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길 위에 올라선 수많은 여행자들의 지도가 되어준 여행 에세이의 신(新)고전!
생활의 안위를 위해서는 읽어서는 안 될 책이라고 했다. ‘TV책을 말하다’, ‘낭독의 발견’ 등의 TV프로그램에서 테마북으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친절하지 않아 기행문답지 않다는 혹평도 들었다. 하지만 지난 2007년 6월 출간된 이래, 홀로 길 위에 올라선 수많은 여행자들은 이 책을 영혼의 지도로 삼았고, <여행생활자>는 이제 여행의 꿈을 놓지 못하는 생활자들을 위한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한곳에 머물지 못하는 스스로에 대한 아픈 성찰에서 비롯된 ‘여행생활자’라는 말은 여행이 삶이 되기를 희망하는 이들의 마음에 나침반이 되어주었다.
너무나 아름다워서 여행 문학 계보에 올려두고 싶어지는 책
책은 출간과 동시에 언론의 호평을 받았다. <한겨레신문>은 “너무나 아름다워서 여행문학 계보에 올려두고 어지는 책”이라 극찬했다. <경향신문>은 “책장 넘기다 마음 베일라”라고 평했고, <오마이뉴스>는 “꼼짝없이 발목 잡힌 사람마냥 몇 번이고 다시 읽게 된다”며 추천했다. <조선일보>는 “숨 막히게 아름다운 글과 사진!”에 주목했다.
티벳과 인도, 네팔과 파키스탄, 스리랑카 … 여행과 생활의 접경에서 스스로를 파고들다!
어느 날 문득 시작된 여행은 작가를 세상의 끝으로 이끌었다. 짧지 않은 여행이었다. 사막을 지나 벼랑에 서고. 또 길을 잃고 헤매는 동안, 그저 담담하게 타박타박 걸었다고는 하지만, 그의 여정을 따라가는 길은 막막해서 아름답고 너무 아름다워서 쓸쓸하다. 그 사이사이에 풍경처럼 사람들이 들어서고, 현실과 허구의 경계에 있는 듯한 풍경들은 그에게 말을 건다. “여행자들은 생활에 지쳐 여행을 떠나지만 그것이 며칠짜리 레저가 아니라면, 결국 여행이란 삶을 등지고 죽음의 냄새를 맡으러 가는 머나먼 길이다.” 누군가는 <여행생활자>가 “자기 자신을 찾아 나선 자의 내밀한 기록”이라고 했지만, 작가는 여행길에서 오히려 ‘나’를 잃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나를 잃어야 나를 찾는 모순이다. 지구의 어디쯤인지 모를 낯선 곳에 앉아, ‘내가 나로 살아가던’ 지난 시간들을 추억하며 그 기억들을 하나씩 떠나보낸다.
떠나고 싶은 영혼들을 위로하며 삶을 여행케 하는 책!
이토록 쓸쓸한 여행은 지독한 일상의 끝에서 뜻밖에도 위로가 된다. 따뜻한 말 한 마디 흘리지 않는데도 마음을 감싸 안는다. 삶은 여행이라고, 그러니 우리 모두는 여행 중이고, 당신은 그 길을 비켜서지 않은 용감한 여행자임을 일깨운다. 잠시 반짝이다 사라질 것들을 좇아 인생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설령 후회를 남길지라도 그것은 박수 받을 만한 일이라며 칭찬한다. 철학과 생의 빛나는 문장들로 가득 찬 이 책이, 치열하게 살아 더 외로운 사람들, 이곳이 아닌 저곳을 꿈꾸는 삶의 여행자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여직 길 위에 있는 사람들아, 너무 외롭거나 아프지 마라. 세상에는 지키지 못할 약속이 있고, 못 만날 사람이 있지만, 세상 끝에 걸친 그대의 여행은 언젠가 끝이 날 것이다. 사라지지 말고 이 말을 가슴에 새겨다오. 오래오래 당신은 여행생활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