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주의와 건축이론

임기택
19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PART I 해체주의의 주요관점과 형성배경 5001 사이(틈)의 존재론 / 12 5002 데리다의 철학적 사유 / 12 5003 해체주의 사유의 역설적 측면 / 25 5004 해체주의 사유의 기본키워드 / 29 5005 그래마톨로지의 개념 / 35 PART II 해체주의 사유와 건축적 적용방식 5006 해체주의철학과 해체주의 건축의 경계 / 46 5007 해체주의 건축어휘의 특징 / 51 5008 레베우스 우즈의 담론 / 57 5009 로버트 슬러츠키의 해체주의적 작품성향 / 63 5010 피라네지와 조이스의 해체적 작업방식 / 81 5011 알레고리의 특성과 해체주의건축어휘와의 상관성 / 103 5012 피터 아이젠만의 해체주의 건축 실험 / 108 5013 버나드 츄미의 해체주의 건축 실험 /125 5014 츄미의 작업과 바타이유 사유와의 접목지점 /149 5015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해체건축 실험 /152 5016 자하 하디드의 해체주의 건축실험 /158 PART Ⅲ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5017 오늘날의 해체주의는 그 힘을 다하여 소진된 것일까? /168 5018 해체주의 건축은 형태와 공간만으로 한정된 것일까? / 171 5019 오늘날 해체주의를 다시 언급하고 그러한 형태를 추구하는 것이 적절한 것일까? /173 5020 비현실 대 현실, 개념성(관념) 대 물질성의 사이공간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175 5021 오늘날 해체주의의 정당성과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 /178 찾아보기 그림출처 참고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시리즈의 주제들은 현대철학에서의 사고체계와 건축분야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관련을 맺으며 현실에서 구체화되는가에 대한 경계면에 주목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3단계로 나뉘어 있다. PARTⅠ에서는, 매 강좌에서 주제별로 알기 쉽게 현대건축에서 논의되는 철학가들의 주요사상을 각 권별 주제에 맞추어 요약한다. 그 후, PARTⅡ에서는, 시대별 철학사상과 건축적 표현 및 공간구성의 경계면상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연결고리를 제시하고 시대적 사유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타나는 건축적 특성을 탐구한다. PART Ⅲ에서는, 사유와 관련하여 현실을 바라보면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관으로 건축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성과 방법론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스스로 건축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건축에서 해체주의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전 세계에 걸쳐 논의되고 활발하게 조형 활동이 이루어졌던 사조이나 이미 사멸된 것으로 치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체주의는 흔히 파괴 적 욕망을 드러내는 표현이 주가 되는 사조 혹은 조크joke 정도로 일반인들에게 오해되곤 한다. 또 한 해체주의는 세기말의 시기에 강대국의 문화제 국주의적 도구로 사용된 측면도 부정할 수 없으며 오늘날 시효가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해 체라는 단어 자체의 파괴적 이미지와 건축적 표현 이 그러한 오해를 양산시킨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해체주의는 인류가 의사소통이 있는 한, 언어라는 매체와 함께 글쓰기라는 행위를 하는 이상 절대로 사라질 수 없는 글쓰기의 근원을 다루는 담론이다. 주체와 객체의 ‘사이’에 유령과 같이 이미 들어와 있는 해체의 진정한 의미는 기존의 사회 구조 속에서는 표현하거나 드러낼 수 없었던 요소들 이 온전하게 드러나 표현될 수 있게 되어 기존구조 의 부족함을 보충하여 안정시키는 것에 있다. 즉, 해체보다는 오히려 더 나은 소통을 위한 ‘안정’에 가까운 담론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