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공디자인의 이해
1.1 공공디자인의 정의
1.1.1 공공의 개념
1.1.2 공공디자인의 개념
1.1.3 공공디자인의 주체
1.1.4 공공디자인의 목적
1.1.5 공공디자인의 대상
1.2 공공디자인의 역사
1.2.1 사의 대칭으로서 공, 공공
1.2.2 국가적 개념의 공공과 중세도시
1.2.3 근대적 개념의 공공과 근대도시
1.2.4 시민사회의 대두와 도시디자인운동
1.2.5 복지사회의 공공디자인
1.2.6 세계화시대의 공공디자인
1.3 공공디자인의 영역
1.3.1 도시경관의 영역
1.3.2 공공공간의 영역
1.3.3 공공건축의 영역
1.3.4 공공시설물의 영역
1.3.5 공공시각매체의 영역
1.3.6 공공용품의 영역
1.4 공공디자인의 특성
1.4.1 참여의 디자인
1.4.2 통합의 디자인
1.4.3 맥락의 디자인
1.4.4 지속가능 디자인
1.5 공공디자인의 기능
1.5.1 사회통합의 기능
1.5.2 문화적 기능
1.5.3 방재적 기능
2. 행정의 이해
2.1 행정의 의의와 본질
2.1.1 행정의 개념
2.1.2 행정의 개념적 요소
2.1.3 행정, 정치, 경영의 비교
2.2 행정의 이념
2.2.1 행정이념과 행정가치
2.2.2 행정이념의 이해
2.2.3 행정이념의 조화방안
2.3 행정의 기본 시스템
2.3.1 조직행정
2.3.2 인사행정
2.3.3 재무행정
2.4 현대행정의 특징 및 주요이론
2.4.1 현대행정의 특징
2.4.2 현대행정의 주요이론
3. 공공디자인 행정의 이해
3.1 공공디자인 행정의 개념
3.1.1 공공디자인 행정의 정의
3.1.2 공공디자인 행정의 흐름
3.1.3 공공디자인 행정의 조직체계
3.2 공공디자인 정책 이론
3.2.1 정책의 기본개념
3.2.2 공공디자인 정책의 특성
3.2.3 공공디자인 정책의 이념
3.2.4 공공디자인 정책의 목표
3.2.5 공공디자인 정책의 유형
3.3 공공디자인 제도와 법규
3.3.1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필요성
3.3.2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실태
3.3.3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발전방향
4. 공공디자인의 정책의 운영
4.1 공공디자인 정책 활동
4.1.1 디자인직류 공무원의 직무
4.1.2 공공디자인 사업의 운영
4.2 공공디자인 사업 프로세스
4.2.1 공공디자인 사업구상
4.2.2 공공디자인 사업기획
4.2.3 공공디자인 사업추진
4.2.4 공공디자인 사업평가
4.3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
4.3.1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4.3.2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4.3.3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5. 공공디자인 행정의 실제
5.1 공공디자인 정책의 실제
5.1.1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1.2 미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1.3 일본의 공공디자인 정책
5.1.4 독일의 공공디자인 정책
5.1.5 프랑스의 공공디자인 정책
5.1.6 한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2 공공디자인 운영의 실제
5.2.1 참여의 디자인
5.2.2 맥락의 디자인
5.2.3 방재의 디자인
5.2.4 지속가능 디자인
5.2.5 유니버설 디자인
5.2.6 아이덴티티 디자인
5.2.7 사회통합의 디자인
5.2.8 지역활성화 디자인
5.2.9 도시경쟁력 디자인
참고문헌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