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이 사형제 폐지는 아니지만’
‘논술,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
머리말
1장 통념을 깨라
똑같은 답안지 / 통념이 필요한 이유 / 그래도 통념을 깨라 / 사람들의 생각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 유비쿼터스 시대의 골든벨 / 질문하는 능력이 경쟁력이다 / 더디 깨닫는 학생이 더 유리하다 / 뿌리가 문제다 / 지적인 장난기가 통찰력의 지름길 / 교훈적인 결론의 함정 / 과학은 처음부터 과격했다 / 마중물 논술
2장 논술은 이야기다
지식의 번역 / 논술 공부는 즐거워야 한다
첫 번째 이야기. 뭐? 우리 사회가 거짓으로 지탱되고 있다고?
통념에 대한 도전 / 외교는 거짓말 잘하기 경영대회 / 거짓과 가면으로 아버지의 실패를 극복한 옥타비아누스 / 허구 위에 서 있는 금융시스템 / 믿음으로 지탱되는 사회 / 민주주의는 재앙을 예방할 수 있을까?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서의 덕치(德治) / 평판을 먹고 사는 중개업 / 브랜드를 다시 보자
3장 학문은 진리가 아니다
두 번째 이야기. 인간은 보이는 대로 보지 못한다.
인간의 마음은 백지가 아니다 / 상상력의 힘 / 예술은 불완전한 감각 때문에 가능하다 / 사실적이라는 것 / 미영이의 눈 / 학생들의 글
세 번째 이야기. 브루스윌리스가 총에 맞은 이유
말귀를 알아듣지 못해서 / 학문은 때로 위험하다 / 생각의 틀 / 학생의 글 /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고? / 사진과 진실 / 부도덕한 언론보다 더 치명적인 타락:언론을 믿는 것 / 학생들의 글
4장 인과론은 의심스럽다
네 번째 이야기. 이름을 바꾼 흑인이 더 잘사는 이유
뒤집어 읽어보라 / 서울대를 욕하지 마라 / 아이비리그의 졸업장은 의미가 있을까? / 람보와 코만도의 똥침 / 상관관계 읽기 연습 / 통계유감
다섯 번째 이야기. 음모의 추억
정보민주화 속에서 오히려 활개치는 유언비어 / 과학자를 옹호하는 촛불 시위 / 남 탓을 하고 싶은 마음 / ‘IMF사태’라는 정론이 되어 버린 음모론 / 음모론의 배후세력은 전능해야 한다 / 잘못된 망원경 / 틀려도 인정하지 않는다 / 미국팀의 예선탈락 그것이 음모다 / 과학도 이야기다
5장 세상을 움직이는 이기심
개인은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위
여섯 번째 이야기. 왜 해리포터 이모부가 이모보다 더 악랄할까?
이기적 유전자 / 인간본성의 고향 / 공동분배가 합리적인 이유 / 수렵 사회를 그리워하는 비용
일곱 번째 이야기. 21세기의 미스터리 여성들이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차범근 감독의 배신 / 멜서스의 섬에서는 도대체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 합리적 인간 vs 동물적 인간 / 나무꾼과 선녀 / 교육받은 여성은 왜 아이를 적게 낳을까? / 출산율을 높이려면 세탁기를 금(禁)하라 / 포드자동차와 이발사 / 태어나는 비용부터 공평하지 않다 / 출산율을 확실히 높이는 엽기적인 방법들
여덟 번째 이야기. 왜 우리는 유승준을 용서하지 못할까?
우리는 그가 법을 어기지 않았기 때문에 용서할 수 없다 / 죄수의 딜레마 / 게임이론 / 합리적인 무임승차 / 철수 위기에 몰린 실험도시 / 규칙이 필요했던 자유로운 공동체 / 실험도시에 실험이 없다 /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이유 / 유승준에게 보복해야만 하는 이유 / 왕따의 한계 / 학생들의 답 / 쉬운 학교시험, 학생들에겐 오히려 독이다
아홉 번째 이야기. 대처수상이 발견한 이기적인 모범시민
이타적 인간의 빈민굴, 이기적 인간의 재산 / 인간의 욕구에도 단계가 있다 / 유승준을 용서해야 하는 이유
열 번째 이야기. 총이 민주주의를 지키다
자동차와 총 / 새로운 기술은 언제나 위험하다 / 인간의 직관은 위험을 측정하는데 젬병이다 / 총기소지가 범죄를 억제한다? / 옥수수가 미국의 대통령을 만든다 / 계약으로 세워진 나라 / 계약의 해제를 막기 위한 방법 / 정부가 침해할 수 없는 개인의 권리
열한 번째 이야기. 개똥녀가 쏘아올린 작은 공
독이 든 나무와 독이 든 열매 / 정의보다 우선하는 개인의 권리 / 조지오웰의 ?1984년? / 보호받을 가치가 없는 권리도 있다고 말하고 싶지만 / 절대반지와 민주주의
열두 번째 이야기. 테러리즘이 바꾸는 세계
세계가 변화된 날 / 보이지 않는 적과의 대면 / 테러예방 VS 민주주의의 원칙 / 고문 영장을 허(許) 하라 / 열린 사회의 위험 / 테러리즘과 새로운 중세
6장 유토피아의 타락
열세 번째 이야기. 유토피아와 개인의 정열
영화 가타카 / 변화는 싫어 / 낭비를 싫어한 플라톤 / 다소 현실감이 부족했던 플라톤 / 신에게는 언어조차 필요 없다 / 일반화에 대한 지나친 기대 / 현실의 스파르타, 관념의 스파르타 / 왜 유토피아는 비슷할까? / 실업률 제로, 과연 바람직한가?
열네 번째 이야기.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공짜 점심은 없다 / 현실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시장들 / 플라톤, 야채 값을 논하다 / 항상성과 전문화 / 문명 최우선의 가치는 안정 / 투기꾼의 일 / 위험시장이 필요한 이유 / 학생들의 글
열다섯 번째 이야기. 왜 조직폭력배들은 그토록 강할까?
단편영화, 상파울로의 달 / 유기체의 힘 / 로마에 이기고도 로마를 꺾을 수 없었던한니발 / 관료시스템의 힘 / 마피아의 수렁에서 이탈리아를 건진 사나이 / 부족국가의 복원을 꿈꿨던 플라톤 / 학생들의 글
열여섯 번째 이야기. 먹어보기 전엔 미리 알 수 없는 와인의 맛
파리의 심판 / 우리가 우수하다고 믿는 것들 / 석가탑의 침묵 / 생각과는 다른 결론 / 내신이 학교 교육을 정상화한다는 가설 / 강남아파트 값은 거품일까? / 세상은 수학적이라고 믿은 플라톤 / 다윈이 갈라파고스로 간 까닭 / 플라톤과 과학 / 결국 문제는 오만 이었다 / 학생들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