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며
1장 젠더 관점에서 읽기
1 먼지차별
남자는 설명하고, 여자는 듣고 | 남편은 성과 이름으로, 아내는 이름만 | 여성이어도 안심? | 남녀를 구분해야 할까? | 사실은 가부장제에서 비롯된 말 | 누구를 위한 애칭?
2 성별 역할 고정관념
배제되는 사람들 | ‘일과 가정의 양립’은 왜 여성에게만 묻나요? | 그것은 여성의 장점이 아니다 | 뒷바라지, 내조의 주어는 여성 | 남성은 가사를 거들 뿐?
3 과도한 성별 표시
학생이면 학생, 사장이면 사장 | ‘남’이어서 강조되는 것 | 정말 그런 말투를 썼나요? | 엄마인 것이 중요한가요? | 남자는 파랑, 여자는 분홍
4 성 상품화
여성은 장식이 아니다 | 영상물의 성적 소비 | 미녀는 왜 문제인가 | ○○걸, ○○녀 | ‘여자력’의 함정 | 성적으로 과장된 홍보 캐릭터
5 성소수자 차별과 배제
LGBT란? | 차별어입니다 | 안이하게 사용하지 말 것 | 성별란에 남/여만으로 충분한가요? | 틀에 끼워 맞추지 말 것 | 동성혼이 저출생을 부추긴다고요? | 아웃팅 문제 | ‘옹호자’가 되자
[칼럼] 신문 경조란에서 보이는 젠더관
[생각해보기] 평등한 표현인가요?
2장 웹에서 일어나는 일: 변화하고 변화할 수 있는 의식과 규칙
1 무엇을 지향할 것인가
‘낚시성 제목’과 성차별 | A 종이 매체 그대로·페이지뷰 무시 | B 종이 매체 그대로·페이지뷰 집착 | A→B ‘페이지뷰 무시’에서 ‘페이지뷰 집착’으로 | C 웹용으로 가공·페이지뷰 집착 | B→C 지면과 웹 연동·페이지뷰 집착 | D 웹용으로 가공·페이지뷰 무시: 젠더를 고려한 제목이란? | 젠더 주류화라는 축
2 웹 미디어의 가이드라인: 설문조사
규칙 설정 | 교차 점검, 열린 논의 | 비판에 대한 대응 | 출연자 성비를 평등하게, 50:50 프로젝트
3 인터뷰: 인터넷 사용자가 보는 젠더와 표현
4 인터뷰: 자기주장을 하는 여성에 대한 온라인 괴롭힘
5 인터뷰: ‘여자’ 이야기는 뉴스가 아니다? 표현 이전에 신념을
[생각해보기] 온라인 기사의 제목을 되짚어봅시다
3장 성폭력 보도 현장에서
1 성폭력 보도에서 보이는 표현
이름을 팔아먹는다고? 피해자 비난 | 강간이 ‘난폭’인가 | 성폭력의 동기가 성욕인가 | ‘외설’의 안이한 사용 | 파는 쪽도 나쁘다? 아동성매매 피해자에 대한 시선 | 성폭력 피해는 숨겨야 할까: 피해자 낙인 | 실태만큼 보도되지 않는다
2 만연한 2차 피해
옷차림과 성추행이 관계가 있나요? | 치한에 관한 보도 | 옷차림이 얇아지는 계절에 치한이 늘어난다? | 오락처럼 취급되었던 성추행 | 방범 캠페인의 문제점 | 방관자가 되지 않을 구체적인 정보를 | 뿌리 깊은 강간 신화 | 여성은 ‘24시간 셀프 방어’를 해야 하는가 | 만들어진 피해자상
3 편견을 재생산하지 않으려고 배운다: 성폭력 피해의 실태
성폭력 가해자 대부분은 면식범 | 목소리를 내기까지 | ‘상식’이 적용되지 않는다 | 피해자의 상처 | 힘의 격차
4 법제도의 문제점: 외국과의 비교
사법의 장에서 피해를 인정해주지 않는다 | 해결해야 할 과제들 | 동의의 문제로! | 형법 개정을 둘러싼 일본 사회의 논의
5 취재에 응하는 피해자의 입장에서
피해는 ‘불상사’인가 | 피해자에게 용기를 | 피해자의 편에 서기
[칼럼] 성폭력 피해를 전달하며 느끼는 갈등
[생각해보기] 성폭력 뉴스의 표현과 실제 법률 용어
4장 실패에서 배우는 사람과 조직 만들기
1 ‘내부인’이 말하는 편견을 낳는 현장 바꾸기
어디서나 통하는 4가지 핵심 | 1 의사 결정의 장에 존재하는 여성의 비율 | 2 수평적인 인관관계, 투명한 소통 |
3 ‘당사자’라는 관점 | 4 조직 차원의 의식 개선 | 다양한 배경의 내부인이 필요하다
2 변화의 움직임과 연대
어디를 가도 소수 | 젠더 뉴스 가치의 절하 | 괴롭힘 | 씨실로 연대하다 | 의사결정의 장이 변하면 표현도 바뀐다
[부록] 젠더 평등을 둘러싼 일본 사회의 움직임
나가며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