ⅸ 위협을 물리치다 마흔다섯 번째 노래 아홉 가지 질병의 탄생 601 마흔여섯 번째 노래 오트소를 잡아 잔치를 벌이다 611 마흔일곱 번째 노래 로우히 태양과 달과 불을 훔치다 628 마흔여덟 번째 노래 불을 되찾다 638 마흔아홉 번째 노래 태양과 달을 되찾다 648 Ⅹ 새로운 출발, 남겨진 희망 쉰 번째 노래 베이네뫼이넨 떠나다 663 에필로그 마지막 노래 680 부록 칼레발라의 줄거리 686 등장하는 신, 세 명의 주인공과 로우히 694 용어해설과 지도 700 칼레발라 연구를 위한 자료 716 칼레발라 해설 742

출판사 제공 책 소개

*4대서사시 중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책* 추천사 1 “이 책이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것은 시와 노래가 가진 힘 때문입니다” -뻬까 부오리스또(Pekka Wuoristo, 주한 핀란드 대사) 독자 여러분이 칼레발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어 정말 기쁩니다. 민족서사시라는 것은 많은 민족들에게 있어서 자기만의 문화와 언어의 기반, 바탕을 의미합니다. 핀란드도 마찬가지로서 핀란드어의 뿌리는 정말 오래되고 깊지만, 과거 몇백 년 동안은 문화나 행정의 언어가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불과했습니다. 오랫동안 핀란드가 스웨덴과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와중에, 입으로 전해져 오던 이야기에 열정이 많았던 젊은 엘리아스 뢴로트(Elias L?nnrot, 1802- 1884)는 1820년대부터 구전으로 남아있었던 민족시를 수집하기 시작했습니다. 1830년대 초반에, 그는 그 일을 위하여 다섯 번이나 동부 핀란드와 카렐리아(Karelia) 지방에 여행을 갔습니다. 그리하여 칼레발라 초판은 1835년에 출간되었고, 개정판은 1849년에 출간되었습니다. 그 뒤, 칼레발라의 발간은 핀란드어로 된 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핀란드 사람들은 자기 언어에 대한 자부심, 자기 사회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키우게 되었습니다. 또한 유럽의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핀란드라는 작은 민족을 유럽인들에게 알렸던 것입니다. 이 책이 역사적으로 의미심장한 이유는 시와 노래가 가진 힘 때문입니다. 이 책의 시에는 대개 신화적인 요소와 초자연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주 옛날에 있었던 일과 세계와 사람의 창조의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진짜 역사가 아닌 이야기이지만, 사람의 마음과 옛날 사회를 묘사한 노래들입니다. 이 책이야말로 진정한 문학적인 힘이 있는 책으로서 핀란드 민족시와 노래의 ‘원천’입니다. 추천사 2 “이 책은 현대의 핀란드 사회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따루 살미넨(Taru Salminen, 방송연예인, 핀-한 번역/통역 프리랜서) 칼레발라(깔레발라)*는 핀란드 사람들이 사랑하는 국민 서사시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다 칼레발라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잘 알고, 학교에서도 의무적으로 읽어야 되는 책입니다. 그런데 어릴 때는 말이 어렵고 길기 때문에 칼레발라를 별로 안 좋아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칼레발라는 읽는 것보다 노래로 부르면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칼레발라의 시들을 예전부터 이어온 선율로 부르기 시작하여 이제는 칼레발라와 사랑에 빠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흥미로운 사실은 소설가 톨킨의 작품 <반지의 제왕>이 칼레발라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칼레발라의 베이네뫼이넨은 수염이 길고 마술적인 힘을 가진 현자이고, 삼포(삼뽀)**라는 마술적인 힘으로 만들어진 물체를 파괴시켜야 됩니다. 삼포를 가진 사람은 부자가 되지만 욕심이 많아지기 때문에 모두의 이익을 위해 파괴해야 됩니다. <반지의 제왕>의 간달프는 베이네뫼이넨을 닮았으며 모두의 이익을 위해 반지를 파괴해야 됩니다. 정말 비슷하죠? 칼레발라는 핀란드 사회에 굉장히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800년대에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었는데 칼레발라는 애국주의를 키우는 데는 큰 역할을 했습니다. 국민화가 악셀리 갈렌-칼렐라(A. Gallen-Kallela)의 작품과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의 음악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칼레발라에서 이름을 딴 대기업들이 지금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핀란드의 가장 큰 은행 중에 하나는 삼포(삼뽀)라고 하고 아주 큰 건설회사의 이름은 레민케이넨(레민깨이넨)입니다. 