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자리 - 나무로 자라는 방법

유희경 · 시
7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2(23명)
0.5
3
5
평가하기
3.2
평균 별점
(23명)

유희경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이 개정판으로 출간됐다. 지난 2013년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구슬모아 당구장'에서 전시의 일환으로 펴냈던 시집을 다듬어 2017년 아침달의 시인선으로 복간한 뒤 다시 1년 6개월 만에 한 편의 시가 더해져 '아침달 시집'으로 재출간했다. 유희경의 시들은 여전히 투명하고 여리다. 시리고 아프다. 좀더 넓어지고 한편 단단해졌다. "불행한 서정의 귀환"(문학평론가 조연정)이라 명명되었던 첫 번째 시집이 작은 감정들에 대한 기록이었다면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수직과 수평의 시간 위에 놓인 감정을 가만히 지켜본다. 이 응시는 외면도 개입도 아니다. 거리로부터 생겨나는 뜻과 음을 담담하게 살피려는 태도이다. 한 발짝 물러서서 물방울처럼 투명한 언어로 일생의 결을 만져가는 시인 유희경의 서정이 한 그루 나무처럼 울창하게 자라난다.

이동진 평론가 극찬! <브루탈리스트>

2025년 25번째 언택트톡으로 확인

브루탈리스트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2(23명)
0.5
3
5

이동진 평론가 극찬! <브루탈리스트>

2025년 25번째 언택트톡으로 확인

브루탈리스트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그리고 당신의 자리 Ⅰ 나무 하나 느릅나무가 있는 골목 나무 둘 나무로 자라는 방법 나무 셋 조용한 凶 나무 넷 어떤 악보 나무 다섯 깊어가는 병 나무 여섯 靜物 나무 일곱 꽃밭 나무 여덟 겨울은 겨울로 온다 나무 아홉 가지의 生日 나무 열 모든 기억 위로 눈이 내린다 나무 열하나 돌 위에 새긴 나무 열둘 안개 나무 열셋 뿌리 나무 열넷 숲 나무 열다섯 비밀 나무 열여섯 두 개의 그림자 나무 열일곱 겨울나무 두엇 잊기도 찾기도 하는 나무의 시간 Ⅱ 나무 열여덟 겨울의 언덕 나무 열아홉 화분 나무 스물 풍경 나무 스물하나 가벼운 날들 나무 스물둘 며칠 나무 스물셋 魅惑에 이르는 시간 나무 스물넷 눈물의 무덤 나무 스물다섯 유년의 바다 나무 스물여섯 당신에게 나무 스물일곱 드리움 나무 스물여덟 상자 나무 스물아홉 이야기 나무 서른 보물 나무 서른하나 그해 여름 나무 서른둘 나의 소년들 나무 서른셋 무릎 나무 서른넷 연기 나무 서른다섯 a case of you 나무 서른여섯 우리의 明滅 나무 서른일곱 마흔두 개의 초록 나무 서른여덟 그런 일이 있었다 나무 서른아홉 불면 여전히 겨울 숲에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무가 나무로 자라는 동안의 기록 유희경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당신의 자리 - 나무로 자라는 방법』이 개정판으로 출간됐다. 지난 2013년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구슬모아 당구장’에서 전시의 일환으로 펴냈던 시집을 다듬어 2017년 아침달의 시인선으로 복간한 뒤 다시 1년 6개월 만에 한 편의 시가 더해져 ‘아침달 시집’으로 재출간했다. 유희경의 시들은 여전히 투명하고 여리다. 시리고 아프다. 좀더 넓어지고 한편 단단해졌다. “불행한 서정의 귀환”(문학평론가 조연정)이라 명명되었던 첫 번째 시집이 작은 감정들에 대한 기록이었다면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수직과 수평의 시간 위에 놓인 감정을 가만히 지켜본다. 이 응시는 외면도 개입도 아니다. 거리로부터 생겨나는 뜻과 음을 담담하게 살피려는 태도이다. 한 발짝 물러서서 물방울처럼 투명한 언어로 일생의 결을 만져가는 시인 유희경의 서정이 한 그루 나무처럼 울창하게 자라난다. 『당신의 자리 - 나무로 자라는 방법』의 시작은 「다시, 당신의 자리」이다. 첫 시집 『오늘 아침 단어』에 실렸던 동명의 시 「당신의 자리」의 변주(變奏)라 할 수 있는 이 시는 시인 유희경의 시적 태도가 변화했음을 잘 보여준다. 