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5
서설 15
들어가는 말 : 다양한 체험담 _15 / 일제강점기 조선 경제에 대한 연구사 _18 / 조선인 빈곤의 원인은 무엇인가 _22 / 한국인의 빈곤은 자본주의 성립기의 보편적 현상인가 _25 / 당시의 일본의 경제 상황 _26 / 조선총독부의 재정 _28 / 산업조사위원회 _31 / 철도 부설과 산미증식계획 _32 / 자본주의 형성기의 일본 재정 _36 / 자본주의의 형성기의 한국 재정 _38 / 조선의 안행형 경제 발전을 무서워한 일본 _40 / 조선에 투자된 자금은 조선 거주 일본인이 독점 _42
제1장 1910년 이전 일본인 청부업자의 성장과 조선 진출
제1절_ 일본인 청부업자의 발생과 성장 45
일본 개국과 서양 토목기술의 습득 _45 / 외국인 기술자를 통한 토목기술 수용 _47 /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_52 / 근대적 청부업의 등장과 발전 _56 / 회계법의 성립과 청부업의 난립 _57
제2절_ 일본인 청부업자의 조선 철도 건설 진출 65
일본 철도 건설의 정체 _65 / 조선에서 철도 건설의 시작과 경인철도 _67 / 경부철도의 건설 _73 / 경부철도의 속성 공사 _83 / 경의철도 공사 _85 / 한국 토목청부업자의 소멸 _87
제2장 조선총독부의일본인 청부업자 보호정책
제1절_ 재정지출에서토목 관련 비용의규모 91
조선총독부 예산의 토목 관련 비용 _91 / 식민지기의 재정 지출과 사회간접자본의 형성 _103 / 《조선청부업연감》에서 산출한 토목공사비 _110
제2절_ 일본인 청부업자 보호와 조선인 청부업자 억압 114
토목 정책의 목적 _114 / 토목 정책 기구 _115 / 발주입찰에 관한 법률 _117 / 기술주임제도와 철도국 청부인 지정제도 _121 / 억압받는 조선인 청부업자 _124
제3절_ 관리 출신 일본인 청부업자 134
제3장 일본인 청부업자의 이윤 창출 활동
제1절_ 일본인 청부업자 단체와 공사 예산 확보 활동 143
조선토목건축협회 _144 / 회계규칙 개정과 담합 문제 _148 / 산업조사위원회와 토목공사 예산 획득을 위한 동상운동 _150 / 산업 개발 4대 요항 결정 _157 / 동상운동의 시작과 관동 대지진 _159 / 와타나베 데이이치로의 동상운동 _162 / 제국철도협회의 건의 _168 / 조선철도촉진기성회 _171 / 제52회 제국의회의 법안 승인 _173 /
제2절_ 일제하 조선인 노동자의 저임금과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의 부당 이익 177
임금 미불 문제 _181 / 저임금과 청부업자의 부당 이익 _189
제3절_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의 이윤 창출 사례 206
토목 담합사건 _206 / 일본의 담합 _210 / 조선의 담합 _214 / 담합에 대한 유무죄의 논리 _217 / 경성 토목 담합사건과 그 고찰 _222
제4절_ 일제하 수리조합사업과 일본인 토목청부업자들 229
토목청부업자가 본 수리조합사업 _237 / 식민지 조선 농가의 경제 상태와 견주어 본 수리조합사업 금액 _240 / 수리조합사업 공사금액 검토 _245 / 수리조합사업의 관리비 _247 / 수리조합사업과 일본인 지주의 이익 _251 / 일본인 토목청부업자와 일본인 지주의 유착 _253 / 일본인의 취직자리로서 수리조합 _258 / 수리조합의 대행기관 _261
제4장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분류와 반론
식민지 근대화론의 분류 _266 /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반론 _271
결어 279
참고문헌 286
찾아보기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