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개론

김석환
41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오랜 시간 동안 파편적으로 흩어진 성우계의 조각들을 모아서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방송과 함께 시작된 성우의 역사, 성우계 원로의 회고 및 예술적 고뇌 등을 통한 성우의 아티스트적 면모, 성우 연기와 방송언어 분석, 성우의 미래를 위한 방향 제시 및 실용적인 성우의 표현 훈련에 대한 부분도 빠뜨리지 않고 담아냈다. 성우 직역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써 내려간 저자의 심도 깊은 분석으로 성우에 대한 바른 이해를 할 수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1장 성우와 성우론 01 성우론 1. 개론과 원론 / 24 2. 일반론과 성우론 / 27 3. 성우의 소양 / 31 02 성우의 의의 1. 성우의 개념 / 36 2. 개념의 정리와 제언 / 42 3. 성우의 사전적 정의 / 44 4. 사전적 정의의 정리와 제언 / 47 2장 성우의 역사 01 대한민국 방송사 개괄 1. 방송의 시작과 시점 논쟁 / 50 2. 방송 초기의 방송인 / 54 3. 방송사의 정리와 제언 / 58 02 방송문예와 성우의 탄생 1. 우리나라 근대 방송문예 / 60 2. 우리나라 근대 방송문예인 / 60 3. 방송극 연구생과 성우 / 63 4. 독립 성우의 등장 / 65 5. 성우의 탄생 정리와 제언 / 70 3장 성우의 시기별 활동 변화 01 확장 과정 개괄과 특징 1. 역할의 확장 / 74 2. 역할 확장의 특징 / 75 02 민영방송의 개국 1. 최초의 민영방송 CBS / 77 2. 민영방송의 확장과 성우 / 80 3. 성우 인력의 부족 / 80 4. 민영방송의 출현 정리와 제언 / 81 03 텔레비전의 등장과 패러다임의 변화 1. 텔레비전의 등장 / 84 2. 새로운 장르의 대두 / 86 3. 성우의 전문화와 세분화 / 88 4. 텔레비전 시대 정리와 제언 / 90 04 전환기의 성우 1. 성우 활동 영역의 변화 / 92 2. 장르별 변동 이유 및 발전 가능성 / 93 3. 역할의 재정립을 위한 조건 / 103 4. 전환기 성우의 정리와 제언 / 118 4장 성우의 미래 01 신언서판 그리고 예 1. 예술가로서의 성우 / 122 2. 방송인으로서의 성우 / 125 3. 정보전달자로서의 성우 / 127 4. 정리 및 제언 / 132 02 성우의 전문가성 1. 언어표현 전문가 / 135 2. 방송표현 전문가 / 138 3. 보이스코칭 전문가 / 140 4. 전문 내레이터 / 143 5. 정리 및 제언 / 147 03 능동적인 역할 확장 로드맵 1. 대외적 중점추진 사업의 예시 / 149 2. 대내적 중점추진 사업의 예시 / 152 3. 정리 및 제언 / 154 5장 성우 연기론 01 라디오 예술론 1. 최초의 청각 대중매체 / 160 2. 라디오드라마의 미학 / 162 3. 라디오드라마 연출 / 166 4. 라디오드라마의 예술성 / 170 5. 언어표현 예술가, 성우 / 176 6. 정리와 제언 / 178 02 장르별 성우음성표현의 특징 1. 라디오 예술 / 181 2. 광고 홍보 / 186 3. 후시녹음과 재제작 / 189 4. 내레이션 / 201 5. 내레이터의 다섯 가지 소양 / 213 6. 진행자 / 218 7. 음성 언어 서비스 / 221 03 성우 음성표현과 언어 1. 음성표현의 본질 / 224 2. 음성표현의 재료 / 226 3. 훈민정음의 해례 / 229 4. 음성표현의 불안 / 235 04 성우 음성표현의 보완 1. 음성표현과 비언어 / 242 2. 준언어와 비언어 / 248 3. 음성표현의 대원칙 / 262 4. 성우 음성표현의 발전방향 / 269 6장 성우와 방송 01 방송언어 1. 성우와 언어 / 280 2. 방송언어의 특징 / 282 3. 표준어 / 288 4. 표준발음 / 290 02 방송언어의 표현 1. 글말과 입말 / 294 2. 고저장단 / 296 3. 언어에 대한 자세 / 300 4. 마이크 사용방법 / 302 03 언어표현 주의사항 1. 경어법, 수의 표현, 금기어 / 308 2. 발음의 오류 / 311 3. 방송과 금기어 / 313 7장 성우와 법제도 01 보편적 시청권 보장 1. 수용자 정보접근권과 더빙 / 318 2. 우리 방송의 현실 / 325 3. 세계의 국어보호 방송 정책 / 326 4. 관계 법령 정리 / 332 02 방송법과 성우 1. 방송법이란 / 337 2. 방송법 시행령 / 339 3. 방송보호와 성우 / 344 03 저작인접권과 성우 1. 저작권 / 346 2. 저작인접권 / 347 <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음성표현 예술가, 성우에 대한 이해 <성우개론> * 성우학으로 가는 첫걸음 우리나라 방송의 시작과 함께 70여 년간 발전한 성우의 역사이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책은 이제껏 없었다. 성우가 되기 위한 방법을 다룬 실용서만이 출판시장에 나와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성우와 성우의 연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해서 찾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여타 다른 방송 직역, 예를 들면 프로듀서, 아나운서, 촬영 등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충실하게 이루어져 온 것과 대비되는 지점이다. 이런 상황으로 성우계를 이끈 문제 상황은 무엇인지, 저자는 심도 있게 고찰한다. 궁극적으로 ‘성우學’이 되는 그날까지 저자는 연구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 책의 특징 오랜 시간 동안 파편적으로 흩어진 성우계의 조각들을 모아서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방송과 함께 시작된 성우의 역사, 성우계 원로의 회고 및 예술적 고뇌 등을 통한 성우의 아티스트적 면모, 성우 연기와 방송언어 분석, 성우의 미래를 위한 방향 제시 및 실용적인 성우의 표현 훈련에 대한 부분도 빠뜨리지 않고 담아냈다. 성우가 주어진 원고를 그대로 읽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성우에 대한 몰이해다. 성우는 끊임없이 고뇌하고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성우 직역에 대한 애정을 기반으로 써 내려간 저자의 심도 깊은 분석으로 성우에 대한 바른 이해를 할 수 있다. * 성우란 무엇이고 나아갈 길은 무엇인가 성우가 그저 ‘목소리 연기자’라고 생각하는가? 성우는 그렇게 간단한 직역이 아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성우’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한다. ‘음성연기를 전문으로 하는 배우, 라디오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에 출연한다’, ‘방송극 및 음성연기를 전문으로 하는 배우로서 방송전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준언어 및 언어표현 전문가로서, 배우, 진행자, 교육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한다’. 이렇듯 성우는 목소리 연기만 하는 사람이 아니다. 방송의 전면에서 거의 모든 방송음성 표현을 담당해 왔다. 성우에 대한 가치 재정립이 필요한 이유이다. 성우가 되길 원하는 지망생은 한해에 수천이 넘는다. 수백 대 일의 경쟁률을 뚫고 성우가 되었어도 자신의 직역에 대한 소양 개발 노력 없이는 성우계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이 책에서는 성우가 갖추어야 할 다양한 소양을 소개한다. 책을 통하여 성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바람직한 성우상의 확립 및 직역에 대한 프라이드를 높이는 노력으로 방송계에서 성우의 위치를 공고히 하여야 한다. 성우는 ‘음성표현 예술가’이자, ‘보이스 아티스트’의 길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