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철학

김진석
328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4(6명)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6명)
‘노자의 무위자연’ ‘도올의 대중 철학’ ‘들뢰즈/가타리의 리좀·노마디즘·전쟁기계’ ‘네그리의 다중’ 등의 다양한 철학 담론 속에서 일관되고 깨끗한 이념이나 원칙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 ‘더러운’ 행위들을 찾아내는 책. 저자는 철학이 지닌 본래의 임무, 즉 ‘보편적 원칙 탐구’에 매달리지 않기로 결심한다. “그것들에서 툭툭 손을 털기로 했다. 그것들보다는 어떤 정책이 포획하는 행위들과 포획하지 못하는 행위들에 관심을 가졌다. 일관되고 깨끗한 이념이나 원칙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 ‘더러운’ 행위들을 이해하려고 했다."라고 한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별점 그래프
평균3.4(6명)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머리말 _ 철학, 더러움에 빠지고 더러움을 무릅쓰다 5 1부 _ 철학자, 더러운 직업 13 ― 어떤 참견 15 철학자여, 지난밤에 안녕하셨나? | 두 통의 메일, 주름진 미간 ― 철학자, 사기꾼과 얼마나 다른가 25 누구나 ‘기만’하는 시대 | 사기의 ‘앞면과 뒷면’ | 철학, 지적 사기인가 ― 샌드위치 철학 36 샌드위치―진부한 일상과 위대한 철학 사이에 끼다 | 샌드위치―더러운 권력과 위대한 정치 사이에 끼다 | 끼이기와 끼기 사이에서 살아남기 ― 철학, 죽음에 이르는 개그 46 철학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직업으로서의 철학의 출현 | 철학의 격, 개그의 격 ― 거대한 적(敵), 소소한 언어 60 말들의 고향, 개념 | 거대한 적, 소소한 언어 | ‘나쁜 개념’을 말할 때 어떻게 분노해야 하나? ― 철학과 문화, 인수합병 72 한겨울의 사회, 엷은 체온의 철학 | 조잡한 처방, 조로한 철학 | 문화로의 적대적 인수합병 ― 철학자, 더러운 직업 86 철학자, 더러운 직업 | 철학이 더러울 수밖에 없는 이유 | 자각이라는 따끔따끔한 통증 | 더러워질 수밖에 없는 이유? 난 모르오, 웃은 죄밖에 2부_철학, 더러움에 빠지다 99 ― 이로운 철학, 해로운 철학 101 황혼녘의 의문, 정녕 철학은 이로운가 | 단절의 옹벽―동·서양철학 | 단절의 옹벽―현실과 교육철학 | 단절의 옹벽―교육철학과 관념철학 ― 노자의 ‘무위자연’, 더러움에 빠지다 114 상투적인 기술문명 위기론을 넘어 | 노자의 형이상학적 자연을 넘어 | 생태 근본주의적 ‘자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자연 이데올로기, 또 다른 생명권력 | 실천적 지식의 구조 ― 노자철학은 더러운 문명을 해체할 수 있을까 143 사두(蛇頭) | 노자는 동양의 해체이고 해체는 서양의 노자인가? | 노자조차도 해체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이다 ― 도올 김용옥, 권력과 상품의 철학 160 대중적 스타철학자의 무대 장치 | 철학의 대중화가 필요한가? | 우리 모두의 동양 고전? | 근본주의적 해석학과 매스컴 중독증 | 고전의 정치적 남용 3부 철학, 더러움을 무릅쓰다 193 ― 철학, 더러운 담론 197 보편적 지식인이라는 보편적 오해 | 담론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또다른 해석 | 비판적 지식인, 그는 누구인가? | 담론과 권력 관계의 재해석 | 더러운 담론 무릅쓰기 | 더러운 담론에 부딪히기 ― 철학, 나무에게 더럽다고 말하다 224 분열된 욕망, 찢어진 독해 | 리좀은 과연 나무문화의 뿌리를 뽑을 수 있을까 | 리좀은 위험하지도, 안전하지도 않다 | 영토화, 탈(脫)영토화의 이어달리기 | 나무와 리좀, 형용모순의 관계 | 근원과 중심이 아닌, 또다른 목표 ― ‘전쟁 기계’라는 더러움 247 전쟁기계에 대한 인문학적 오해와 과장 | 전사의 탄생 | 전사의 탈을 벗어야 전사가 될 수 있다 ― 노마디즘, 더러움 속에서 더러움을 무릅쓰는 268 진흙 속의 노마디즘 | 착한 노마디즘, 나쁜 노마디즘 | 노마드를 위한, 낡은 지도 한 장 ― 엉뚱하고 삐딱하면서도 우스우면서도 심오한 주체들 286 최초의 궁리, 최후의 궁리 | 진보도 단순한 진영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 | 개체들은 구체적 순간에 집단지성과 다중으로 진화하는가? | ‘엉삐우심’ 주체들 주 31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지식인의 비굴함과 나태’를 고백한다 ‘소칼 사건’ 혹은 ‘지적 사기’. 