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김이삭 · 에세이
196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3(7명)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7명)
서울 한복판에서 자신의 출생지를 북쪽이라고 하는 사람을 만난다면 당신은 곧바로 북한=이주민을 떠올릴 수 있을까? 다문화 100만 시대라 해도 북한 이주민의 수는 약 3만 여 명, 한국 사회에서 소수 중의 소수이기에 그 접점을 찾아내기 쉽지 않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게 된 북한이탈주민의 이야기는 동서를 막론하고 인기가 있다. 다만 소비되는 이야기가 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북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탈북 과정 같은 이야기는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소환된다. 하지만 한국으로 이주해 온 북한 이주민의 ‘현재’는 잘 전해지지 않는다.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조금은 특별한 연애사와 결혼 이야기를 솔직 담백하게 풀어냈다. 홍콩영화와 중국 드라마, 대만 가수에 빠져 중국어 특기자 전형으로 서강대학교 중국문화학과에 입학한 작가는 영화감독이 되고 싶다는 꿈 하나로 박찬욱 감독이 수학한 철학과에 입학한 ‘민’을 만나게 된다. ‘민’은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태어나 1997년 탈북했고, 중국 지린성 옌지에서 지내다 2005년 양친과 누나 두 명, 남동생 그리고 사촌 누나 두 명과 함께 한국으로 온 이주민이다. 둘은 5년 연애 끝에 결혼했고 지금은 북한 이주민 2세인 딸아이를 함께 양육하고 있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별점 그래프
평균3.3(7명)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들어가면서 006 part1. 만나서 반갑습니다 #01 덕후의 중문과 진학 014 #02 취업준비냐 학과 원어연극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018 #03 고향은 어디예요? “북쪽인데요.” 022 #04 중국문화과에서 만난 사람들 028 #05 민의 고백 032 #06 토끼는 토끼굴 근처의 풀을 먹지 않는다 036 #07 까치는 까치끼리, 까마귀는 까마귀끼리 040 part2. 본업은 ‘연애’입니다 #08 민과 나 048 #09 갑자기 나타난 교회 누나 053 #10 본업은 ‘연애’입니다 057 #11 베트남 여행 063 #12 민의 친구들 070 #13 북한 이주민도 다 같지는 않더라 073 #14 조금 달랐던 명절 풍경 075 #15 다른 곳에서의 삶 079 #16 사랑의 힘이었을까? 085 #17 청혼 089 part3. 비슷하게, 가끔은 다르게 삽니다 #18 소수자가 불편하지 않은 사회 098 #19 도토리묵과 평양냉면 103 #20 흔하지는 않은, 배우자의 가족 106 #21 북한 이주민 남성이 한국에서 취업하기 112 #22 아빠 육아 보조금을 허하라 117 #23 제사는 안 지냅니다만 122 #24 추억의 음식 ‘두부밥’ 127 #25 딸이 뭐가 어때서 129 prat4. 그렇게 가족이 된다 #26 한국인 번역가 김 여사의 눈물 136 #27 첫 번째 앤솔로지를 출간했을 때 143 #28 북한 이주민 2.0 세대 149 #29 대만으로 떠난 가족 여행 155 #30 사랑의 불시착 159 #31 배우자의 담당형사 162 #32 앞으로 가족 모임은 167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평범하고 특별한 사랑 이야기 소중하다”-CBS라디오 정혜윤 피디 강력 추천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판 ★ 갈등, 차별, 디아스포라, 소수자 등 복잡한 문제들을 유쾌한 연애/결혼 이야기로 풀어낸 책. (나는)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그리고…, (우리)는 북한 이주민과 함께 삽니다. “고향이 어디예요?” 상대방은 잠시 당황하더니 이렇게 대답했다. “북쪽인데요.” 서울 한복판에서 자신의 출생지를 북쪽이라고 하는 사람을 만난다면 당신은 곧바로 북한=이주민을 떠올릴 수 있을까? 다문화 100만 시대라 해도 북한 이주민의 수는 약 3만 여 명, 한국 사회에서 소수 중의 소수이기에 그 접점을 찾아내기 쉽지 않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게 된 북한이탈주민의 이야기는 동서를 막론하고 인기가 있다. 