첫 시집의 「당신의 자리」가 나와 당신 사이의 어쩔 수 없는 경계에서 맴돌며 절망하고 있다면, 이번 시집에 실린 「다시, 당신의 자리」는 “나”(자아)와 “당신”(타자)의 경계가 곧 나의 자리와 당신의 자리를 만드는 것임을, 그 안에서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의미가 생길 수 있음을 비로소 인정한다. 이 인정은 ‘거리(距離)’이다. 이것이 이 시집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다. 얼어붙은 새벽은 어둡고 조용했네 기억은 왜 자꾸 언덕을 낳는지 미끄러지듯 가팔라져가는 마른 눈 맞으며 그때, 나는 무엇을 찾으러 가는 중이었을까 ─43쪽, 「겨울의 언덕」 부분 이 시집의 각각의 시편에는 ‘나무 하나’, ‘나무 둘’과 같은 순번이 매겨져 있다. 그러므로 이 시집은 서른아홉 그루의 나무가 심겨 있는 하나의 숲과 진배없다. 시인은 시 서른아홉 편에 자신이 살아온 서른아홉 해의 의미를 담는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숲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각기 다른 나무들이 각자의 자리에 놓인 것처럼 시인은 자신의 생 곳곳에 시를 세워 시적 이정을 삼는다. 종(種)도, 크기도, 의미와 목적도 다른 시적 장면들로 한 권의 시집을 자신이라는 ‘숲’으로 만드는 것이다. 숲에는 거리가 있다. 나무와 나무의 거리가 숲을 만들고, 나무와 나의 거리가 숲을 만든다. 시인은 자신이 지나온 과거를 떠올리고, 그러나 그 기억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은 채 오히려 되묻는다. 그순간 수평을 향하여 번져나가던 시간이 수직으로 멈춰서 시로 태어난다. 한 남자가 있고 한 그루 나무와 당신, 아주 멀리 떨어져서 아무도 아무것도 아닐 만큼 어떤 시간이 지나가고 나도 모르고 있을 그만큼의 ─18쪽, 「나무로 자라는 방법」 부분 한편, 각각의 시들은 하나의 나이테를 의미하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집 한 권은 서른여덟 개의 나이테를 두른 제법 튼튼한 한 그루 나무가 되기도 한다. 시인은 나무처럼 자라나고 있는 자신의 “어떤 시간”을 생각한다. 그리고 그 시간이 무엇인지는 “모르고 있”음을 고백한다. 어느 순간 그 부분에 감정이 머물러 옹이 같은 깊은 흔적이 남을 테지만, 그 거리는 지금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당신”을 만나 스스로 나무가 되어버린 “나”는 당신을 안을 수도 만질 수도 없다. “나”와 “당신” 사이의 거리. 이때 시는 태어난다. 그토록 열망하는 “당신”을 ‘나’로 편입시켜 더 이상 열망하지 않게 되기 전에, 거리를 만들어 영겁의 시간을 열망하겠다는 시적 의지는 이번 시집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거리는 전작에서는 볼 수 없던 시적 태도이며, 전작으로부터 태어난 유희경의 새로운 시이기도 하다. 어떤 나무가 어떤 나무로 서 있는 동안 당신이 당신으로 걸어오는 그동안에 ─18쪽, 「나무로 자라는 방법」 부분 나무들이 번식하여 숲을 만들 듯, 나이테가 겹겹이 쌓여 한 그루 나무를 울창하게 키우듯 기억은 사람의 일생을 이룬다. 기억 속에는 언제나 당신이 있다. 당신은 원망스럽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며,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곳에 있다. 그곳이 ‘당신의 자리’다. 그곳이 ‘나’를 만든다. ‘나’를 우뚝 멈춰선 나무로 만든다. 시집 『당신의 자리-나무로 자라는 방법』은 사적이고 은밀한 순간들을 시로 남겨둔다. 시는 박제의 기술이 아니다. 잊지 못해 살아 있게 만드는 힘이다. 시인 유희경은 한 권, 서른여덟 편의 시들을 통해 이 지난한 과정을 낱낱하게 드러낸다. 이 ‘드러냄’을 통해 다시 한 번 다른 시인으로 거듭난다. 그렇기 때문에 시인 자신이 고백한 것처럼, 이 시집은 지금껏 자신의 시에 대한 “각주”일 것이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시인을 오롯이 이해하기 위하여, 이 시집이 필요한 까닭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