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 4
-머리말 · 6
-경설(鏡說) / 이규보
흐린 거울을 비추어 보는 이유에 관한 이야기
-슬견설(蝨犬說) : 이규보
이를 개에 견주어 말한 이야기
-주옹설(舟翁說) / 권근(權近) : 배에서 사는 노인 이야기
-차마설(借馬說) / 이곡(李穀) : 사물을 빌려 가지고 있는데 대한 이야기
-괴토실설(壞土室說) / 이규보(李奎報) : 토실을 허물게 한 이야기
-몽설(夢說) / 이규보 : 꿈이 들어 맞았던 이야기
-뇌설(雷說) / 이규보 : 가슴에 울리는 천둥 소리
-증이배지사화설(贈李培之四畵說) / 권근(權近) :
이배지의 넉 장 그림에 대한 이야기
-경보설(敬父說) / 이곡(李穀) : 호號를 경보敬父라고 고친 이야기
-시사설(市肆說) / 이곡(李穀) : 여사女肆 이사吏肆 인사人肆에 대한 이야기
-필설(筆說) / 장유(張維) : 가짜 붓에 대한 이야기
-복전설(福田說) / 장유(張維) : 복을 받는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
-곡목설(曲木說) / 장유(張維) : 굽은 나무를 사특한 사람에 빗댄 이야기
-현옹설(玄翁說) / 신흠(申欽) : 현옹玄翁이란 호號에 관한 이야기
-초연재설(超然齋說) / 신흠(申欽) : 사물에 초연한 마음가짐의 이야기
-무망재설(無妄之災說) / 신흠(申欽) : 뜻밖에 당하는 재앙에 대한 이야기
-완격탐신설(垸擊貪臣說) / 이규보(李奎報) :
술잔으로 탐신貪臣을 치려 한 일에 대한 이야기
-칠현설(七賢說) / 이규보(李奎報) :
칠현을 본받으려 한 사람들의 이야기
-주뢰설(舟賂說) / 이규보(李奎報) :
뱃사공도 술을 얻어 먹고서야 서둘러 강을 건내 준 이야기
-홍백능에게 주는 설(贈洪伯能說) / 홍대용(洪大容) :
홍백능에게 준 글 이야기
-도설(盜說) / 이남규(李南珪) : 도둑도 원래는 양심이 있다는 이야기
-응압위구소서설(雄鴨爲狗所噬說) / 김득신(金得臣) :
숫거위가 개에게 물려 죽은 이야기
-가직설(稼織說) / 신숙주(申叔舟) : 농사와 길쌈하는 일에 견준 이야기
-잠녀설(潛女說) / 김춘택(金春澤) : 해녀의 곤고한 생존 이야기
-도자설(盜子說) / 강희맹(姜希孟) :
도적이 아들 도적을 가르치는 이야기
-등산설(登山說) / 강희맹(姜希孟) : 등산 이야기
-삼치설三雉說 / 강희맹(姜希孟) :
수퀑[장끼]이라도 각기 성품이 다르다는 데 대한 이야기
-용호도설(龍虎圖說) / 채제공(蔡濟恭) :
그림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아구설(兒駒說) / 유정원(柳正源) :
새끼 말이 어미에게 풀을 가져다 먹게 한 이야기
-낙치설落齒說 / 김창흡(金昌翕) :
이가 빠지고 난, 자기 몰골에 대한 이야기
-명덕설(明德說) / 안석경(安錫儆) :
사람에게 주어진 본래 바음이 명덕明德이란 데 대한 이야기
-초연제설(超然齋說 後稿) / 신흠(申欽) :
정자 이름을 초연제라고 한 뒤 쓴 이야기 ·
-부경역관설(赴京譯官說) / 신흠(申欽) :
사신을 수행하여 북경에 가게 된 역관 이야기
-종자설(鍾字說) / 강백년(姜栢年) : 종에 관한 이야기
-구우설(鷗友說) / 강백년(姜栢年) : 갈매기를 벗 삼는 이야기
-지기설(知己說) / 변종운(卞鍾運) :
남이 나를 알아준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
-담명설(談命說) / 변종운(卞鍾運) : 운명을 미리 알지 못한다는 이야기
-회설(檜說) / 강재항(姜再恒) : 곧게 자라는 회檜나무 이야기
-기설(驥說) / 김도수(金道洙) :
천리마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천리마 대우를 하면 천리마가 된다는 이야기
-태촌자설(泰村自說) / 고상안(高尙顔) :
자기 집을 태촌이라고 부른 이야기
-대인설(大人說) / 이지함(李之菡) :
대인이라야 능히 그럴 수 있다는 이야기
-양심설(養心說) / 이지함(李之菡) :
마음을 허명虛明히 해야 한다는 이야기
-규설(葵說) / 강재항(姜再恒) :
해바라기가 해를 향하듯이 사람은 도道를 향한다는 이야기
-배송설(培松說) / 이유원(李裕元) :
솔이 제대로 자라나지 못하게 된 안타까운 심경의 이야기
-양마설(養馬說) / 이유원(李裕元) :
말의 천성을 구속하는데 대한 안타까운 이야기
-명리설(名利說) / 최규서(崔奎瑞) : 명성과 이욕에 관한 이야기
-관심설(觀心說) / 최규서(崔奎瑞) :
마음의 움직임을 관찰한다는데 대한 이야기
-천명설(天命說) / 노경임(盧景任) :
사람은 저절로 이理와 기氣를 부여받은 존재라는 설說
-천성설(天性說) / 노경임(盧景任) :
천성이란 하늘이 부여해준 성품이라는 설說
-육락설(鬻駱說) / 김종직(金宗直) : 낙마駱馬[낙타]를 판 이야기
-인재설(人才說) / 김정희(金正喜) : 인재에 관한 이야기
-언설(言說) / 윤휴(尹鑴) :
말은 간략히 하는 것이 옳다는 데 대한 이야기
-휵묘자설(畜猫者說) / 이유원(李裕元) :
길을 잘못 들인 고양이 기르기는 어렵더라는 이야기
-마천견설(馬踐犬說) / 윤선도(尹善道) :
말이달리다가 개를 밟아 죽게 한 이야기
-일죽옹설(一竹翁說) / 조구명(趙龜命) :
대지팡이도 걸리적거리는 것들 중 하나라는 이야기
-간암설(艮巖說) / 신기선(申箕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