다만 소비되는 이야기가 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북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탈북 과정 같은 이야기는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소환된다. 하지만 한국으로 이주해 온 북한 이주민의 ‘현재’는 잘 전해지지 않는다.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조금은 특별한 연애사와 결혼 이야기를 솔직 담백하게 풀어냈다. 홍콩영화와 중국 드라마, 대만 가수에 빠져 중국어 특기자 전형으로 서강대학교 중국문화학과에 입학한 작가는 영화감독이 되고 싶다는 꿈 하나로 박찬욱 감독이 수학한 철학과에 입학한 ‘민’을 만나게 된다. ‘민’은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태어나 1997년 탈북했고, 중국 지린성 옌지에서 지내다 2005년 양친과 누나 두 명, 남동생 그리고 사촌 누나 두 명과 함께 한국으로 온 이주민이다. 둘은 5년 연애 끝에 결혼했고 지금은 북한 이주민 2세인 딸아이를 함께 양육하고 있다. 저자 김이삭은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 장르소설 작가이자 번역가이다. 작가의 첫 장편인 『한성부, 달 밝은 밤에』는 프랑스에 수출되었고, 부산국제영화제 E-IP 마켓 피칭작으로 선정되어 드라마화 계약을 체결하였다. 지워진 목소리를 복원하는 서사를 고민하며 역사와 여성 그리고 괴력난신에 관심이 많다는 작가 김이삭의 첫 에세이에는 북한 이주민과 맞닿은 자신의 삶이 고스란히 담겼다. ■ 출판사 리뷰 “어쩌다가 이 둘은 사랑에 빠졌을까?” 이 책은 ‘어쩌다’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여주’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남녀북남의 로맨스를 다룬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로맨스 콘텐츠는 정복의 서사이자 전복의 서사이다. 판타지가 집약된 캐릭터라할지라도 ‘메이드 인 노스(North) 코리아’ 딱지가 붙는 순간 욕망의 대상이 되기 힘들었을텐데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은 당시(2019년) 남북화해 무드에 힘 입어 큰 인기를 끌었다. 현실판 남녀북남의 스토리는 드라마처럼 달콤하지 않다. 단짠단짝 사이에 매운 맛과 ‘현실 자각 타임’이 수시로 찾아온다. “내가 여성이라서 어려움을 겪었다면, 민은 북한 이주민이라서 조금 다른 형태의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어떤 문제에서는 내 상황이 좀더 나았고, 어떤 문제에서는 민의 상황이 더 나았지만, 오십보백보였던 것 같다.”(책 115쪽, 「북한 이주민 남성이 한국에서 취업하기」 중에서) 우리가 당연하게 느꼈던 사회적 제도나 관습이 누군가에게는 부족한 또는 불편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명절에 친지와 가족들이 모여서 밥을 먹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북한 이주민들 중에는 북한에 있는 가족과 함께할 수 없어 오히려 외롭고 힘든 시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구직 활동에서 북한 이주민이 겪을 수 있는 차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특히 규율은 명문화된 것도 있고, 암묵적인 것도 있다. 항공업계에는 취업이 불가하다든지, 중국 여행을 가지 말라든지, 경찰이 되면 안 된다는 규정이 있는 건 아니지만 틀림없이 면접에서 떨어질 거라든지…. (요즘 북한 이주민 취업 설명회가 경찰서에서 열리는데, 북한 이주민은 경찰이 될 수 없다니, 블랙코미디인가?)” (책 162쪽, 「배우자의 담당형사」 중에서) 이 책의 5장에는 미니인터뷰가 실려 있다. 작가는 서술자인 자신의 목소리만 담으려고 하지 않았다. 북한 이주민인 가족의 목소리도 함께 담으려고 했다.북한 이주민 1세대와 1.5세대 그리고 2.0세대까지 그들의 현재를 전달하고픈 작가의 고민이 느껴진다. 북한 이주민이 하는 말 중에 “까치는 까치끼리, 까마귀는 까마귀끼리”라는 표현이 있다. 북한 사람은 북한 사람과, 남한 사람은 남한 사람과 사귀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종(?)을 뛰어넘은 이 둘이 발명한 ‘사랑’은 그래서 더 소중해 보인다. ‘까치’와 ‘까마귀’가 함께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라는 사람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