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으로

편장완
32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5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1장 영화의 탄생과 초창기 영화 -뤼미에르 형제에서 D. W. 그리피스까지 1-1 영화 이전의 영화 1-2 뤼미에르 형제와 시네마토그래프 1-3 조르주 멜리에스와 <달세계 여행> 1-4 토머스 에디슨과 키네토스코프 1-5 에드윈 S. 포터와 <대열차 강도> 1-6 D. W. 그리피스와 <국가의 탄생>, <불관용> 2장 시점 숏을 이용한 주관적 편집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과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2-1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서스펜스의 대가 2-2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주관적 편집 2-3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알프레드 히치콕의 수제자 3장 러시아 몽타주의 창시자 -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과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3-1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 충돌 몽타주 3-2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연결 몽타주 4장 <전함 포템킨>과 <언터처블>의 계단 장면 스타일 비교 분석 4-1 몽타주의 활용 4-2 주관적 편집과 사운드의 사용 4-3 카메라 포지션, 카메라 앵글, 카메라 움직임 5장 미장센 영화 언어와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1 미장센 영화 언어의 방법과 목적 5-2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3 오슨 웰스 감독의 작품 6장 연극에서 영화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거미의 성>, <란> 6-1 <거미의 성> 6-2 <란> 7장 사실주의와 표현주의 영화 언어의 통합과 확장 -스탠리 큐브릭 감독 7-1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작품 세계와 영화 언어 7-2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미래 삼부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7-3 테크놀로지의 마술사: <배리 린든>, <샤이닝> 8장 공상과학(Science Fiction) 영화 -테크놀로지의 상상력 9장 공포 영화의 묵시록 -웨스 크레이븐 감독과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9-1 공포 영화에 관한 이론 9-2 공포 영화의 궁극적 목적 9-3 웨스 크레이븐 감독의 공포 영화 9-4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공포 영화 10장 누벨바그와 작가주의 10-1 누벨바그의 탄생 배경과 특징 10-2 《카예 뒤 시네마》와 작가주의 10-3 누벨바그 감독의 영화 11장 장 뤽 고다르 감독 -형식의 메시지 11-1 장 뤽 고다르 감독 영화의 특징 11-2 고다르의 영화 미학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11-3 고다르 감독의 <네 멋대로 해라>, <비브르 사 비>, <주말>, <만사형통> 12장 짐 자무시 감독 -장 뤽 고다르와 낯선 곳으로의 여행 13장 이탈리안 뉴 시네마의 영화 작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과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 13-1 네오리얼리즘과 이탈리안 뉴 시네마 13-2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200 13-3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 세계와 작품 14장 아메리칸 뉴 시네마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 14-1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탄생 배경과 특징 14-2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작품 15장 서부극 -황야를 떠도는 전설 15-1 서부극 탄생과 성장 배경 15-2 고전적 서부극과 존 포드 감독 15-3 심리적 서부극과 전문가 서부극 16장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 16-1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 16-2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대부>, <대부 2>와 <지옥의 묵시록> 16-3 필름 누아르의 정의와 특징 16-4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 16-5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의 쇠퇴와 유산 16-6 네오 누아르: 필름 누아르의 재등장 17장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의 현대적 수용과 해석 17-1 폴 버호벤 감독의 <원초적 본능> 17-2 <좋은 친구들>과 <저수지의 개들> 18장 코엔 형제 ―관습을 거부하는 인디영화 작가 19장 왕가위 감독 ―홍콩 영화의 모더니스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표현매체이다. 단순한 유희의 차원을 넘어 영화를 바라보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화 언어, 영화사, 영화 장르 등에 관한 기본적인 습득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 책은 영화라는 매체에 관한 체계적 이해를 위한 입문의 과정으로 독자들을 안내하고자 한다. 특히, 음악, 미술, 연극 등의 예술 매체가 주는 미적 체험을 영화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가에 흥미를 지닌 독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