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행정론

권영걸님 외 2명
369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2
평균 별점
(5명)
코멘트
더보기

기존의 공공디자인행정론이 다루지 못했던 공공디자인행정의 개념, 공공디자인행정가의 역할론, 공공디자인 방법론 등을 체계화한 공공디자인행정 이론서. 공공디자인의 정의로부터 공공디자인행정의 개념, 공공디자인정책의 운영, 공공디자인의 실천에 이르기까지 공공디자인 행정을 에워싸고 있는 관, 민, 산, 학의 모든 섹터에 필요한 내용을 심도있게 총망라하고 있다.

저자/역자

목차

1. 공공디자인의 이해 1.1 공공디자인의 정의 1.1.1 공공의 개념 1.1.2 공공디자인의 개념 1.1.3 공공디자인의 주체 1.1.4 공공디자인의 목적 1.1.5 공공디자인의 대상 1.2 공공디자인의 역사 1.2.1 사의 대칭으로서 공, 공공 1.2.2 국가적 개념의 공공과 중세도시 1.2.3 근대적 개념의 공공과 근대도시 1.2.4 시민사회의 대두와 도시디자인운동 1.2.5 복지사회의 공공디자인 1.2.6 세계화시대의 공공디자인 1.3 공공디자인의 영역 1.3.1 도시경관의 영역 1.3.2 공공공간의 영역 1.3.3 공공건축의 영역 1.3.4 공공시설물의 영역 1.3.5 공공시각매체의 영역 1.3.6 공공용품의 영역 1.4 공공디자인의 특성 1.4.1 참여의 디자인 1.4.2 통합의 디자인 1.4.3 맥락의 디자인 1.4.4 지속가능 디자인 1.5 공공디자인의 기능 1.5.1 사회통합의 기능 1.5.2 문화적 기능 1.5.3 방재적 기능 2. 행정의 이해 2.1 행정의 의의와 본질 2.1.1 행정의 개념 2.1.2 행정의 개념적 요소 2.1.3 행정, 정치, 경영의 비교 2.2 행정의 이념 2.2.1 행정이념과 행정가치 2.2.2 행정이념의 이해 2.2.3 행정이념의 조화방안 2.3 행정의 기본 시스템 2.3.1 조직행정 2.3.2 인사행정 2.3.3 재무행정 2.4 현대행정의 특징 및 주요이론 2.4.1 현대행정의 특징 2.4.2 현대행정의 주요이론 3. 공공디자인 행정의 이해 3.1 공공디자인 행정의 개념 3.1.1 공공디자인 행정의 정의 3.1.2 공공디자인 행정의 흐름 3.1.3 공공디자인 행정의 조직체계 3.2 공공디자인 정책 이론 3.2.1 정책의 기본개념 3.2.2 공공디자인 정책의 특성 3.2.3 공공디자인 정책의 이념 3.2.4 공공디자인 정책의 목표 3.2.5 공공디자인 정책의 유형 3.3 공공디자인 제도와 법규 3.3.1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필요성 3.3.2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실태 3.3.3 공공디자인 제도 및 법규의 발전방향 4. 공공디자인의 정책의 운영 4.1 공공디자인 정책 활동 4.1.1 디자인직류 공무원의 직무 4.1.2 공공디자인 사업의 운영 4.2 공공디자인 사업 프로세스 4.2.1 공공디자인 사업구상 4.2.2 공공디자인 사업기획 4.2.3 공공디자인 사업추진 4.2.4 공공디자인 사업평가 4.3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 4.3.1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4.3.2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4.3.3 공공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방향 5. 공공디자인 행정의 실제 5.1 공공디자인 정책의 실제 5.1.1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1.2 미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1.3 일본의 공공디자인 정책 5.1.4 독일의 공공디자인 정책 5.1.5 프랑스의 공공디자인 정책 5.1.6 한국의 공공디자인 정책 5.2 공공디자인 운영의 실제 5.2.1 참여의 디자인 5.2.2 맥락의 디자인 5.2.3 방재의 디자인 5.2.4 지속가능 디자인 5.2.5 유니버설 디자인 5.2.6 아이덴티티 디자인 5.2.7 사회통합의 디자인 5.2.8 지역활성화 디자인 5.2.9 도시경쟁력 디자인 참고문헌 INDEX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공공디자인이라는 용어가 탄생한 이후 서울특별시를 필두로 전국의 지자체들이 공공디자인 부서를 설치했고, 2010년부터는 공공디자인 전담 공무원이 선발되고 있으며, 수많은 대학의 커리큘럼에 공공디자인 과목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공공디자인의 목적, 역할, 규범, 지식과 이를 실현하는 방법론에 대한 지침서는 전무한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 <공공디자인행정론>은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을 이루어 나가는데 필수적인 길잡이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기존의 공공디자인행정론이 다루지 못하였던 공공디자인행정의 개념, 공공디자인행정가의 역할론, 공공디자인 방법론 등을 체계화한 최초의 공공디자인행정 이론서이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정의로부터 공공디자인행정의 개념, 공공디자인정책의 운영, 공공디자인의 실천에 이르기까지 공공디자인 행정을 에워싸고 있는 관, 민, 산, 학의 모든 섹터에 필요한 내용을 심도있게 총망라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공공디자인 - 행정 - 공공디자인행정으로 이어지는 개념적 흐름을 따라 총 5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지막 장에는 실무에 참고할 수 있는 풍부한 정책사례들을 담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책이 지닌 가치와 의의는 이제 막 공공디자인의 첫발을 디딘 우리나라의 도시들로 하여금 관(官)이 지원하고 민(民)이 주도하는 뉴 거버넌스에 의해 자기다운 품격을 갖추어 나아가고 모두가 더불어 살만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