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를 사로잡는 UX/UI 실전 가이드

김성연
35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22명)
0.5
4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22명)
코멘트
더보기

이제 막 디자인 너머 사용자를 고민하기 시작한 주니어부터 PM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시니어까지 사용자를 사로잡을 디자인을 꿈꾸는 모든 이를 위한 책이다. 주니어는 UX/UI의 이해부터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방법과 기초 소양을, 시니어는 급변하는 트렌드의 소용돌이에서 건져낸 인사이트를 얻을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7가지다. 먼저 현직 디자이너도 쉽게 정의하지 못하는 ‘UX/UI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렇게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을 이해한 다음 ‘웹/앱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 알아 두어야 할 것들’ 픽셀, 해상도, 단위 등으로 기초를 탄탄하게 다진다. 본격 UX/UI 디자이너로서 첫 발을 뗄 수 있도록 실무에서 활발히 쓰이는 리서치 개념과 비즈니스 전략, UX 라이팅을 비롯해 화면의 완성도를 높이는 설계 요소까지 둘러볼 것이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8(22명)
0.5
4
5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Chapter1 UX / UI 제대로 이해하기 1.1 UX 디자인? UI 디자인? __1.1.1 UI - 사용자 인터페이스 __1.1.2 UX - 사용자 경험 __1.1.3 프로덕트 디자이너 - 제품 중심 조직의 디자이너 __1.1.4 UX/UI 디자인의 진행 과정 __1.1.5 Designer's Note 알아 두면 쓸모 있는 UX 용어 1.2 UI의 구조와 요소 __1.2.1 UI의 구조 __1.2.2 UI의 요소 1.3 모바일 디자인 트렌드의 변화 __1.3.1 마이크로소프트의 메트로 디자인 __1.3.2 애플 디자인의 변천사 __1.3.3 애플의 한 디자이너와 관성 스크롤 __1.3.4 뉴모피즘은 새로운 UI 트렌드가 될 수 있을까? Chapter2 웹/앱 디자인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2.1 해상도 이해하기 __2.1.1 목적에 맞는 해상도 설정 2.2 픽셀 밀도와 선명도의 상관관계 __2.2.1 화면 크기에 따른 픽셀 밀도 차이 __2.2.2 픽셀의 다양한 표현 방식 __2.2.3 1단계. 논리적 해상도 __2.2.4 2단계. 물리적 해상도 __2.2.5 3단계. 다운 샘플링 __2.2.6 4단계. 기기 표현 __2.2.7 iOS의 PT와 안드로이드의 DP/SP 2.3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앱 개발 과정 이해하기 __2.3.1 네이티브 앱 __2.3.2 모바일 웹앱 __2.3.3 하이브리드 앱 2.4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의 이해 __2.4.1 와이어프레임 __2.4.2 프로토타입 __2.4.3 프로토타입 제작 툴 __2.4.4 Designer's Note 효과적인 유저 스토리 작성법 Chapter3 살아남는 것은 잘 설계된 것이다 3.1 생존을 위한 전략, MVP __3.1.1 최소 기능 제품과 MVP 피드백 루프 __3.1.2 MVP로 시장 검증에 성공한 드롭박스와 에어비앤비 3.2 우리의 진짜 경쟁자는 누굴까? __3.2.1 경쟁사 분석을 하는 이유 __3.2.2 경쟁사 목록 표 만들기 __3.2.3 기능 비교 표 만들기 3.3 디자이너가 데이터에 관심 가지면 보이는 것들 __3.3.1 디자이너의 든든한 근거, 데이터 __3.3.2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A/B 테스트 __3.3.3 사용자의 경로를 추적하는 과정, 퍼널 __3.3.4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핵심 지표, AARRR __3.3.5 Designer's Note 한 끗 차이가 만든 다른 결과, 정육각 고기 두께 비교 UI 3.4 진짜 문제를 찾아서, 심층 인터뷰와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__3.4.1 심층 인터뷰 __3.4.2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__3.4.3 Designer's Note 브레인 스토밍에 유용한 질문법, HMW 3.5 사용자 유형을 대변하는 가상의 인물, UX 페르소나 