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길목에서 세월을 줍다

정동수 · 소설/역사
27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

<떠도는 섬>의 작가 정동수가 쓴 '소설로 읽는 삼국유사'. 대학시절부터 삼국유사와 일연스님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된 정동수 작가는 일연스님이 머물렀던 곳을 일일이 답사하면서 자료를 모아 왔으며 그를 기초로 이 소설을 썼다. 일연선사의 일생을 기술하면서 <삼국유사>의 내용 중 일반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이야기를 골라 삽입하였다.

저자/역자

목차

책 머리에 ……… 2 1. 해량 무량사 ……… 7 2. 설산으로 ……… 21 3. 승려의 밥그릇 ……… 26 4. 드디어 머리를 깎다 ……… 34 5. 마음속에 품은 두 스승 ……… 48 6. 오대산으로 ……… 63 7. 오대산에서 만난 부처 ……… 88 8. 상장과에 오르다 ……… 93 9. 나는 계림의 신하다 ……… 105 10. 어머니 ……… 119 11. 비슬산에서 문수를 만나다 ……… 124 12. 보당암에서 ……… 142 13. 막히면 뚫어라 ……… 147 14. 문수가 무주를 일러주다 ……… 159 15. 비슬산을 떠나다 ……… 170 16. 남해로 가다 ……… 186 17. 지난날의 업이 깨달음의 밑천이다 ……… 195 18. 경판 불사를 끝내다 ……… 208 19. 최씨 정권이 무너지다 ……… 225 20. 나라님 곁으로 ……… 233 21. 선원사를 정비하다 ……… 242 22. 오어사로 가는 길 ……… 249 23. 드디어 저술에 힘쓰다 ……… 268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도를 이루려면 모든 인연과 미련을 버리라고 했다. 스님은 어떤 것에도 미련을 두거나 집착을 가져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어머니를 생각하는 마음과 딱한 처지에 있는 이들에 대한 연민을 버릴 수는 없었다.” -본문 중에서- 『역사의 길목에서 세월을 줍다』는 「떠도는 섬」의 저자 정동수가 쓴 ‘소설로 읽는 삼국유사’이다. 대학시절부터 삼국유사와 일연스님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된 저자는 일연스님이 머물렀던 곳을 일일이 답사하면서 자료를 모아 왔으며 그를 기초로 이 소설을 썼다. 저자 정동수 소설가는 “일연선사의 일생을 기술하면서 『삼국유사』의 내용 중 일반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이야기를 골라 삽입하여 역사나 문학을 전공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삼국유사에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고자 했다”고 말한다. “머리를 깎는 뜻은 일체 삿된 욕망을 잘라내는 것이니라. 하지만 욕망이란 놈은 한이 없어 잘라도 잘라도 머리 싹이 자라듯 솟아나느니라. 해서 중의 머리도 끝없이 잘라 내는 것이다.” ‘욕망이 어찌 머리카락을 자른다고 잘라지겠습니까?’ 회연 스님은 노스님께 묻고 싶은 말을 목으로 삼킨다. 무량사에서 글공부를 할 때부터 그는 물어서 아는 것보다 참구하여 아는 것이 참되게 아는 것이라 생각했다. - 본문 중에서 - 『역사의 길목에서 세월을 줍다』에서 작가는 담담한 필체로 인생의 근원적인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고 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