보험회사 중에 일마리넨도 있고, 타피올라(따삐올라)도 있고, 포욜(횰)라(뽀히욜라)도 있습니다. 요즘 한국 사람들은 핀란드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핀란드 교육, 투명한 행정, 블루베리 등이 인기가 아주 많습니다. 칼레발라를 통해 핀란드의 신화문학이라는 또 다른 면을 발견했으면 좋겠습니다. *핀란드어 발음상 , 칼레발라(Kalevala)를 깔레발라로, 삼포(Sampo)를 삼뽀로, 타루(Taru)를 따루로 말해야만 한다. 하지만, 본서에서의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 대로 쓰기로 한다. **삼포는 무엇으로 만들었는가? : 백조의 깃촉 끝으로, 새끼를 배지 않은 암소의 우유에서, 한 알의 작은 보리이삭에서, 여름 암양의 양털로 만든다. 삼포는 어떻게 생겼는가? : 한쪽에서는 밀가루가 제분되고, 다른 쪽에서는 소금이 만들어지고, 또 다른 쪽에서는 돈이 만들어지는 것인데, 그 뚜껑은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다. *세계문학사에 가장 값진 기여를 한 책* 1. 『칼레발라』의 특징 1835년에 50편의 시가(22,795행)로 이루어진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가 뢴로트에 의하여 복원, 편집되었다. 이 책은 예로부터 칼레발라의 나라(영웅의 나라)인 핀란드에 전승된 장대한 민족 서사시로 핀란드가 속한 지리적 특성상 북유럽의 신화와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거칠고 위협적인 대자연에 대한 묘사, 선과 악으로 상징되는 두 세력 간의 투쟁이 근간을 이루는 서사적 구조, 신비한 힘을 갖고 있는 어떤 물건(삼포)을 손에 넣으려는 여정과 다툼, 전반적으로 느껴지는 장중한 분위기 등은 공통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비슷한 지리적,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으면서도,『칼레발라』에는 북유럽 신화와는 차별화된 특성들이 드러난다. 우선, 북유럽 신화보다는 비장하거나 폭력적인 이미지가 강하지 않다. 두 세력 간의 투쟁이 전면에 등장하지만 싸움의 느낌은 그렇게 폭력적이지 않다. 오히려 칼이 아닌 언어를 수단으로 하는 주술로 대결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전투 장면이 나오긴 해도 피비린내 나는 살육의 이미지가 떠오르지는 않는다. 또한 주인공(베이네뫼이넨)은 강력한 마법을 휘두를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으면서도 파괴적이거나 전쟁을 좋아하기보다는 땅을 경작하고 시를 사랑하는 음유시인의 이미지에 가깝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차지하려고 다투는 대상인 신비한 물건 삼포는 세상을 파괴하는 힘을 갖고 있지 않고 오히려 끝없는 풍요로움의 원천이다. 두 번째 특성은 삼포를 쟁취하려는 투쟁 못지않게 비중이 있는 모티프는 바로 신부를 얻기 위한 구혼 경쟁이다. 여러 편의 시에 신부를 얻기 위해 떠나는 여정이 그려져 있고, 또한 그 가운데 일부에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비롯한 여러 전승 이야기에 등장하는 것처럼 원하는 배우자를 얻기 위해 완수해야만 하는 과업이 나온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프시케가 떠나버린 에로스를 되찾기 위해 아프로디테의 가혹한 과업을 완수해야만 하는 것처럼 일마리넨도 아름다운 신부를 손에 넣기 위해 로우히가 내주는 힘든 과업을 완수해야 한다. 그리고 프시케가 과업을 완수하는 데 에로스가 도움을 주듯이, 로우히의 딸 역시 일마리넨이 그 과업들을 완수할 수 있는 단서를 알려준다. 또 다른 특성으로는 지리적 특성 상 북유럽 신화처럼 숲과 그 안의 생물들에 대한 이야기 외에도, 바다, 곶, 강, 호수 등 물을 배경으로 하거나 물과 관련된 신과 정령들이 등장하는 이야기들이 많다. 이 외에도 일반적인 신화들과는 달리『칼레발라』가 지닌 독특한 특성이 눈에 띈다. 서사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단편시들과 굵직한 사건의 전개보다는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작은 사건들이 많이 등장한다. 또한 당시의 생활상이 쉽게 형상화될 정도로 일상적인 삶에 대한 묘사들이 굉장히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술을 빚고, 음식을 준비하고, 집을 단장하는 등 축제를 준비하기 위한 과정들, 가정에서 각 구성원이 해야 하는 역할들, 혼인에 의해 새로 형성되는 관계에서 필요한 처신 등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특히 아이나 노인의 입을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