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0 독일어에 대한 선지식
‘독일어/도이치’ : 언어 명칭에서 민족 명칭으로, 그리고 국가 명칭으로
독일어권 지역과 독일어를 쓰는 인구
I 고대 게르만 시대
1. 시대적 배경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게르만의 사회와 문화
2.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
3. 게르만 문학
루네 문자
≪에다≫
4. 고대 고지독일어 문학
영웅서사시 ≪힐데브란트의 노래≫/<메르제부르크의 주문>
II 중세 독일 문학
1.‘역사적 중세’ 개념과 ‘문학사적 중세’ 개념
2. 시대적 배경
3. 중세 초기 : 수도원 문학과 문화의 시대
카롤링 왕조 시기의 문학
≪라틴어-독일어 사전 ‘아브로간스’≫ : 가장 오래된 독일어 서적
오토 대제 시대의 문학
로스비타 폰간더스하임: 라틴어로 쓴 기독교 문화권 최초의 여류 극작가/아바 부인 : 독일어로 시를 쓴 첫 여류 시인/힐데가르트 폰빙엔 : 계시 받은 수녀 작가
클뤼니 수도원 개혁 운동 시기의 문학
≪에조의 노래≫/≪황제 연대기≫/≪롤랑의 노래≫와 ≪알렉산드로스의 노래≫
4. 중세 중기 : 수도원 문학에서 궁정 기사문학으로
5. 중세 고지독일어 문학
궁정 서사시
볼프람 폰에셴바흐의 ≪파르치발≫ : 독일 교양소설의 시작/고트프리트 폰슈트라스부르크의 ≪트리스탄≫ : 사랑의 묘약과 운명적 사랑
영웅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 : 사랑과 죽음의 노래
중세 연가 ‘미네장’
발터 폰데어포겔바이데 : 괴테 이전 독일 최고의 서정시인
6. 중세 후기
독일 신비주의문학
종교극과 사육제극
산문문학
요하네스 폰테플의 ≪보헤미아 출신 농부≫
III.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1. 개념
인문주의/휴머니즘
2. 시대적 배경
3. 정신사적 배경
4. 경향과 특징
독일의 인문주의
에라스무스 폰로테르담 : 인문주의의 선구자/울리히 폰후텐 : “우리의 세기, 우리의 학술, 이제 살아갈 신명이 난다”/후텐의 ≪무명 인사 서한집≫
종교개혁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루터의 성서번역 : 현대 표준 독일어가 된 근대 고지독일어의 출발점
5. 작가와 작품
‘바보 문학’ : 주인공이 되는 민중
제바스티안 브란트의 ≪바보들의 배≫
인문주의 드라마
사육제극과 장인가
한스 작스 : 소시민 계층의 대변인
민중본 : 대중문학의 총아
≪포르투나투스≫ : 독일 시민소설의 선구적 작품/≪틸 오일렌슈피겔≫ : 민중 계몽하기/≪요한 파우스트 박사 이야기≫ : ‘악마와의 계약’ 전설의 탄생
IV. 바로크
1. 시대적 배경
30년 전쟁과 독일 사회
2. 특징
언어 정화 운동
언어 협회
3. 작가와 작품
이론서
마르틴 오피츠 : 독일 최초의 문학 이론서 집필
소설 : 장편소설의 등장
목가소설/목자 소설(牧者小說)/국가 소설/악한소설/피카레스크 소설/소설가 그리멜스하우젠/≪모험가 짐플리치시무스≫
드라마 : 극장의 창립
새로운 공연 장르 : 발레, 오페라, 검투극, 순교극, 목가극/예수회극/극작가 그리피우스/독일 최초의 비극 ≪레오 아르메니우스 혹은 군주 살해≫/희극 ≪호리빌리크리브리팍스≫
시 : 장르의 발전
그리피우스와 소네트/플레밍, 슈페, 게르하르트와 종교시/엠블럼
V. 계몽주의
1. 철학적 배경
2. 시대적 배경
3. 사상적 경향
경건주의
감상주의
4. 특징
5. 작가와 작품
크리스티안 겔러트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리히텐베르크
요한 크리스토프 고트셰트
고트셰트와 유랑극단 단장 노이버 부인의 독일 연극 개혁/고트셰트와 보드머·브라이팅거의 문학적 상상력을 둘러싼 논쟁/
고트홀트 레싱 : 독일 최초의 유럽적 비평가, ‘독일 근대 희곡의 아버지’
<미스 사라 샘슨> : 독일 최초의 시민 비극/<에밀리아 갈로티> : 독일 비극의 대표작/<미나 폰바른헬름, 또는 군인의 행운> : 독일 희극의 대표작/<현자 나탄> : 계몽주의의 대표작/반지 우화/이론서 ≪함부르크 연극론≫/<라오콘, 혹은 회화와 시의 경계선에 대하여> : 공간예술과 시간예술의 차이
클롭슈토크 : 계몽주의의 대표적 서정시인
서사시 ≪메시아≫
크리스토프 빌란트 : 로코코풍의 소설 작가
≪아가톤 이야기≫
6. 백과사전과 도덕주보들
VI. 슈투름 운트 드랑
1. 정신사적 배경
2. 경향과 특징
3. 장르
발라드
드라마
4 작가와 작품
‘괴팅겐의 숲’
청년 괴테
역사 드라마 ≪괴츠≫/첫사랑의 시 ≪제젠하임의 노래들≫/서정시 <나그네의 밤 노래>/송가 <프로메테우스>/송가 <가니메트>/서간체 소설 ≪젊은 베르터의 슬픔≫/≪베르터≫에 대한 당대의 반응/‘베르터 모방작’과 니콜라이의 ≪젊은 베르터의 기쁨≫
청년 실러
드라마 ≪도적 떼≫/≪간계와 사랑≫/≪돈 카를로스≫ : “사상의 자유를 주십시오”
VII. 바이마르 고전주의
1. 시대적 배경
2. 정신사적 배경
칸트의 철학
빙켈만 : “고귀한 단순성과 고요한 위대성”
빌헬름 폰훔볼트 : 베를린 대학 설립
이미지(Bild)와 교양(Bildung) : ‘엠블럼의 시대’에서 ‘교양소설의 시대’로
3. 경향과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