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의 안전, 영토, 인구 읽기

강미라
17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2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왓챠 취향박물관 Grand Opening Soon!

'세창명저산책' 11권. 권력이 안전하게 지키려 하는 대상으로서의 영토와 인구이다. 영토는 고전주의 시대까지 군주가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통치성이라는 개념은 안전테크놀로지의 역사를 탐사하려던 방향을 새로운 곳으로 이끈다. 푸코가 이 강의에서 보여주는 통치성의 역사는 곧 자유주의적 근대 국가의 계보이다. 우리는 푸코의 강의에 귀 기울여 그가 펼치는 통치성의 역사, 자유주의적 근대 국가의 계보를 따라갈 것이다.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5 1강 안전장치의 특징 1: 공간과 관련하여·17 2강 안전장치의 특징 2: 사건과 관련하여·33 3강 안전장치의 특징 3: 정상화와 관련하여·43 4강 통치, 인구, 통치성에 대한 소묘·57 5강 동방에서 유래한 사목권력의 의미·67 6강 그리스도교에서의 사목권력의 역사·73 7강 사목권력의 세 가지 특징·81 8강 사목권력에 대한 대항품행·95 9강 국가이성의 등장·111 10강 국가이성의 세 가지 특징·119 11강 국가와 통치이성, 외교·군사장치·129 12강 내치의 대상과 기능·139 13강 내치에 대한 비판과 통치성의 변형·147 ‘읽기’를 마치며·16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안전, 영토, 인구』에서 대비되는 것은 권력이 안전하게 지키려 하는 대상으로서의 영토와 인구이다. 영토는 고전주의 시대까지 군주가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인구는? 푸코가 애초에 의도했던 것은 다양한 안전테크놀로지의 역사를 기술하고 “안전사회라는 것이 실제로 운운될 수 있는지를 포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었고, 실제로 지금 하고 싶은 것은 ‘통치성’의 역사라고 부를 수 있는 어떤 것이다”라면서 더 정확한 강의 제목을 선택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를 드러낸다. 통치성이라는 개념은 안전테크놀로지의 역사를 탐사하려던 방향을 새로운 곳으로 이끈다. 푸코가 이 강의에서 보여주는 통치성의 역사는 곧 자유주의적 근대 국가의 계보이다. 우리는 이제 콜레주드프랑스의 수강생들처럼 푸코의 강의에 귀 기울여 그가 펼치는 통치성의 역사, 자유주의적 근대 국가의 계보를 따라갈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