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부르디외와 교육

김영화 · 사회과학
34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부르디외 이론과 주요 개념들을 명료화하여 부르디외에 관한 오해들을 해소하고, 교육사회학 연구에서 그의 이론과 개념들을 본래의 목적과 의미에 맞게, 그리고 현재보다 더 확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된 교재다. 각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어 그 이론적 의의와 관련 쟁점, 그리고 해당 개념과 이론을 교육현상의 탐구에 적용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들어가는 글 / 3 1장 | 부르디외의 생애와 학문적 배경 …… 19 1. 부르디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__ 21 2. 사회학자로서 부르디외의 학문적 배경 __ 26 3. 부르디외의 학문적 관심의 발전 __ 32 2장 | 아비투스와 교육 …… 39 1. 아비투스의 개념과 특성 __ 41 2. 아비투스의 형성과 변화 __ 45 3. 아비투스의 기능: 재생산과 변혁 __ 53 4. 아비투스의 이론적 의의 __ 60 5. 교육 분야에서 아비투스 연구 __ 67 3장 | 장과 교육 …… 97 1. 사회적 공간과 장의 개념 __ 99 2. 장의 특성 __ 100 3. 교육의 장 __ 111 4. 장 이론의 쟁점 __ 114 5. 장 이론과 교육 연구 __ 117 4장 | 상징폭력 및 상징투쟁과 교육 …… 141 1. 상징폭력의 개념 __ 143 2. 상징폭력의 이론적 체계와 교육 __ 146 3. 상징투쟁과 교육 __ 157 5장 | 학력자본 및 사회계급과 구별짓기 …… 163 1. 학력자본 및 사회계급과 문화적 취향 __ 165 2. 상속자본과 획득자본 __ 178 3. 취학 인구의 증가와 학력 인플레이션 및 노동가치의 하락__ 187 6장 | 문화자본과 문화재생산 …… 199 1. 문화자본 개념의 진화 __ 201 2. 경험적 연구에서 문화자본 개념의 정의와 측정 __ 208 3. 문화자본으로서 언어 __ 214 4. 선별과 배제 __ 219 5. 문화재생산 과정에서 학교교육의 기능 __ 224 6. 문화재생산론의 이론적 의의와 쟁점 __ 233 7. 문화자본론과 한국 사회 연구 __ 268 *참고문헌 / 315 *찾아보기 / 33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본 저서는 부르디외 이론과 주요 개념들을 명료화하여 부르디외에 관한 오해들을 해소하고, 교육사회학 연구에서 그의 이론과 개념들을 본래의 목적과 의미에 맞게, 그리고 현재보다 더 확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1장에서는 부르디외의 생애와 학문적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2장부터 6장까지는 부르디외 이론의 핵심 개념들인 동시에 교육현상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비투스(2장), 장(3장), 상징폭력과 상징투쟁(4장), 학력자본 및 사회계급과 구별짓기(5장), 문화자본과 문화재생산(6장)을 교육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장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각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고, 이어 그 이론적 의의와 관련 쟁점, 그리고 해당 개념과 이론을 교육현상의 탐구에 적용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