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의 명암과 건축이론

임기택
21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1부 주체문제와 변증법적 사고체계/건축의 합리성과 낭만성 주요 철학자 소개 1001 철학의 정의 / 15 1002 건축분야에서 철학지식 습득의 필요성 / 17 1003 건축학도의 철학지식 습득의 난점 / 20 PARTⅠ 근대철학의 양면성과 변증법적 역사관 1004 근대철학의 출발점 / 24 1005 세계를 이해하는 주체문제(존재론) / 27 1006 철학의 주체문제와 건축과의 연계부문 / 29 1007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의 사고체계의 철학적 차이 / 37 1008 변증법적 사고체계 / 39 1009 진보사관과 제국주의적 경제발전의 정점 / 42 PART II 건축의 합리성과 낭만성 분류 1010 건축의 합리성과 낭만성 분류 경향 / 46 1011 서양건축의 변증법적 변화과정 / 49 1012 르네상스 및 바로크 건축과 철학사유의 유사성 / 52 1013 르레상스 건축과 바로크 건축의 공간적 재현적 차이 / 72 1014 아방가르드적 매너리즘 건축 / 78 1015 산업혁명 시기의 박람회 건축 / 80 PART III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1016 명확한 역사관 인식의 필요성 / 84 2부 모더니즘의 이면/건축적 가능성과 폐해 주요 철학자 소개 PART I 마르크스 및 벤야민의 사유와 모더니티의 명암 1017 마르크스의 사유와 후계자들 / 95 1018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의 사유체계 / 104 1019 알튀세르의 사고체계 / 110 1020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 114 1021 발터 벤야민의 사유체계 / 120 PART II 이성의 시대, 건축적 가능성과 폐해 1022 산업혁명 이후의 건축경향 / 148 1023 공통구조의 적용과 진보적 사고 / 158 1024 마르크스의 사상과 건축분야의 연결부분 / 171 1025 이성의 시대의 건축적 폐해 / 173 1026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론의 건축적 부문 / 176 1027 러시아 아방가르드 건축실험과 한계 / 178 1028 건축의 유토피아적 시각과 모순점에 대한 인식 /186 1029 만프레도 타푸리의 건축비평/ 188 PARTⅢ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1030 발터 벤야민의 메시아적 세계관 / 196 1031 변증법적 체계와 동일성의 폐해 / 197 1032 오늘날 유토피아란 가능한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 198 찾아보기 그림출처 참고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시리즈의 주제들은 현대철학에서의 사고체계와 건축분야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관련을 맺으며 현실에서 구체화되는가에 대한 경계면에 주목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3단계로 나뉘어 있다. PARTⅠ에서는, 매 강좌에서 주제별로 알기 쉽게 현대건축에서 논의되는 철학가들의 주요사상을 각 권별 주제에 맞추어 요약한다. 그 후, PARTⅡ에서는, 시대별 철학사상과 건축적 표현 및 공간구성의 경계면상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연결고리를 제시하고 시대적 사유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타나는 건축적 특성을 탐구한다. PART Ⅲ에서는, 사유와 관련하여 현실을 바라보면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관으로 건축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성과 방법론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스스로 건축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유토피아적인 생각과 이미지는 변질되기 쉽다. 오히려 쉽다기보다는 이미 유토피아적인 이미지 자체가 만들어지기 전에 불순한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는 편이 더욱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따라서 어디에도 없는 곳(Utopia=Nowhere Place)이라는 어원과 같이 건축에 있어서 유토피아라는 것은 대부분 순수한 꿈으로만 남고 변질되기 마련이다. 자본사회에서 이러한 유토피아적 이미지들이란 돈 많은 부르주아의 도덕적 타락을 가려주기 위한 방법론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대부분이다. 유명한 마르크스주의 건축비평가인 만프레도 타푸리는 모더니즘 초기의 아방가르드적 예술가들의 행태가 사실 부르주아들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프롤레타리아들을 더욱 억압하고 착취구조를 더욱 고착화시키는 방식에 일조했다고 생각했다. 즉,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예술의 역할이 필연성의 세계와 부르주아 윤리의 위기 사이를 중재하는 것에서 이데올로기가 그 역할을 떠맡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 문장을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착취하는 현실을 가리기 위해 장밋빛 청사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예술가나 건축가가 나서서 대리적으로 해주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유죄이다!’ 라는 표현과 다름 아니다. 일반 대중들은 그 이미지에 속아 희망을 가지고 열심히 일한다. 비슷한 표현으로 ‘아방가르드 예술도 생산양식의 순환주기로 편입되었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