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v
제1부 근대 세계 구조의 형성
제1장 세계의 팽창, 세계의 불균형 005
1. 아시아 해양 세계의 변화 / 6
1) 15세기 이전 아시아의 바다 / 7
2) 중국 해상 팽창의 정점: 정화의 원정(1405-1433) / 13
3) 중국 정부의 해상 후퇴, 그리고 화교의 확산 / 17
4) 스틴스고르(Steensgaard) 테제 / 21
2. 세계사의 거시 구조 / 26
1) 세계의 구조 변화 / 26
2) 유럽중심주의, 지구사, 세계체제론 / 35
3) 대분기(大分岐, Great Divergence) / 42
제2장 세계와 유럽의 조우: 유럽의 해상 팽창 045
1. 에스타도(Estado): 포르투갈의 해외 거점 제국 / 46
1) 포르투갈의 아시아 사업: 군주 자본주의 / 51
2) 위기와 기회(1540-1580) / 57
3) 1580년 이후: 네덜란드와의 경쟁과 쇠퇴 / 61
2. 제국과 플랜테이션: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화 / 63
1) 정복 / 64
2) 식민지 교역 / 71
3) 불황과 구조 변화: 사탕수수와 금 / 75
4) 북아메리카 식민 거주지 / 80
3. 국가와 자본의 결합: 동인도회사에서 제국으로 / 86
1)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 87
2)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아시아 교역 / 91
3) 영국 동인도회사 / 96
4) 무역회사로부터 제국 건설로 / 105
제1부를 마치며: 디아스포라에서 제국으로 113
제2부 폭력의 세계화
제3장 근대 해양 세계의 내면: 선박·선원·해적 121
1. 조선업과 항해술의 발달 / 122
1) ‘사막의 배’와 바다의 배: 육상 수송과 해상 수송 / 122
2) 선박의 발전 / 128
3) 선박의 크기 / 136
4) 원양 항해의 위험 / 141
2. 선원들의 세계 / 144
1) 선상 생활 / 145
2) 선원들의 삶 / 147
3) 선상 기율과 폭력 / 155
4) 선원들의 대응: 선원들의 생활과 문화 / 159
3. 해적의 세계: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반질서 / 163
1) 해적의 분류 / 163
2) 해적 민주주의? / 171
3) 해적의 이미지 / 177
결론 / 181
제4장 근대적 폭력, 폭력적 근대: 군사혁명과 유럽의 팽창 183
1. 군사혁명 / 185
1) 군사혁명 개념의 발전 / 187
2) 유럽 해군의 발달 / 193
3) ‘군사혁명’ 개념에 대한 수정과 비판 / 197
2. 전 세계의 군사적 충돌 / 200
1) 다른 대륙에 대한 우월성 / 200
2) 군사혁명의 수용 여부 / 206
3) 군사력 발전과 군사혁명의 수용 / 209
4) 종합적인 고찰: 마라타의 사례 / 213
5) 최종 승자가 된 유럽 / 216
3. 군사 문제와 문화 / 219
1) 문제의 재설정: 오토만 제국의 사례 / 219
2) 분열과 집중 / 223
3) 폭력과 문화 / 225
4) 동남아시아의 사례 / 228
5) 멕시코의 사례 / 230
6) 근대적 폭력성? / 234
결론 / 237
제5장 화폐와 귀금속의 세계적 유통 239
1. 화폐·귀금속·근대 세계 / 241
1) 아메리카-유럽-아시아 / 244
2) 아메리카의 금과 은 / 247
2. 동아시아의 귀금속 / 257
1) 은 유입과 중국 경제 / 262
2) 일본의 귀금속 수출 / 266
3. 구리·카우리·아편 / 270
1) 동남아시아의 구리 시장 / 271
2) 카우리 조개 / 274
3) 윈난 성의 사례 / 279
4) 아편: 화폐 현상 / 283
결론 / 287
제6장 노예무역: 근대 세계의 비극 289
1. 아프리카 내부의 노예제와 노예교역 / 292
1) 대서양 노예무역 이전의 노예거래 / 296
2) 인도와 페르시아 / 301
2. 근대 대서양 노예무역 / 307
1) 수치 계산 / 308
2) 새로운 자료와 새로운 추산 / 311
3) 노예무역의 사업 경영 / 317
4) 아프리카의 내부 / 324
5) 중간항해 / 329
3. 플랜테이션과 식민지의 노예 / 336
1) 인디오의 노예화 / 337
2) 백인 노예에서 흑인 노예로 / 340
3) 인구 구성 / 343
4) 노예 사용 사회: 북아메리카 식민지, 그리고 저항 / 346
5) 해방 / 352
결론 / 358
제3부 세계화·지역화된 문화
제7장 환경과 인간 365
1. 생물학적 교환 / 366
1) 생태제국주의 / 367
2) 구대륙에서 신대륙으로 / 372
3) 크로스비에 대한 비판 / 374
2. 세계적인 환경 파괴 / 378
1) 멸종 / 379
2) 삼림 파괴 / 382
3) 경작 방식의 변화와 삼림 파괴 / 386
4) 동물의 남획 / 391
3. 전염병 /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