1996년 미국의 물리학자 앨런 소칼이 인문학술지 『소셜텍스트』에 엉터리 논문을 게재한 ‘사기극’ 뒤에 벌어진 논쟁까지를 일컫는 말이다. 당시 ‘과학 전쟁’이라는 타이틀로 벌어진 이 논쟁은 철학자들이 자신의 담론을 만들고 퍼트리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여기서 당시 논쟁의 당사자이기도 했던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고백을 다시 떠올려보자. “지식인의 비굴함과 나태는 우리 시대의 올림픽 종목이 돼버렸다.” “구체적이고 이질적인 다양성들이 (…) 압도하는 시대”(34쪽)에 사는 한국의 한 철학자도 자신의 학문이 처한 무력감을 숨김 없이 드러낸다. 이 책 『더러운 철학』에서 저자는 스스로를 향해 끊임없이 되묻는다. “철학자와 사기꾼은 얼마나 다른가.” 이 문답 뒤에 저자는 철학이 지닌 본래의 임무, 즉 ‘보편적 원칙 탐구’에 매달리지 않기로 결심한다. “그것들에서 툭툭 손을 털기로 했다. 그것들보다는 어떤 정책이 포획하는 행위들과 포획하지 못하는 행위들에 관심을 가졌다. 일관되고 깨끗한 이념이나 원칙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 ‘더러운’ 행위들을 이해하려고 했다.”(35쪽) 여기서 우리는 이 책 제목에서부터 표방하고 있는 ‘더럽다’의 뜻을 어렴풋이 알 수 있다. 저자는 현실 도처에 뿌리내리고 있는 다양한 철학 담론들 속에서 더러움을 찾아낸다. 그가 골라낸 ‘더러운 철학’은 ‘노자의 무위자연’ ‘도올의 대중 철학’ ‘들뢰즈/가타리의 리좀·노마디즘·전쟁기계’ ‘네그리의 다중’ 등의 다양한 담론이다. 그 다양한 주장들 속에서 어떻게 더러움을 가려내겠다는 것일까. 순수한 담론, 더러운 현실 저자의 ‘노자의 무위자연’에 대한 비판은 그 순수함에 대한 의심에서 비롯된다. 저자는 묻는다. 노자의 무위와 자연은 서양의 패권적 형이상학과 비교하면 훨씬 순수하고 덜 해로우며, 따라서 노자는 비판할 필요가 없는 것일까? 그런 형이상학적 성역과 특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는 말자. (…) 노자의 ‘무위’와 ‘자연’은, 서양의 ‘폭력적’ 혹은 ‘패권적’ 사유에 단순 대비되면서, 지나치게 순진무구한 형이상학으로 치닫고 있고, 그 경향은 후자와 방식은 다르지만 후자 못지않게 공허하고 맹목적이다.(125~126쪽) 저자는 노자의 자연을 ‘생태 근본주의적 자연’이라고 부르며 우리 사회에서도 종종 이러한 근본주의적 시각과 산업사회에 대한 대안의 가능성을 혼동하는 오류가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김종철의 『녹색평론』이 대표적 사례다. 저자는 김종철의 글을 읽으며 다음과 같이 조심스럽게 되묻는다. 순수한 담론만을 추구하는 것보다 ‘더러움을 무릅쓰는’ 담론이 필요하지 않겠냐는 뜻이다. 문명 속의 폭력성은 산업사회의 영향 때문이기도 하지만, 개인들이 제 안에서 끌어내고 실현하려는 최대한의 자유와 자발성과도 깊은 관계에 있다. (…) 생태적 열망도 이 자유와 자발성의 한 열매가 아닐까? 이에 대한 성찰과 논의 없이 도덕적 주장만을 반복하는 것을 경계하자.(129쪽) 들뢰즈/가타리와 함께 진흙으로 뛰어들기 저자가 말하는 ‘더러움을 무릅쓰는’ 철학은 폭력과 근본주의 사이를 오가며 치고 치인다. 저자는 현대 서양철학의 대표적 논쟁거리인 ‘리좀’ ‘전쟁기계’ ‘노마디즘’을 차례로 불러내며 이 용어들의 철학적 쓰임새의 ‘더러움’을 논한다. 들뢰즈/가타리는 알려진 대로 서양의 사유 체계가 ‘나무 중심’이라며 비판했다. 그들은 나무와 나무뿌리의 은유에 사로잡힌 철학에서 벗어나고자 ‘리좀(rhizome)'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흔히 ’땅밑 줄기‘로 정의된 리좀은 그 뜻에서 드러나듯 기존의 주제에서 무성하게 뻗어나가는 다양한 생각들을 대표한다. 저자는 리좀이 표방하는 그 다양성이 자칫 나무문화를 과격하고 극단적인 비판적 성격만 부각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회의하고 또 회의한다. 이 과격하고 극단적인 성격의 나무문화 및 문화나무 비판은 충분히 구체화되고 있는 것일까? 