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오리엔트 역사

클라아스 R. 빈호프 · 인문학/역사
54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ㆍ역자 서문 ㆍ서언 ㆍ약어표 ㆍ일러두기 01 도입 1. 범위와 자료 2. 고대 오리엔트의 역사기술 02 연대기 1. 일반적 문제 제기 2. 이집트 3. 메소포타미아와 히타이트 4. 기원전 제1 천 년대 03 기원전 제3 천 년대 1. 이집트 1.1 초기시대 1.2 고왕국 1.3 제1중간기 2.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제3 천 년대 말까지 2.1 우루크 시대 2.2 초기 왕조 시대 2.3 아카드 시대 2.4 우르 제3왕조 3. 메소포타미아를 제외한 서남아시아 3.1 엘람 3.2 소아시아 3.3 시리아 및 팔레스티나: 에블라와 비블로스 04 중기청동기시대 (기원전 20~16세기) 1. 중왕국시대의 이집트 (제12~13 왕조) 2. 힉소스 시대의 이집트 또는 제2중간기 (제14~17왕조) 3. 후리인 4. 아모리인 5. 유목민족 6.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전반(全般) 7. 고대 아시리아 시대 8. “이신-라르사” 시대와 마리 (기원전 약 2000~1800년경) 9. 함무라비와 그의 왕국 그리고 카슈의 도래 (기원전 1800~1500년경) 10. 기원전 제2 천 년대 전반기의 시리아와 팔레스티나 11. 고대 히타이트 대제국 (기원전 약 1430년까지) 05 후기청동기시대 (기원전 16~12세기) 1. 도입 2. 연대기 문제 3. 신왕국시대의 이집트 4. 아멘호텝 1~3세 시기의 이집트 (기원전 1500~1350년경) 5. 아마르나 시대 (기원전 1355~1330년경) 6. 에크나톤과 제18왕조의 종말 (기원전 1350~1300년경) 7. 후리인과 미탄니 (기원전 16~13세기) 8. 히타이트 “신왕국” (기원전 15~13세기) 9. 아피루와 샤수 10. 아시리아와 카슈 (기원전 15~12세기의 메소포타미아) 11. 우가리트 (기원전 14~13세기) 12. 이집트와 히타이트 제국 (기원전 13세기) 06 오리엔트 서남 지역 및 이집트 (기원전 12~9세기) 1. 해양민족과 필리스티아 2. 제20왕조 시대의 이집트 (기원전 약 1190~1070년) 3.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기원전 약 1150~900년) 4. 아람인과 칼데아인 5. “시리아-히타이트인”과 아람인 사이의 시리아 (기원전 11~9세기) 6. 페니키아와 이스라엘 (기원전 11~9세기) 7. 이집트 제21~23왕조 (기원전 11~9세기) 07 오리엔트 서남 지역과 신아시리아 제국 시기의 이집트 (기원전 9~7세기) 1. 자료와 신아시리아 정책 2. 아수르와 그 이웃국가들 (기원전 9세기) 3. 아다드니라리 3세와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시대 (기원전 783~745년) 3.1 아시리아 3.2 우라르투 3.3 레반트 3.3.1 삼알 3.3.2 아르파드 3.3.3 하맛 3.3.4 다마스쿠스, 이스라엘 및 유다 4. 제23왕조에서 제25왕조까지의 이집트 (기원전 8세기) 5.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서 사르곤 2세까지 (기원전 745~705년) 6. 샤바코에서 프삼티크 1세까지의 이집트 (기원전 716~610년) 7.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및 레반트: 센나케리브에서 아시리아 대제국의 멸망까지 (기원전 705~610년) 7.1 센나케리브 (기원전 705~681년) 7.2 아사르하돈 (기원전 681~669년) 7.3 아슈르바니팔 (기원전 669~672년) 7.4 아시리아의 멸망 (기원전 627~609년) 08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그 주변 국가들 (기원전 625~539년) 1. 나보폴라사르 (기원전 626~605년)와 네부카드네자르 2세 2.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종말 (기원전 562~539년) 09 아케메네스의 페르시아 대제국 (기원전 550~330년) 1. 키루스 2세와 그의 정책 (기원전 559~530년) 2. 캄비세스 2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는 지리적으로는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초승달 지역, 터키(특히 아나톨리아), 아라비아 반도, 이란, 이집트를, 시간적으로는 기원전 3000년경 역사의 여명기에서부터 이집트, 히타이트, 미탄니, 아시리아, 바빌로니아를 거쳐 페르시아에 이르기까지, 고대 오리엔트에서 일어난 3000년간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 는 본래 ‘성서 세계’에 대한 기본서인 전집 중 일부로 쓰였다(A. S. van der Woude 외 [편], Bijbels Handboek 1: De wereld van de Bijbel, Kampen 1981). 저자는 고고학적 발굴로 나온 여러 자료를 정치, 사회, 문학, 종교 측면을 함께 다룸으로써 고대 오리엔트에 대한 우리 이해를 더욱 깊게 해준다. 특히 정치적 측면에 지면을 많이 할애하여 각 나라 간 정치적 역학관계를 잘 드러내준다. 고대 오리엔트 지역 내 각 나라 역사를 다룰 때 저자는 사건을 단편적 측면이 아닌 각 나라 사이 상호 관계 아래 파악하여 당대 각 나라의 관심사가 무엇이었으며 국제적 사건은 무엇이었는지 잘 보여준다. 그뿐만 아니라 저자는 언어적·문화적 측면에서도 각 나라 사이 영향 관계를 추적하여 고대 오리엔트 지역 내 문화 및 언어 변천과정까지도 드러내준다. 이러한 배경과 역사적 지식은 고대 오리엔트 지역 내 정치·문화적 역학관계를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해 줄뿐 아니라 특히 구약성서 이해와 연구에 더 없이 자세하고도 구체적인 토대를 제공해준다. 『는 시대적,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다루면서도 고고학적·금석학적 연구에 기초하고 있어서 탁월하고도 객관적인 연구서로 평가받는다. 따라서 는 통해 메소포타미아 역사를 자세하고도 포괄적으로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역사를 다루는 방법 또한 익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