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론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 인문학/사회과학/전쟁
48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3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머리글-펴내는 이 방침-지은이 머리글-지은이 제1편 전쟁의 본질 제1장 전쟁이란 무엇인가… 31 제2장 전쟁의 목적과 수단… 57 제3장 군사적 천재… 75 제4장 전쟁에서의 위험… 101 제5장 전쟁에서의 육체적 고통… 104 제6장 전쟁에서의 정보… 106 제7장 전쟁에서의 마찰… 109 제8장 제1편의 결론… 113 제2편 전쟁의 이론 제1장 전쟁술의 구분… 117 제2장 전쟁 이론… 128 제3장 전쟁술인가 전쟁학인가… 151 제4장 방법주의… 155 제5장 비판… 163 제6장 전쟁 사례… 189 제3편 전략 일반 제1장 전략… 201 제2장 전략의 여러 요소… 212 제3장 정신적 요소… 214 제4장 중요한 정신력… 217 제5장 군대의 무덕… 219 제6장 용감성… 225 제7장 불굴… 230 제8장 수의 우세… 232 제9장 기습… 240 제10장 궤책… 247 제11장 공간에서의 병력 집중… 250 제12장 시간상 병력 집합… 251 제13장 전략적 예비 병력… 259 제14장 병력의 경제적 사용… 263 제15장 기하학적 요소… 265 제16장 군사적 행동 정지… 267 제17장 근대전 성격… 274 제18장 긴장과 휴식… 276 제4편 전투 제1장 개관… 283 제2장 근대 회전의 성격… 284 제3장 전투 일반… 286 제4장 전투 일반(이어서)… 291 제5장 전투 의의… 300 제6장 전투의 지속 시간… 303 제7장 전투에서의 승패 결정… 305 제8장 전투에 대한 양군의 합의… 314 제9장 주력 전투… 318 제10장 주력 전투(이어서 1)… 325 제11장 주력 전투(이어서 2)… 332 제12장 전승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 340 제13장 패전 뒤의 퇴각… 354 제14장 야간 전투… 358 제5편 전투력 제1장 개관… 367 제2장 전장 군 전역… 368 제3장 적군과 아군의 병력 비율… 371 제4장 병종의 비율… 375 제5장 군의 전투 서열… 387 제6장 군의 일반적 배치… 395 제7장 전위와 전초… 403 제8장 선진 부대의 조치… 413 제9장 야영… 419 제10장 행군… 422 제11장 행군(이어서 1)… 431 제12장 행군(이어서 2)… 436 제13장 사영… 441 제14장 보급… 448<BR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독일어 원전 한국 최초 완역본 「전쟁론」 현대 군사학 경영학 불후의 전략서! “전쟁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 전쟁 철학의 고전 명저! 현대 군사학 경영학 불후의 전략서 이 책은 난해하기로 유명한 클라우제비츠 「전쟁론(Vom Kriege, 1832~34)」 독일어 원전을 허문순 선생이 30여 년에 걸쳐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한국 최초 완역본이다. 클라우제비츠는 나폴레옹전쟁 때 황태자 아우구스트의 부관으로서 출정했는데, 1806년 예나전투에서 패배해 황태자와 함께 프랑스군 포로가 되었다. 프랑스에 억류됐던 1년간 그는 프리드리히대왕 영광과 전통으로 빛나는 프로이센군이 어째서 뿌리도 없는 오합지졸 나폴레옹군대에게 어이없이 패했는가 하는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했다. 이것이 바로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을 집필한 동기이다. 1818년 베를린 사관학교장이 된 클라우제비츠는 12년간 전쟁론의 연구와 저술에 몰두했다. 그는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 전쟁사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리하여 전쟁이란 상대를 굴복시켜 자신의 의지를 상대에게 강요하는 폭력행위라는 결론을 얻고 이를 정의로 삼았다. 전쟁에서 그 철저함을 결정짓는 것은 정치적 의도나 판단이라 여기고, ‘전쟁이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장’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또한 프리드리히대왕과 나폴레옹의 장수로서 탁월한 정치·군사적 전략의 재능을 바탕으로, 장수의 자질과 능력이 전쟁의 결과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하게 주장한다. 