3.6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 5 Whys와 골든 서클 __3.6.1 사례로 보는 5 Whys __3.6.2 5 Whys와 짝을 이루는 골든 서클 3.7 더 나은 UX 라이팅을 위한 몇 가지 팁 __3.7.1 UX 라이팅 vs 카피라이팅 __3.7.2 좋은 UX 라이팅을 만드는 4가지 법칙 __3.7.3 실전, UX 라이팅 적용하기 Chapter4 더 나은 비주얼 디자인을 위하여 4.1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웹폰트 __4.1.1 웹폰트의 이해 __4.1.2 웹폰트가 호출되는 과정 4.2 좋은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의 7가지 공식 __4.2.1 공식 1. 최소한의 폰트 종류 __4.2.2 공식 2. 가독성을 높이는 행간 __4.2.3 공식 3. 폰트 크기에 따른 자간 __4.2.4 공식 4. 한 줄에 적당한 글자 수 __4.2.5 공식 5. 배경색과 충분히 구별되는 글자색 __4.2.6 공식 6. 계층 구조를 활용한 타이포그래피 __4.2.7 공식 7. 성격에 맞는 폰트 선택 __4.2.8 Designer's Note 폰트 & 이미지로 브랜드 톤 구축하기 4.3 시각적 위계를 만드는 5가지 강조 방법 __4.3.1 1. 크기를 이용한 강조 __4.3.2 2. 색을 이용한 강조 __4.3.3 3. 질감을 이용한 강조 __4.3.4 4. 공간감을 이용한 강조 __4.3.5 5. 형태를 이용한 강조 __4.3.6 시각적 위계를 활용한 버튼 디자인 4.4 컬러와 UI 디자인 __4.4.1 브랜드 컬러와 정서 __4.4.2 이미지를 키워드화해 컬러를 도출하는 ‘색상 이미지 공간’ __4.4.3 톤온톤을 이용한 컬러 배색 __4.4.4 컬러 강조와 어포던스 __4.4.5 시스템 컬러 4.5 디지털 그리드 시스템의 이해 __4.5.1 그리드 시스템 이해하기 __4.5.2 반응형 디자인과 브레이크 포인트 4.6 피보나치 수열과 시각적 질서 __4.6.1 피보나치로 타이포그래피 적용해 보기 __4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사용자를 사로잡는 건 ‘디자인’이 아닌 ‘디자이너’다! 매력적인 설계를 꿈꾼다면 이 책을 펼칠 때 이 책은 이제 막 디자인 너머 사용자를 고민하기 시작한 주니어부터 PM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시니어까지 사용자를 사로잡을 디자인을 꿈꾸는 모든 이를 위한 책이다. 주니어는 UX/UI의 이해부터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방법과 기초 소양을, 시니어는 급변하는 트렌드의 소용돌이에서 건져낸 인사이트를 얻을 것이다. 브런치 조회수 40만 작가, 10년 차 디자이너 김성연(우디)의 사용자를 유혹하는 UX/UI의 기술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7가지다. 먼저 현직 디자이너도 쉽게 정의하지 못하는 ‘UX/UI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렇게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을 이해한 다음 ‘웹/앱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 알아 두어야 할 것들’ 픽셀, 해상도, 단위 등으로 기초를 탄탄하게 다진다. 본격 UX/UI 디자이너로서 첫 발을 뗄 수 있도록 실무에서 활발히 쓰이는 리서치 개념과 비즈니스 전략, UX 라이팅을 비롯해 화면의 완성도를 높이는 설계 요소까지 둘러볼 것이다. 후반부에선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한, 그리고 목표를 조금 더 쉽게 달성하기 위한 ‘심리학’을 살펴본다. 여기에 스타트업도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브랜딩’을 더했다. 한 발 더 나아가 디자이너로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디자인과 윤리’ 그리고 부록으로 ‘디자이너의 말 그릇’까지 눌러 담았다. 저자의 목소리를 따라 책장을 모두 넘기고 나면 어느새 UX/UI의 광범위한 세계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비주얼 디자인? UX 라이팅? 리서치? 브랜딩! 오래 가고 실현 가능한 것들에 대하여 시각적 요소부터 브랜딩까지. 폭넓다면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이 책은 단순히 아름다운 디자인을 하는 법이나 브랜딩의 원론적인 이야기를 다루지 않는다. 10년 차 현직 디자이너이자 작가로서 활동한 저자의 모든 경험이 고스란히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으로 나아갈 방향을 점치는 게 아닌, 나아갈 방향을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