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건네는 위로

배재윤 · 에세이/인문학
1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왓챠웹툰] 님도 보고 뽕도 따고[왓챠웹툰] 님도 보고 뽕도 따고

성적, 입시, 취업, 결혼 무엇하나 마음대로 되지 않는 ‘청춘’에게 수학으로 전하는 위로의 메시지. 학창 시절 따돌림과 학교폭력을 당한 후 자신과 같은 아이들을 품어주겠다는 생각으로 수학 교사가 된 지은이가 수학적 개념들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춘들을 위로한다. ‘소수’를 통해 자신의 특별함을 증명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위로하며, ‘프랙털’의 구조를 설명하며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을 다독이고, ‘구면 기하학’으로 나와 다른 사람을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등 수학과 우리의 삶을 연결해 청춘의 고통을 공감하고 나눈다.

긴 연휴, 최신 영화로 달려볼까요? 🚀

화제의 신작! 왓챠 개별 구매로 만나보세요

왓챠

긴 연휴, 최신 영화로 달려볼까요? 🚀

화제의 신작! 왓챠 개별 구매로 만나보세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_학창 시절 괴로웠던 수학, 우리에게 위로를 건네다 1장 지금 '괜찮아'라는 말이 필요한 당신에게 슬픔을 위로하는 슬픔 _ 음수의 곱셈 힘은 크기보다 방향이 중요하다 _ 벡터 내가 바라야 했던 아름다운 속력 _ 속력 계약직도 하늘의 별 따기인가요 _ 한붓그리기 한 사람의 영혼을 흔들었던 말 한마디 _ 거듭제곱 하늘을 날고 싶었던 소년 _ 로켓 방정식 1+1의 정답이 1이 될 수도 있어 _ 위상수학 사랑을 그려낼 수 있다면 어떤 모양일까 _ 고정점 그래 여기까지 잘 왔다 _ 프랙털 가장 낮은 곳에서 피어나는 꽃 _ 무한대와 무한소 2장 타인의 불편한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삐뚤빼뚤해도 원이 될 수 있어 _ 택시 기하학 내 직감은 사실과 다를 수 있다 _ 몬티 홀 딜레마 당신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을까 _ 구면기하학 비록 내 생각과 다를지라도 _ 수학자 히파소스 이야기 왜 나만 빼고 모두가 행복해 보이는 걸까? _ 표본의 편향 젊은이들이 바라는 어른의 모습 _ 쌓기나무 사랑이 할 수 있는 일이 아직 있을까? _ 조건문 3장 더 나은 삶을 택하며 나아가는 방법 수식이 자취를 남기듯이 _ 좌표평면 13번의 불합격 끝에서 _ 숫자 0 함께함이 기쁘지 아니한가 _ 게임이론 만남은 마치 유성을 볼 확률과 같다 _ 확률 숫자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_ 수학의 언어 이야기 반딧불을 당신의 창 가까이 _ 사칙연산 AI가 우리에게 가르칠 수 없는 것은 _ 연역법 함수를 알면 역사가 보인다 _ 함수 평범한 오늘을 견디며 살아가는 그대에게 _ 나이팅게일 이야기 특별함을 증명하지 않아도 괜찮아 _ 소수 참고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사칙연산부터 함수, 벡터, 프랙털까지 다양한 수학 개념을 통해 인생의 해답을 찾아가는 20대 기간제 수학 교사의 좌충우돌 삶의 이야기 “수학, 세상의 편견에 맞설 힘을 제공하다” 수학 문제의 답이 항상 하나뿐인 것은 아니다. 무엇을 기준으로 푸느냐에 따라 정답은 달라진다. 1+1이 2라는 답 역시 불변의 진리처럼 여겨지지만 어떤 기준으로는 2가 정답이 아니다. 크기나 모양에 상관없이 연결 상태를 바탕으로 도형을 연구하는 위상수학의 관점에서는 두 개의 찰흙 덩어리를 둥글게 뭉치면 크기는 커져도 한 덩어리이기에 1+1=1이 된다(44쪽 참조). 마찬가지로 수학에서 원은 ‘고정된 한 점으로부터 최단 경로가 같은 점들의 모임’이라고 정의한다. 반면 ‘택시기하학’에서는 ‘고정된 한 점으로부터 최단 경로가 같은 점들의 모임’이 원이 아니라 정사각형, 즉 네모가 된다(79쪽 <삐뚤빼뚤해도 원이 될 수 있어> 참조). 이렇듯 수학은 무엇을 기준으로 문제를 푸느냐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 있다. 인생 또한 마찬가지다. 모두가 저마다의 기준으로 살아가기에 각자가 찾는 해답이 다르다. 나의 답과 당신의 답이 다르다고 해서 누군가가 틀렸거나 잘못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인생의 정답이 무엇인가가 아니라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 이 책은 아직 인생의 답을 찾지 못한 이들이나 남들과 다른 답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한다. 또한 사회가 정해놓은 답 이외의 해답은 틀렸다며 ‘프로크루테스의 침대’로 사람들을 재단하는 수많은 이들에게 또 다른 해답도 있음을 보여준다. “응원이 필요한 청춘에게 건네는 수학의 위로” 수학은 역사적으로 인류 문명과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력을 제공해왔다. 이렇게 고맙고 유용한 수학이지만 일상에서는 많은 사람들에게(특히 학생들에게) 골치 아프고 불편한 학문에 불과하다. ‘혹시 사람들을 괴롭히기 위해 만들어낸 학문일까?’ 싶을 정도로 많은 이들을 힘들게 한다. 지은이는 이러한 수학이 10대, 20대 청춘들에게 좀 더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수학의 개념들로 자신의 삶을 털어놓는다. ‘소수’의 특별함을 통해 우리 또한 ‘특별함을 증명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위로하며, ‘프랙털’의 구조를 설명하며 청춘들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다독이고, ‘구면 기하학’으로 나와 다른 사람을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등 수학과 우리의 삶을 연결해 청춘의 고통을 공감하고 나눈다. 또한 몬티 홀 문제를 통해서 내가 믿었던 ‘직감’이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경계하며, 때로는 친구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나를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힘을 주는 ‘플러스 벡터’가 될 수 있음을 일깨워준다. 학업과 진학 문제로 지친 10대든, 성적과 취업 문제로 고민하는 20대든 ‘청춘’은 항상 힘들고 어렵다. 이 책은 같은 고민과 문제들을 경험해온 ‘20대 기간제 수학 교사’인 지은이가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청춘에게 ‘힘들어도 괜찮다’며 위로를 건네는 응원가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