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총론: 민족문학의 개념과 그 사적 전개·임형택
1. 민족문학의 개념과 민족문학의 인식
2. 문학사의 체계: 국문학과 한문학의 이원구조와 통일적 인식의 과제
3. 신문학의 전개과정에서의 민족문학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민족신화의 형성·조현설
1.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신화의 기록
2. 고대국가의 건국신화들
3. 건국신화의 재인식과 민족신화의 가능성
4. 근대 민족신화로 재탄생한 단군신화
고대가요의 전통과 향가·김창원
1. 고대가요와 삼국속악 그리고 향가
2. 향가의 명칭과 내포
3. 향가의 형식과 구조
4. 향가의 주요 담당층
5. 향가의 내용과 작품세계
6. 연구사적 반성
삼국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의 한문학·정우봉
1. 한자의 수용과 활용, 그리고 중세문학의 형성
2. 삼국시대의 한문학
3. 남북국시대의 한문학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정출헌
1. 나말여초 문학사의 새 지평
2.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교류와 『수이전』
3. 『수이전』에 실린 지괴의 서사적 지향
4. 『수이전』에 실린 「최치원」의 문학적 성취
5. 나말여초 서사문학의 층위와 과제
나말여초의 문학사적 전환과 최치원·정환국
1. 전환기로서의 '나말여초'
2. 나말여초 문인지식층의 성향과 한문학
3. 최치원 시문학의 세계
4. 최치원의 문학사적 위치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김수경
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2. 진솔함·다양성·개방성: 속요의 세계
3. 반복과 변화, 풍류와 낙관: 경기체가의 세계
4. 고려가요 이해의 새로운 방향
고려중기 민족현실과 이규보의 모색·김승룡
1. 고려중기와 지식인들, 그리고 이규보
2. 「동명왕편」: 중국과 견주어지는 고려의 문화전통
3.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인정의 사이에서
4.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의 욕망
여말선초 사대부문학과 현실주의 경향·이성호
1. 여말선초라는 문학의 전환기
2. 여말 사대부문학의 채시관풍론과 현실주의
3. 애민의식으로 담아낸 민생실태
4. 이민족의 침입과 전란의 고통
5. 신흥사대부 현실주의의 성과와 한계
『금오신화』의 출현과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신상필
1. 『금오신화』의 저술과 그 배경
2. 기이로 빚어낸 만남과 이별의 미학,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3. 인간사회를 논의한 사상소설 「남염부주지」
4. 이상사회에 대한 회고와 희망, 「취유부벽정기」와 「용궁부연록」
5. 김시습의 의식체계와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조선전기 필기·패설의 전개양상·김준형
1. 잡록과 필기·패설
2. 필기·패설의 연원과 전개
3. 필기·패설의 일탈과 변모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1·김용찬
악장·서사시·경기체가
1.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개관
2. 예악의 정비와 악장의 효용
3. 훈민정음의 창제와 서사시의 등장
4. 경기체가의 지속과 쇠퇴
5. 시가 갈래의 단절 혹은 지속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2·이상원
시조·가사
1.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기본적 성격
2. 처사적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
3. 관인의 책무와 관계된 작품들
4. 주체의 내적 궁핍을 토로한 작품들
5. 여류문학의 성취: 기녀시조와 규방가사
6.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변모양상
16세기말~17세기 전반기 한문학의 새 경향·송혁기
1. 문화교류 양상의 변모와 문학사적 전변
2. 당시풍의 확산과 시적 아름다움에 대한 모색
3. 문학적 전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산문의 문예미 추구
4. 쟁점과 전망
16, 17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면모·김현양
1. 주목해야 할 변모양상
2. 16세기: 변모의 단초 혹은 징후
3. 17세기 국문소설: '욕망'과 '이념'의 사이
4. 17세기의 한문소설: 전기소설이 이룩한 성취
5. 주시해야 할 그밖의 면모
조선후기 한시의 안과 밖, 현실주의 경향·진재교
1. 조선후기 한시 이해를 위한 몇가지 단상
2. 문예미의 창신과 표현수법
3. '민'의 삶과 현실문제의 여러 형상
4. 다기한 인물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