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의 생각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에세이
28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6명)
0.5
3.5
4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6명)
코멘트
더보기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주로 신문과 잡지, 학회보 등에 발표한 것들로,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이 ‘20세기의 인물’로 선정한 탁월한 과학자가 세상을 보는 눈은 어떠했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세상 사람들은 그의 평화주의에 대해 지나치게 순진하다고 평가하지만, 평생 우주의 신비를 바라보며 때론 절망을 느끼기도 했을 과학자에겐 그런 자세가 너무나 당연하지 않을까? 이 광대한 우주 앞에서 인간 존재의 나약함을 깨닫고 일찍이 겸손을 실천했던 한 물리학자의 내면세계는 분명 많은 이들에게 세상을 달리 볼 수 있는 문을 열어줄 것이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 3.8(6명)
0.5
3.5
4
5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옮긴이의 글 1부 과학에 관하여 자유사상가와 과학자/ 과학의 세계성/ 이론 물리학의 원리들/ 연구의 원칙들/ 상대성 이론/ 과학적 진리/ 요하네스 케플러/ 과학의 공통언어/ E=mc²/ 코페르니쿠스/ 강이 굽이굽이 흐르는 이유/뉴턴의 역학과 그것이 이론 물리학에 미친 영향/ 과학의 종교적 정신 2부 종교에 관하여 우주적인 종교적 감수성/ 과학과 종교/ 과학과 종교의 호혜적 관계/ 종교와 과학은 타협할 수 없는가? 3부 유대인에 관하여 유대인의 관점이란 것이 있는가?/ 그들은 왜 유대인을 미워하는가?/ 유대인이란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 헬파흐 교수에게 보낸 편지/ 유대인 공동체/ 팔레스타인 재건을 위해(Ⅰ)/ 팔레스타인 재건을 위해(Ⅱ)/ 시오니즘/ 워킹 팔레스타인/ 기독교와 유대교/ 유대인의 이상/ 탄압이 자극제가 될 때/ 유럽 유대인의 분산/ 이스라엘의 유대인/ 독일을 떠나는 이유/ 반유대주의 모임에 참석을 거부하는 이유 4부 평화에 관하여 미국의 첫인상/ 학생들의 평화노력/ 1932년 군축회의/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전쟁과 평화/ 문화와 세계 평화/ 핵전쟁이냐 평화냐/ 군대식 사고방식/ ‘원 월드’ 상을 받으면서/ 지식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인류의 미래/ 왜 사회주의인가?/ 국가 안보 5부 개인에 관하여 내가 본 세상/ 삶의 의미/ 인간 존재의 진정한 가치/ 선과 악/ 사회와 인격/ 국가와 개인의 양심/ 인권 6부 학문에 관하여 고전 문학/ 독립적인 사고를 위한 교육/ 윤리 문화의 필요성/ 문화와 번영/ 소수 인종/ 문화적 쇠퇴의 징후들/ 학문의 자유/ 다보스의 대학 강의/ 선생과 학생/ 교육과 세계평화 7부 경제에 관하여 부(富)/ 세계 경제위기/ 생산과 구매력/ 생산과 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연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지성과 지혜의 아이콘 천재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세계관 아인슈타인은 과학자로는 드물게 대중과 친숙한 인물이었다. 폭탄 맞은 듯한 쑥대머리에 헐렁한 옷을 걸치고 칠판 앞에 선 모습이나 혓바닥을 쑥 내민 개구쟁이 같은 모습으로 대중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사진을 통한 대중적 인지도를 따지자면 아마 찰리 채플린 못지않게 높았을 것이다. 사인을 요청해오는 사람들에게 “미안합니다만, 저를 아인슈타인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라며 재치 있게 넘어가곤 했다니, 그 인기가 가히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이 간다. 그는 그 같은 인기를 늘 과분하다고 생각하며 개인에 대한 우상화나 숭배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을 품었다. 물리학자로서 우주 앞에서 느낄 수밖에 없었던 겸허함 때문이었을 것이다. 천재 물리학자의 이런 정신세계가 그대로 전해오는 듯한 글들이 많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주로 신문과 잡지, 학회보 등에 발표한 것들로,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이 ‘20세기의 인물’로 선정한 탁월한 과학자가 세상을 보는 눈은 어떠했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세상 사람들은 그의 평화주의에 대해 지나치게 순진하다고 평가하지만, 평생 우주의 신비를 바라보며 때론 절망을 느끼기도 했을 과학자에겐 그런 자세가 너무나 당연하지 않을까? 이 광대한 우주 앞에서 인간 존재의 나약함을 깨닫고 일찍이 겸손을 실천했던 한 물리학자의 내면세계는 분명 많은 이들에게 세상을 달리 볼 수 있는 문을 열어줄 것이다. 유대인들이란 어떤 존재인지, 그들이 유별나게 많은 고난을 당한 이유가 무엇인지, 과학자가 보는 종교는 어떠한 것인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만한 이야기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자가 쓴 철학서로도 읽힌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