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셰르파 연구를 시작하다
2. 셰르파 마을에서
3. 관계주의적 인류학으로 보는 셰르파 정체성
1장 정체성: '셰르파'라는 이름의 기원과 사용
1. '셰르파'란 누구를 말하는가
2. 셰르파의 종족성과 기원
3. 왈룽 셰르파의 역사를 추적하다
4. 히말라야 관광산업의 '셰르파' 용법: 언어인류학의 사례
5. 정체성의 정치
2장 인류낭만주의: 셰르파 히말라야 등반사
1. 에베레스트 폭행 사건의 이면
2. 유럽의 과학 탐사 전통과 근대 등반
3. 셰르파, 히말라야 등반에 등장하다
4. 셰르파는 '잃어버린 인류의 원형'인가
5. 셰르파 윤리로 폭행 사건을 다시 보다
3장 복과 돈 : 셰르파 마을 문화
1. 왈룽 셰르파 마을의 종교 의례
다자 뿌자 | 밀람과 뻔 쩌울리 뿌자
2. 캠벌룽 순례
3. 경제생활
작물 재배와 젊은 층의 도시 이주 | 이동 방목과 자립 생활 | 동충하초와 견성 보존
4 새롭게 정의되는 토착성
4장 열린 미래 : 셰르파의 도시 생활과 이주
1. 카트만두 이주
왈룽 셰르파의 카트만두 이주 | 세두와 셰르파들의 이주
2. 해외 이주
한국의 뗀징 셰르파 | 미국 캘리포니아의 앙 다와 셰르파
3. '열린 미래'의 시간관: 다양한 이주의 경로를 고민하다
4. 인도주의 셰르파 공동체
5. 관계의 사슬
5장 등반은 천직 : 히말라야 등반의 떠오르는 주역 셰르파
1. 히말라야 가이드 원정대
2. 히말라야 등반의 노동 분업과 대행사의 등장
3. 밍마 셰르파와 세븐서밋트렉
4. 히말라야 등반의 탈식민주의적 비판
5. 고객 중심의 대행사 경영 전략
6. 8000미터 등반 산업을 주도하다
6장 독점과 착복 : 셰르파의 히말라야 등반 경험
1. 히말라야 관광산업의 여러 직무
2. 관계로 결속된 개인의 미래
3. 등반 셰르파의 임금
4. 히말라야 등반과 셰르파 남성성
남성성 지표로서의 등반 경력 | 위험의 소거로서의 남성성
5. 다층적인 등반 경험
7장 안살이: 셰르파 웃음의 인류학
1. 셰르파 웃음에 관한 기존 연구
퍼스의 현상학 | 셰르파 특유의 낙관주의
2. 부정적 감정에 대한 혐오
3. 종교학적·생태학적 가설
티베트 불교 | 고산족의 문화생태학
4. 웃음과 정동의 성 역할
셰르파들의 성 관념 | 셰르파 여성성
5. 안살이: 고통과 죽음의 외면
6. 뗀징의 회고
결론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