그는 그때까지 군사과학에서 개념이 막연했던 전략과 전술을 엄격히 구분해, ‘전쟁준비’로서 현대의 병참을 들어, 군사학과 용병술의 체계를 세웠다. 오늘날에는 이 전략, 전술, 병참을 통틀어서 용병술로 보고 있다. 주목할 것은 그가 일정한 규칙과 이론을 세우고 그것을 전쟁사의 사례에 적용해 검증하는 연역·귀납법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는 이에 관해서 “이론은 교의가 아니라 관찰이어야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전쟁론」은 클라우제비츠가 1831년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그의 부인 마리가 1832~34년까지 3년간 걸쳐 남편의 원고들을 편집, 출간한 책으로, 오늘날까지도 군사학·경영학 불후의 전략서로 손꼽히고 있다. 프로이센장군·군사이론가 클라우제비츠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Karl von Clausewitz 1780∼1831)는 프로이센 장군이자 군사이론가이다. 그는 프로이센군 소년병으로 프랑스혁명 간섭전쟁에 참가한 뒤 베를린 사관학교에 들어갔다. 거기서 교장 샤른호르스트의 영향을 받아 프로이센 개혁에 참가, 군제개혁을 추진했다. 1812년 나폴레옹과 프로이센의 군사동맹 체결에 반대하여 러시아로 탈출, 1814년 프로이센군으로 복귀할 때까지 러시아군인으로 나폴레옹으로부터 해방전쟁에 애썼다. 클라우제비츠는 베를린 사관학교장으로 재직하고 있던 1818년∼1830년에 「전쟁론」을 집필한다. 이를 완성하기 전에 브레슬라우로 전속되고 1830년 폴란드혁명을 감시하기 위해 배치된 프로이센군 참모장을 맡는다. 그러나 브레슬라우에서 돌아온 직후인 1831년 11월 한창 유행하던 콜레라에 걸려 갑자기 세상을 떠난다. 죽은 뒤 그의 원고들은 헌신적인 그의 아내가 편집, 「유작집」으로 출판했다.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 「전쟁론」은 전쟁철학의 고전적 명저로 후세인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클라우제비츠 사후에 출판된 「유작집(1832∼37)」 10권 가운데 첫 3권이 바로 이 「전쟁론」이다. 전쟁 본질, 전쟁 이론, 전략 일반, 전투, 전투력(군사력), 방어, 공격, 전쟁계획의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전쟁의 본질·이론·전략 기본 등 전쟁 철학적 부분은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이 책은 프로이센 장군 클라우제비츠가 나폴레옹의 러시아원정(1812)과 워털루싸움(1815) 등 수많은 실전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쓴 전쟁기술에 대한 고전적 병서(兵書)이며, 또한 전쟁을 정치와 관련시킨 점에서 훌륭한 정치학서이기도 하다. 「전쟁론」은 그 뒤 독일의 몰트케·슐리펜·힌덴부르크 등 여러 장군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공산주의자 엥겔스나 레닌까지도 「전쟁론」을 군사과학의 고전이라고 높이 평가, 그것을 기초로 하여 독자적인 전쟁이론을 만들어냈다. 그가 말한 전쟁의 본질은 계급투쟁에서 적을 격멸하는 것이라 바꾸어 말하고,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민대중의 민주주의 사상 육성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혁명과 정치를 결부시킨 이론을 구축하였다. 또 1951년 미국 육군사관학교에서 발간된 「클라우제비츠·조미니·슐리펜」이라는 책에서는 이 「전쟁론」의 철학을 비스마르크의 철혈철학이며 동시에 히틀러의 이른바 ‘나의 투쟁’ 철학과 같은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출간된 후부터 현재까지 세계의 수많은 국가와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왔고,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국가의 군사교육기관에서 강의의 교본으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