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규 평전

은예린
24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2.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대한민국 근대화와 독립운동을 이끈 한의사 열전 1권. 3.1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일제총독 재등실에게 폭탄을 던진 65세 노혁명가 강우규. 1919년 9월 2일 이후 그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설이 되었다. 항일 의열 투쟁의 서막을 연 한의사, 강우규의 평전이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들어가며 7 제1장 조선 후기와 일제 점령기 역사적 상황 1. 망국 군주 고종의 부족한 리더십 2. 일제의 무단 통치 *재등실 총독 취임사 *재등실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1920) 3. 일제의 문화 통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 *조선교육조서 4. 역대 조선 총독과 그들의 만행 제2장 우리 민족의 항일독립투쟁 1. 3*1운동 2. 독립운동의 주인공이 된 모든 민중들 3. 3*1운동 이후 개인이 일으킨 최초의 항일의거 제3장 강우규의 생애와 독립사상 형성 1. 강우규의 젊은 시절 2. 우리 의학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 *조선 후기 한의학 - 개항과 서양의학의 쇄도 *조선 후기 의사규칙과 개혁 시도 *국운쇠퇴와 한의학의 수난 *일제 강점기 한의학 - 일제의 식민지 의료정책 *의생규칙과 신분 격하 *학술지 발간과 의학강습 *한의학에 일기 시작한 새 기운 3. 민족운동가로의 변화*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이동휘와의 만남 *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4. 강우규, 민족운동에 뛰어들다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강우규, 노인동맹단에 참여 *노인동맹단의 대표적인 활동 제4장 백발노인의 독립운동 1. 강우규 의거의 서막 *신임 총독을 맞이하는 불행했던 경성의 풍경 *강우규 의거와 사상자 명단 *어수선했던 1919년의 조선 *남대문 역에 퍼진 폭탄의 울림: 노인이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던지다 . 2. 거사 준비 과정과 탄생 3. 의거 후 재판 과정 *악덕 친일 경찰 김태석 *프랑스의 나치 협력자 숙청 (임기상 《숨어 있는 한국 현대사》 중에서, 2014 ) *제1회 공판 *제2회 공판 4. 애국정신이 담긴 상고취지서 요약 *의열투쟁의 배경: 재등실 총독 폭탄 투척 이유 *최자남에 대한 변론 *상고이유와 1심과 2심 판결에 대한 비판 *동양 삼국의 ‘동양평화론’을 거듭 강조하다 5. 사형 선고 후 강우규의 태도와 순국 제5장 강우규 의거가 남긴 의의 참고문헌 중요자료 1〈매일신보〉에 실린 강우규 의사 관련기사 중요자료 2 상고 취지서 연보 - 강우규가 걸어온 인생 저자후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3.1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일제총독 재등실에게 폭탄을 던진 65세 노혁명가 강우규! 1919년 9월 2일 이후 그는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설이 되었다! 내가 평생에 세상에 대하여 너무 한 일이 없음이 오히려 부끄럽다. 내가 이때까지 우리민족을 위하여 자나깨나 잊지 못하는 것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교육이다. 내가 돌아다니면서 아무리 애를 쓴대야 내가 죽느니만 같지 못할 것 같다. 즉 내가 이번에 죽으면 내가 살아서 돌아다니면서 가르치는 것보다 나 죽는 것이 조선청년의 가슴에 적게나마 무슨 이상한 느낌을 줄 것 같으면 그 느낌이 무엇보다도 귀중한 것이다. 이제 내가 이만큼 애쓰다가 죽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니냐. 조선청년의 가슴에 인상만 배긴다면 그만이다. 내가 죽을지라도 나의 가슴에 한 되는 것은 나 죽은 후에 조선청년들의 교육이다. 지금은 조선사람 가운데 매우 사람 같은 사람이 많아서 청년의 교육을 소홀히 하지 아니 하겠지만은 그저 그래도 눈을 감고 앉았으면 쾌활하고 용감히 살려고 하는 십삼도에 널려 있는 조선청년들이 보고 싶다. 아! 보고 싶다. 일러 주고 싶다. (〈동아일보〉 1920년 5월 28일자, 강우규 의사의 옥중 유언) …원래 의술을 잘 아시니까 일 년에도 수천 원을 버시지만은 그 돈을 한 푼도 내게 주시지 아니하고 전부 학교에 기부하시면서, “너는 너대로 살아라. 나는 나 할 일이 있으니까” 하십니다. …사형선고가 되니까 내가 낙심할까 보아 일부러 웃으시며, “생사를 두려워하는 것은 하등배이니라. 너, 조금도 애비 죽는다고 어찌 알지 말고, 아무쪼록 잘 살아가거라” 하시면서 울지도 못하게 하시옵니다. “내가 죽더라도 육체의 애비가 죽는 것이니까 영혼의 애비는 원히 살아있을 것이다” 하시면서 아무렇지도 않으십디다. (〈동아일보〉 1920년 5월 4일자에 실린 강의사 아들 강중건의 말) 애국투사 강우규(姜宇奎: 1855~1920) 한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 혁명가. 평안남도 덕천군의 빈한한 농가에서 출생. 어린 시절부터 한학과 한의학을 습득하여 한의사로 활동하였으며, 의술이 뛰어나 30대 초반에 이미 거금을 모았고 1885년경 함경남도 흥원으로 이주, 상업에 종사하다가 1909년경 단천 출신의 유명한 독립운동가 이동휘를 만나 민족의식에 눈을 떴다. 1917년 만주 길림성 요하현에 신흥동을 개척하고 광동(光東)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소식을 듣고 신흥동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1919년 4월 블라디보스톡으로 가 한인독립운동단체 <노인동맹단>에 가입하고, 러시아인에게서 구입한 폭탄을 지닌 채 원산을 거쳐 서울로 잠입, 1919년 9월 2일 서울역에서 일제 신임총독 재등실(齋藤實)에게 폭탄을 던지는 의거를 완수했다. 불행히도 재등실은 폭살시키지 못했으나, 37명의 일제주구들이 죽거나 다쳤으며, 3.1운동 이후 처음으로 일제의 만행과 강압통치에 대해 민족의 강력한 의열항거로 맞섰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거사 당시 강우규 의사는 65세 고령의 노인이었다. 1920년 11월 29일 서대문 감옥에서 순국하였으며, 1962년 3월 정부는 강우규 의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