그 비판은 철학에서 시작해 모든 지적 사고 체계를 거쳐 사회생활의 뿌리로 존재하는 나무뿌리 문화를 과연 ‘뿌리 뽑을’ 수 있을까? (…) 기존의 사유와 문화가 지나치게 근거와 중심, 영토와 국가에 사로잡힌 것은 사실이다. (…) 현대 이후 사람들은 상당히 거기에서 도망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들뢰즈/가타리는 아주 근본적으로, 아주 전반적으로 나무문화와 문화나무에서 이탈하자고 부추기는 것이다.(230쪽) 들뢰즈/가타리의 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전통적 사유 체계를 벗어나 더러움을 무릅쓰는 것은 가능할까? 저자가 보기엔 쉽지 않다. 그들은 나무중심 문화에 반대하면서 동시에 자신도 다름 아닌 이분법적 서술에 매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그렇게 벗어나고자 하는 나무의 계통적 질서인 바로 그 이분법을 사용하는 셈이다.”(237쪽) 여기서 들뢰즈/가타리는 자신의 이분법적 서술이 리좀을 도입하려는 고육지책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이 점에서 또한 저자는 “그렇다면 애초에 과격하게 드러났던 리좀의 파격은 다시 수그러들거나 길들여지는 것이 아닐까?”(238쪽)라고 되묻는다. 이렇게 영원히 순환하는 듯한 논리의 반복, 저자는 이를 ‘영토화와 탈(脫)영토화의 이어달리기’라고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나무들, 뿌리에 집착하며 이분법 조직을 조장하는 나무들은 더럽다. 철학은 이 ‘더럽다’는 말을 칼을 던지듯 나무에게 던진다. ‘더러운 나무’. 나무들은 이 말을 들으며 머쓱해한다. 우리가 그랬나? 우리가 그런가? 중얼거린다. 더러움이란 그런 것이다. 자신도 모르는 새 제 몸에 들러붙는 그런 것이다.(244쪽)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더러움’은 또 다른 의미를 얻는다. 바로 자신이 비판하는 대상의 더러움을 어느새 제 몸에 묻힌 상태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철학은 그 “구차스러움과 뻔뻔함 사이에서”(245쪽) 흔들린다. 들뢰즈/가타리의 또 다른 주제, ‘전쟁기계’와 ‘노마디즘’도 위와 마찬가지로 현실에 맞서 ‘더러움을 무릅쓰고자 했던’ 대표적 주장들이다. 여기서 저자는 한국의 철학자들이 전쟁기계와 노마디즘을 ‘수입’하면서 이 한글판 담론이 “국가와 독립된, 그것을 깨끗하게 초월하는 움직임”(252쪽)에만 주목하는 것이 적지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지적한다. 이 둘의 능동적 혁명성은 인정하더라도 현실 속에서 이 담론들이 발현되는 ‘변덕스러운’ 모습은 해설하지 못한다는 평이다. 전쟁기계는 국가장치 외부에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국가 장치 없이 홀로 존재하지도 않았고 깨끗하게 국가를 초월해 존재하지도 않았다. 험악하고 과격한 전쟁기계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더러운 존재였다. 언제나 자신을 배반하듯 국가와 제국으로 통합되곤 하는 존재, 그러나 그런 자신을 또 배반하듯 다시 국가 장치에 탈을 내게 하는 존재. 엉뚱하고 삐딱한 존재.(252쪽) 약자로서의 유목민도 그저 ‘착한’ 노마드로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소수자인 이주 노동자들을 예로 들어 말해보자. 그들은 우정으로 받아들여져야 하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오로지 ‘착한’ 노마드일까? 굳이 말하자면 ‘복합적인’ 노마드일 터이다. 그들도 더 좋은 일거리를 찾아, 자신들의 행복을 찾아, 고향을 떠난 유목민이다. (…) 노마드가 전쟁 기계의 복합체로 존재하는 한, 유목민들은 ‘따로 또 같이’ 폭력적 흐름을 타고 있으며, 그 폭력적 끈의 긴장 속에서 문명적으로 생존한다. 마찬가지로 문화산업과 결합한 ‘한류’도 거센 유목적 세계화의 흐름 속에 있다.(279쪽) 다중(multitude)에서 찾아낸, 엉뚱하고 심오한 대중 혁명적 능동성은 말처럼 쉽지 않다. 현실의 개인이 매분 매초 독립적으로 살아가며 다른 독립적 개인들과 자유로이 소통하는 것은 청사진일 뿐이다. 저자는 현대 인간의 이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